- 회원들이 추천해주신 좋은 글들을 따로 모아놓는 공간입니다.
- 추천글은 매주 자문단의 투표로 선정됩니다.
Date 16/04/27 16:57:30
Name   난커피가더좋아
Subject   한국 해운업 위기의 배경에 대한 브리핑
요새 경제신문은 물론 종합지들까지 1면은 죄다 구조조정 얘기로 도배가 되고 있습니다. 조선과 해운, 즉 배를 만드는 산업과 그 배로 물량을 실어나르는 두 산업이 이제 한계상황이 돼서 산소호흡기를 떼야할 지경이 됐다는 거죠.

일단 오늘은 해운업 얘기부터 해보겠습니다. 오늘도 동료들과 한국 해운산업 위기에 대해 많은 대화를 나눴는데요 생각난 김에 간만에 홍차넷에도 글을 올립니다. 오늘 올리는 글은 일종의 '위기의 배경' 정도 되는 글입니다.

혹시나 가능하면 2편, 3편 다루고 조선업까지 다루고 싶은데 솔직히 시간이 요새 너무 빡빡해서 자신이 없습니다.

해운업은 세계 경기의 영향을 많이 받는 업종입니다. 무역이 활발해지고, 특히 중국이나 동남아 등 신흥시장이 고속성장을 할 때에는 더욱 그렇습니다. 원자재도 실어 날라야 하고 여러 완제품/반제품 도 컨테이너 박스로 엄청 싣고 다녀야 하니까요.

그런데 중국의 경제성장률은 꺾인지 오래고, 2008년 미국발 금융위기, 2010년 이후 유럽발 재정위기 등으로 침체된 세계 경제 전반이, 셰일가스 등의 천운으로 어느정도 회복된 미국을 제외하고는 전반적으로 '장기불황'의 국면으로 들어서게 됩니다.

계속되는 저성장 국면, 혹은 장기불황 국면에서 한국도 안전할 순 없겠지요.

한국은 계속 흑자를 기록한다고는 하지만, 수입이 줄면서 버티는 전형적인 불황형 흑자입니다.  한국 경제 진짜 심각한 지표 중 하나는 설비투자인데요, 2016년 1분기에 전년동기대비 -5.9% 를 기록합니다.

그런데, 이상한 것이 있죠. 이게 갑자기 터진 일이 아니잖아요. 그동안 대비를 제대로 못한 건가요? 왜 최소 해운업에서만 1만명~2만명이 해고될 상황으로까지 내몰린 것일가요?

이 얘기를 꺼내기 위해서는 IMF 경제위기 시절로 거슬러 올라가야합니다.

http://biz.chosun.com/site/data/html_dir/2016/04/27/2016042700072.html

이 기사를 참고하시면 이해하기가 쉽습니다. 몇 가지 첨언하고, 굳이 클릭하지 않으실 분들을 위해 간단하게 설명을 하면, IMF가 강제하는 많은 구조조정 프로그램을 가동하던 당시 한국 경제 사령탑은, 여러 대기업들에게 부채비율을 낮추라고 권고(혹은 협박)를 하게 됩니다. 그 당시 정부 탓만 하기도 어려운게, 그땐 정말 IMF가 시키는 대로 하지 않으면 안될 분위기였거든요.

부채비율을 맞추기 위해, 즉 부채를 줄이기 위해 젤 쉬운게 뭡니까. 가치 있는 걸 파는 겁니다. 그래서 해운사들이 자사 소유 선박들을 많이 팔아 넘깁니다.
뭐 이해할 수 있죠. 어쨌든 해운업은 배를 소유해야만 할 수 있는 게 아니니까요.
비유를 하자면, 원래 자기 건물에서 장사하던 사람들이 가게 점포를 팔아서 세를 내면서 사업을 하기 시작한 겁니다. 그래도 우리가 'IMF를 극복했다'고 하는 시점에는 세계경제가 호황이었으니까, 쉽게 말해 손님이 많았으니 '가게세'(용선료)가 문제가 안됐던 겁니다.

그런데....

그리고 나서 몇년 뒤에 전세계적인 위기가 시작되니 손님은 줄었는데, 비싸게 계약해 놓은 장기 월세 계약서는 엄청난 부담이 되는 겁니다.

2010년에 1367이었던 상하이 컨테이너 운임지수(SCFI)는 2015년 말이 되면 600이하로 떨어지고, 발틱 운임지수는 2758에서 317로 떨어집니다. 한 마디로 전 세계 해운 산업이 작살이 난 거죠. 이 상황에서 즉 일거리는 없는데, IMF 직후 한참 비쌀 때 장기 계약해놓은 용선료는 그대로 내고 있습니다.

(그 이후 계약도 잘못 베팅을 해서 역시나 꽤나 비싼가격에 해 놓기도 했답니다.http://www.hankyung.com/news/app/newsview.php?aid=2016042484621 이 기사 보면 열불납니다. 멍청한 경영진들 ㅠㅠ)

미칠 노릇이지요.

한국의 양대 해운 업체들이 그럼 그동안 자구노력이 없었느냐? 꼭 그렇진 않습니다. 자기들이 가진 컨테이너 박스를 팔아서 수백억원을 조달하기도 했구요(2013년 현대) 한진해운도 부채비율 줄이고 어떻게든 영업이익 남겨서 살아보려고 애는 많이 쓴 흔적이 보입니다.

물론 모든 게 이 용선료 때문은 아닙니다.

세계 1위 해운업체이자 위기에 끄떡없는 '머스크'라는 해운업체의 대표로 있던 사람은 이미 2014년에 "한국의 양대 해운 업체는 '정부의 도움을 너무 많이 받고 있다. 그래서 위기 대처능력이 없을 것'이라고 예측하기도 했습니다.

이런 상황에서 해운동맹(전세계 해운업자들이 만들어 놓은 공급자 카르텔)에서 버림받을 수 있는 상황입니다. 그래서 한진과 현대가 자기들 주도로 해운동맹을 새로 만들까 생각 중이랍니다. (?) http://news.heraldcorp.com/view.php?ud=20160427000536

뭐 어쨌든, 해운업 구조조정은 이제 본격적으로 시작될 예정입니다. '구조조정'이라는 딱딱한 네 글자로는 실직당하는 가장의 아픔도, 아이 대학 등록금을 마련해야하는 어머니의 고통도, 주변에서 그들의 식사와 술과 소비재를 팔던 자영업자들의 폐업이라는 '인간의 삶'은 눈에 드러나지 않습니다.

"그동안 돈 잘벌고 연봉 1억씩 받고 잘 살았는데 이제와서 징징대냐?"라고 몰아붙이는 게 답은 아닐 겁니다.

어쨌든,

두 해운사 중 하나는 법정관리로 넣고, 다른 하나는 집중 지원해 살리는 방법도 있을 수 있고요, 둘 다 산업은행 자회사로 넣은 뒤에 산은이 구조조정을 주도 할 수도 있습니다.(퍽이나?) 아니면 두 회사를 합병시킬 수도 있는데 솔직히 이것도 굉장히 어렵습니다. 일단 둘다 너무 부실하고 합병이라는 게 그리 쉬운 일이 아니니까요.

저는 답을 모릅니다. 앞으로 어찌될지 예측도 못합니다. 다만, 그저 관련 당국과 업계의 모두가 최대한 머리를 맞대서 노동자들의 희생을 최소화하고 '기간 산업'이라고도 할 수 있는 한국의 해운산업이 최소한의 수준은 유지할 수 있도록 지켜줬으면 하는 바람입니다.

이상 간단한 브리핑을 마치겠습니다.

* 수박이두통에게보린님에 의해서 티타임 게시판으로부터 게시물 복사되었습니다 (2016-05-09 10:29)
* 관리사유 : 추천게시판으로 복사합니다.



6
  • 기분이 해운해운하네요.


Beer Inside
해운업은 신기하더군요.

신규시장 진입자가 진입하기 어려운 장벽이 꽤나 있어서, 자동차 운송도 카르텔이 아니면 할 수 없는 수준이더군요.
난커피가더좋아
저도 이번에 좀 들여다보게 됐는데, 정말 여러모로 흥미로운 업종입니다. 마이클 포터식으로 말하면 5요소 중 딱 말씀하신 진입장벽으로 먹고 살 수 있던 산업이랄까...
Realise
잘읽었습니다. 사천시가 요즘 조선업때매 휘청하듯이 해운업이 무너지고 해운동맹에서 빠져버리면 현재의 허브앤 스포크 시스템에서 부산항을 거칠 필요가 없기 때문에 부산경제가 작살난다는 이야기도 있더군요. 하여튼 조선업이든 해운업이든 경영진이 문제군요. 기사만 봐도 2~3년 용선계약이 가능한데 언제까지 호황이 있을 줄 알고 리스크 관리없이 장기계약을 한건지... 결국 단기성과 내려고 장기계약 해서 임원진들 성과급 파티 하다 망한 이 걸 또 세금으로 살려야 하는군요. 참;;;
난커피가더좋아
해운동맹 탈락시 나타날 수 있는 위험요소 중 하나로 언급되고 있습니다. 몇몇 지켜보던 애널리스트들 말로는 \'멍청한 베팅을 했다\'(용선료 관련)고...ㅠㅠ
조선업도 힘들고 해운업도 힘들군요.
뭔가 모든 업계가 일자리가 줄어들면서 지속적으로 구조조정을 하는 것 같은 느낌입니다.
이렇게 우리나라의 실업률은 앞으로도 계속 올라가게 되는걸까요?
난커피가더좋아
다시 갈 곳이 없는게 진짜 문제죠. 당최 되는 산업이 없으니까요. 그나마 화장품? 답이 없어요 답이....ㅠㅠ
Realise
전기차까지 상용화 되면 그나마 잘나가는 자동차 산업도 어떻게 될지 또 모르죠... 진짜 산업구조만 보면 미래가 안보이네요. 경쟁력있는 산업이 없어요. 그나마 삼성전자나 하이닉스 , 아모레퍼시픽 정도만 경쟁력 있을까요 흠. 그렇다고 신생 산업이 나오지도 않고...
쓰고보니 같은 반도체하는데 하이닉스는 바닥치고 있군요 읔 크크크
기쁨평안
inven.co.kr/board/powerbbs.php?pt=pb&bc=44&come_idx=2097&iskin=webzine&type=req&my=post&l=487604

이 글의 후반부를 보시면 영구채권과 결합하여 해석하는 내용이 있습니다. 영구채권으로 두산이 무너지고, 그 다음 리스트에 한진해운과 현대중공업이 있네요.
그 다음은 포스코..포스코 에너지.

암울하네요
난커피가더좋아
두산 정리해고 사태때 저도 본 글이네요. 아 진짜......너무합니다. 상황이.
Realise
헉... 제 친구 다니는 회산데. 얼마전 장가갔는데... 아파트 빚 1억 남았는데...
근데 어쩌다 영구채가 자본항목에 올라간 거죠? 흠... 납득이 안가네요 무슨 과정을 거쳐서.
이 글의 말 대로 기업사냥이라면 누군가 국내 기업을 털어먹는다는건데... 털어먹는 사람은 누굴까요?
해외 금융세력이 국내기업들을 털어먹는다고 보면 될까요?
기쁨평안
사실 사모펀드들의 실제 자금원이 누구인지는 명확하지 않아요.
론스타-외환은행도, 실제 자금원은 외국국적의 한국인(검은머리 외국인)이 절반이라는 이야기도 있으니까요.
세계구조
정말 대량해고 임박 분위기라던데... 결국 책임은 노동자군요.
난커피가더좋아
가장 답답한 부분이지요.
앗 이거 궁금했던 건데.. 감사히 잘 읽었습니다. 해운업계에서 1,2만 명이 해고 위기면 조선 쪽에선 도대체 얼마나 잘려나간다는 얘긴지 끔찍하네요.
난커피가더좋아
이제 시작에 불과하다는 것이 참 끔찍한 일입니다.
여기서 권한과 권리와 책임은 따로 노는 법이죠.
난커피가더좋아
달리 헬조선입니꽈?
Beer Inside
멍청하지 않은 사람들이 멍청한 일을 할 때에는 이유가 있는데, 용선료를 장기로 그것도 고가로 책정했다면 핵심 관계자가 고가의 리베이트를 챙겼다고 의심할 수 밖에 없을 것 같습니다.

해운업계에 리베이트가 없을 것 같지는 않으니....

조선, 해운 쪽은 북유럽쪽의 카르텔이 강한 것 같더군요.

배 한척을 만들어도 소화기 하나에 200만원, 밸브하나에 몇천만원하는 것들은 다 그 쪽 제품이더군요.
난커피가더좋아
그럴 가능성(리베이트)도 있지만, 저는 \'의외로 멍청\'쪽에 더 무게를 두고 있습니다. 여러 CEO들이나 임원진들을 직접 만나보면 회사가 왜 안망하는 지 이해안될 정도로 갸웃거리게 되는 양반들이 꽤 많거든요. 밑에서 죽어나겠구나 하는....하튼 지켜봐야겠지요. 도대체 무슨일이 있었던 것인지. 아마 노조나 시민단체 쪽에서 검찰 수사를 의뢰할 수도 있고 그렇게 되면 진실의 작은 부분이라도 드러날 수 있을겁니다.

북유럽쪽이야 뭐...조상들이 해적이었던지라..(응?)
Beer Inside
본인의 이익에 멍청한 사람이 있을리가... ㅋㅋㅋ
난커피가더좋아
리베이트고 뭐고 하기 전에 그냥 경영판단이 멍청했을수도 있다는 거지요. 조선업의 똥멍청한 판단을 보시면...(한숨) 시간나면 조선업 스토리 함 읊겠습니다.
Beer Inside
조선업은 정주영회장의 한마디가 결국 망친 것이지요.

\'해 봤어?\'

안해봤는데, 일단 해 보자....

어 되네?

그럼 더 어려운 것도...

하지만 시스템은 주먹구구... 현업관계자 치고 좋은 말 하는 사람은 없지만, 그래도 심각하더군요.
ArcanumToss
영구채를 발행한 곳이 웅진, 한화, 두산, 한진해운, 효성, 현대중공업, 포스코, 포스코에너지, SK텔레콤, 대한항공, JB금융지주, 우리은행 등이라고 하는데 \'등\'에 어떤 기업들이 있는지 궁금하네요.
그리고 이들 리스트 중 우리은행은 정부가 투자한 은행 아닌가요? @.@;
난커피가더좋아
신세계건설도 있고 뭐 그렇습니다. 풀무원도 있고요. 다만 모든 영구채가 다 문제가 되는 건 아닌걸로 알고 있습니다. 저도 이 분야는 진짜 모르는 분야라서 더 말씀드리기 어렵겠습니다만, 중요한 문제라 생각하고 주시는 하고 있습니다. 우리은행은 흠......흠....아 할 말이 많은데....그냥 한번 망한 은행을 정부가 살려놨는데, 또 망할뻔....
ArcanumToss
두산인프라코어의 영구채가 최종적으로 자본으로 인정된 것에 대한 기사네요.

http://biz.chosun.com/site/data/html_dir/2013/10/01/2013100103058.html
ArcanumToss
웅진(영구채 아닌 듯)
한화(영구채 아닌 듯)
두산인프라코어(2012.10 5억 달러 3.328%[KDB산업은행이 신용 공여] 5년 후 5% 가산, 7년 후 2% 가산)
두산중공업(2015.11 3억 달러 2.5% 수준 3년 후 1% 가산)
두산중공업 자회사(2015.12 3억 달러)
한진해운
효성
현대중공업(2014.12 4,300억 4.8~4.9%)
현대오일뱅크(2015.12 2,250억 4.75~4.8% 5년 후 1% 이상[정확한 자료 없음]... 더 보기
웅진(영구채 아닌 듯)
한화(영구채 아닌 듯)
두산인프라코어(2012.10 5억 달러 3.328%[KDB산업은행이 신용 공여] 5년 후 5% 가산, 7년 후 2% 가산)
두산중공업(2015.11 3억 달러 2.5% 수준 3년 후 1% 가산)
두산중공업 자회사(2015.12 3억 달러)
한진해운
효성
현대중공업(2014.12 4,300억 4.8~4.9%)
현대오일뱅크(2015.12 2,250억 4.75~4.8% 5년 후 1% 이상[정확한 자료 없음])
포스코(2013.6 1조 4.3~4.6%)
포스코에너지(2013.8 5천억 4.7~5.2%)
SK텔레콤(2013.6 4천억 4.2%)
대한항공(2015.11 3억 달러 2.5%[수출입은행보증] 3년 후 4% 가산, 5년 후 3% 가산)
JB금융지주
우리은행
롯데쇼핑(2013.11 2,700억 4.7%)
만도(2015.3 2천억 4.9%)
신세계건설(2015.6 500억 5.3% 2년 후 2.5% 가산, 이후 매년 0.5% 가산)
풀무원(2015.12 100억 6% 3년 후 2% 가산, 이후 매년 0.5% 가산)
SK E&S(2015.7 4천억 3.88% 10년 후 0.25% 가산, 25년 후 0.75% 가산)
CJ제일제당(2015.9 500억)
CJ푸드빌(2015.12 500억)

영구채 발행 기업들과 발행 시기, 액수, 금리, 조건이라네요.
여기저기서 주워 모은 자료라서 정확성은 확신할 수 없고요. ^^;
ArcanumToss
SK E&S의 영구채 발행 조건은 상당히 좋아 보이네요.
반면 두산인프라코어의 발행 조건은 극악이군요.

잘은 모르겠지만 SK E&S처럼 발행하는 조건이라면 안정적 사업체 운영이라는 측면에선 상당한 도움이 될 것 같다는 생각도 듭니다.
그런데 대한항공이 문제를 일으키면 혈세 빨릴 게 보이네요.
두산인프라코어도 산업은행이 신용을 공여했군요. -_-;
난커피가더좋아
위에 말씀드렸던 모든 영구채가 문제는 아니라는 게 이런 취지죠. 두산인프라코어는 진짜...아오...진짜..ㅎㅎㅎㅎㅎ아오...
스팀펑크
금융쪽은 잘 모르는데 두산은 금리 수준이 왜저러죠...;;;
목록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215 경제베어링스 은행 파산사건과 금융에 관한 이야기. 11 줄리 16/06/10 9829 23
208 경제한국에서 구조조정은 왜 실패하나?-STX법정관리에 부쳐(상) 26 난커피가더좋아 16/05/25 9175 8
196 경제한국 해운업 위기의 배경에 대한 브리핑 30 난커피가더좋아 16/04/27 8540 6
166 경제디플레이션의 시대가 오는가? 36 난커피가더좋아 16/03/06 10586 3
144 경제행복과 행복에 관한 생각들 21 Moira 16/01/21 10570 5
126 경제Negative world(마이너스 금리 시대) 4 MANAGYST 15/12/07 8700 7
89 경제노벨경제학상 앵거스 디턴과 21세기자본 도마 피케티는 대립하는가? 16 난커피가더좋아 15/10/15 8533 10
77 경제집은 시장리스크, 전세는 신용리스크 20 MANAGYST 15/09/22 8680 6
65 경제큐이괴담 - QE를 또! 해야 한다는 이유가 또! 나오는 이유 23 MANAGYST 15/09/04 8646 4
49 경제그리스 위기 즈음에 돌아보는 한국의 IMF(최종편) 19 난커피가더좋아 15/07/22 8764 0
10 경제[서평] 가계부채는 왜 위험한가?, <빚으로 지은 집> 23 그녀생각 15/06/05 11324 1
목록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댓글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