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회원들이 추천해주신 좋은 글들을 따로 모아놓는 공간입니다.
- 추천글은 매주 자문단의 투표로 선정됩니다.
Date 16/07/07 15:17:55
Name   기아트윈스
Subject   [펌] 글쓰기란 병법이다
연암 박지원의 글입니다. 존경하던 선생님께서 소개해줬던 글귀인데 문득 생각나서 퍼옵니다.

-----

글을 잘 짓는 사람은 아마도 병법을 알았던 것인가.

글자 (=단어) 는 비유하면 군사이고, 글 뜻은 비유하면 장수이다. 제목은 적국(敵國)이고 전고(典故)와 고사는 전장의 보루이다. 글자를 묶어서 구(句)를 만들고, 구를 묶어 문장을 만듦은 대오를 편성하여 행진하는 것과 같다. 음으로 소리를 내고 문채(文彩)로 빛을 내는 것은 징과 북을 치고 깃발을 휘두르는 것과 같다. 조응(照應)은 봉화(烽火)에 해당하고, 비유(譬喩)는 유격병에 해당하며, 억양 반복은 육박전을 하여 쳐죽이는 것에 해당하고, 파제(破題)를 하고 결속(結束)을 하는 것은 먼저 적진에 뛰어들어 적을 사로잡는 것에 해당한다. 함축을 귀하게 여김은 늙은 병사를 사로잡지 않는 것이고, 여운을 남기는 것은 군사를 떨쳐 개선하는 것이다.

무릇 장평(長平) 땅에서 파묻혀 죽은 조(趙)나라 10만 군사는 그 용맹과 비겁함이 지난날과 달라진 것이 아니고, 활과 창들도 그 날카로움과 무딘 것이 전날에 비해 변함이 없었다. 그런데도 염파(廉頗)가 거느리면 적을 제압하여 승리하기에 충분했고, 조괄(趙括)이 대신하면 자신이 죽을 구덩이를 파기에 족할 뿐이었다. 그러므로 군사를 잘 쓰는 장수는 버릴 만한 군졸이 없고 글을 잘 짓는 사람은 이것저것 가리는 글자 (=단어) 가 없다.

진실로 훌륭한 장수를 만나면 호미 고무래 가시랭이 창자루를 가지고도 굳세고 사나운 무기로 쓸 수 있고, 헝겊을 찢어 장대에 매달아도 아연 훌륭한 깃발의 정체를 띠게 된다. 진실로 올바른 문장의 이치를 깨치면 집사람의 예삿말도 오히려 근엄한 학관(學官)에 펼 수 있으며, 아이들 노래와 마을의 속언도 훌륭한 문헌에 엮어넣을 수가 있다. 그러므로 문장이 잘 지어지지 못함은 글자 탓이 아니다.

자구(字句)의 아속(雅俗)을 평하고, 편장(篇章)의 고하(高下)만을 논하는 자는 실제의 상황에 따라 전법을 변화시켜야 승리를 쟁취하는 꾀인 줄 모르는 사람들이다. 비유하자면 용맹하지 못한 장수가 마음속에 아무런 계책(計策)도 없다가 갑자기 적을 만나면 견고한 성을 맞닥뜨린 것 (처럼 당황하는 것) 과 같다. 눈앞의 붓과 먹의 꺾임은 마치 산 위의 초목을 보고 놀라 기세가 꺾인 군사처럼 될 것이고, 가슴속에 기억하며 외던 것은 마치 전장에서 죽은 군사가 산화하여 모래밭의 원숭이나 학으로 변해버리듯 모두 흩어질 것이다. 그러므로 글을 짓는 사람은 항상 스스로 논리를 잃고 요령(要領)을 깨치지 못함을 걱정한다. 무릇 논리가 분명하지 못하면 글자 하나도 써내려가기 어려워 항상 붓방아만 찧게 되며, 요령을 깨치지 못하면 겹겹으로 두르고 싸면서도 오히려 허술하지 않은가 걱정하는 것이다.

비유하자면 항우(項羽)가 음릉(陰陵)에서 길을 잃자 자신의 애마가 앞으로 나아가지 않는 것과 같고, 물샐틈없이 전차로 흉노를 에워쌌으나 그 추장은 벌써 도망친 것과 같다.

한마디의 말로도 요령을 잡게 되면 적의 아성으로 질풍같이 돌격하는 것과 같고, 한 조각의 말로써도 핵심을 찌른다면 마치 적군이 탈진하기를 기다렸다가 그저 공격신호만 보이고도 요새를 함락시키는 것과 같다. 글짓는 묘리는 이렇게 하여야 성취할 수 있을 것이다. ... (朴趾源의 ‘騷壇赤幟引’에서)




* 수박이두통에게보린님에 의해서 티타임 게시판으로부터 게시물 복사되었습니다 (2016-07-18 11:29)
* 관리사유 : 추천 게시판으로 복사합니다.



3
  • 이 아재는 퍼와도 연암이다...세상에!


목록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549 일상/생각그래도 지구는 돈다. 40 세인트 17/11/20 6212 46
650 문학오늘 너무 슬픔 4 아침 18/06/21 6211 22
933 역사인도에 대하여 7 Fate 20/03/13 6210 20
543 일상/생각홀로 견디는 당신에게 16 레이드 17/11/10 6210 30
817 과학0.999...=1? 26 주문파괴자 19/06/14 6207 19
289 창작[한단설] For Sale : Baby shoes, never worn. 8 SCV 16/10/24 6207 11
764 체육/스포츠슈퍼볼 53(Super Bowl LIII) 프리뷰 (약스압) 5 Fate 19/02/02 6204 11
163 역사자화자찬(自畫自贊) 6 기아트윈스 16/03/01 6203 13
438 음악Be human. 인간이기. 5 틸트 17/05/26 6202 11
835 체육/스포츠파퀴아오-서먼 : Who will be resurrected? 5 Fate 19/07/21 6197 27
613 정치/사회북미 정상회담을 앞둔 여덟 가지 생각 5 Danial Plainview 18/04/08 6195 14
545 일상/생각독일에서 들었던 수업들 4 droysen 17/11/16 6192 4
229 역사[펌] 글쓰기란 병법이다 14 기아트윈스 16/07/07 6191 3
98 문학[조각글 2주차] (1주차와 약간 믹스, 약 기독) 노래는 가사지 18 매일이수수께끼상자 15/10/30 6182 14
624 기타예비 아빠들을 위한 경험담 공유를 해볼까 합니다. 19 쉬군 18/04/30 6176 17
969 일상/생각참 사람 맘은 쉽게 변한다.. 25 whenyouinRome... 20/06/13 6160 49
758 문화/예술지정문화재와 등록문화재의 간단 정리 13 메존일각 19/01/16 6154 8
704 의료/건강건강한 노인들에게 저용량 아스피린을 장기 복용하면 어떻게 될까. 4 맥주만땅 18/09/27 6152 4
428 일상/생각'편 가르기'와 '편 들기' 17 소라게 17/05/12 6151 25
841 일상/생각[단상] 결혼을 수선하다. 35 다람쥐 19/08/08 6146 93
788 정치/사회제1저자, 교신저자, 학회, 자리싸움, 그리고 관행 25 烏鳳 19/04/03 6145 23
164 기타인도네시아 이야기 28 Hitam 16/03/01 6136 11
212 정치/사회새누리 측 노동법 개정안 간단 요약 정리. 11 당근매니아 16/05/31 6124 5
324 역사러일전쟁 - 펑톈 전투 4 눈시 16/12/16 6122 5
194 역사시빌 워 - 미국 남북전쟁 (끝) 16 눈시 16/04/27 6113 9
목록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