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회원들이 추천해주신 좋은 글들을 따로 모아놓는 공간입니다.
- 추천글은 매주 자문단의 투표로 선정됩니다.
Date 16/09/04 01:01:02
Name   기아트윈스
Subject   손오공과 프로도 배긴스
아주 오래전, 영화 반지의 제왕의 첫 편이 개봉했을 때, 아빠가 말하기를, 

"반지의 제왕과 서유기는 비슷하지만 다른 주제를 다루고 있어. 가장 큰 차이는 하나는 악을 버리러 가는 이야기요 다른 하나는 선을 구하러 가는 이야기라는 점이야."

라더군요. 그리고 서유기의 이야기 구조에 대해 이런 저런 분석을 들려주었습니다. 그게 퍽 인상적이어서 기억에 남았어요. 그 내용이 무엇인고하니...



0. 개요

톨킨은 남들이 반지의 제왕을 모종의 우화 (Allegory)로 읽지 말았으면 한다고 했어요. 특히 종교 우화로 읽힐까 걱정이 많았나봐요. 하지만 이 말을 곧이 곧대로 들어선 곤란해요. 그럴 걱정이 많았다는 것은 그럴 요소가 다분하다는 뜻이기도 하거든요.

톨킨은 개인적인 서신 따위에서 본서가 본껵 카톨릭 문학이라는 이야기를 몇 차례 한 바 있어요. 예컨대 로버트 머레이 신부에게 보낸 편지에서 그는 

"반지의 제왕은 당연히 근본적으로 종교성 짙은 카톨릭 작품입니다. 처음엔 의식하지 못한채로 그랬지만 수정을 거치며 의식적으로 그렇게 했습니다. 저는 '종교'에 관한 모든 것들을 사실상 완전히 제거해버렸어요. 이 상상의 세계에서 벌어지는 컬트, 종교활동 등에 관한 모든 것들요. 왜냐하면, 종교적 요소들은 이야기와 상징들에 모두 흡수되어있으니까요. (The Lord of the Rings is of course a fundamentally religious and Catholic work; unconsciously so at first, but consciously in the revision. I . . . have cut out practically all references to anything like ‘religion,’ to cults and practices in the imaginary world. For the religious element is absorbed into the story and symbolism.)" (톨킨 서신 142호 中)

라고까지 했지요. 따라서 "우화로 읽지 말아달라"는 말과는 달리 실제로는 카톨릭 신앙과 세계관의 영향을 깊이 받았다고 해야 옳아요.

서유기는 반대로 불교와 도교, 특히 불교의 영향을 강하게 받은 작품이에요. 이 점은 의심의 여지가 없으니 여기서 더 설명하지 않아도 좋을 것 같아요. 본론에서 충분히 다루어질 테니 패스!




1. 선/악


1.1. 반지의 제왕


반지의 제왕에서의 악은, 말 할 나위 없이, 반지예요. 악이 개개의 인물과 떨어져서 별개로 존재한다는 설정이 인상적인데, 이는 선/악에 대해 논할 때 이들이 인간과 별개로 존재론적으로 "있다" 라고 생각하는 범기독교계열 사고방식을 반영해요 (물론 악의 존재론적 위상이 어떠한가에 대한 이견은 있지만요). 악은 인간 밖에서 인간을 타락시키는데 그 주된 방법은 유혹(Temptation)이에요. 마치 다이어트중인 우리를 유혹하는 치킨/피자/탕수육과 같아요. 자 먹어봐. 한 입만 먹어봐. 너는 이 맛을 알잖니. 저항하지 마. 캬아아악.

반지는 이 세계 모두를 주겠다고 유혹해요. 반지의 힘이 있으면 세계 모든 것을 정복할 수 있어요. 제왕이 될 수 있지요. 반지에는 그만한 힘이 있고, 따라서 반지를 줍는 이들은 열이면 열 이 유혹을 견디지 못하고 반지를 착용하게 돼요. 이는 다분히 예수가 겪었던 광야의 유혹과 닮아있어요. 광야에서 40일간 금식하며 기도하던 예수에게 사탄은 찾아와 세 가지 방법으로 유혹해요. 마태복음 기준으로 세 번째, 누가복음 기준으로 두 번째 유혹은 산 꼭대기에서 이루어져요. 사탄은 예수가 자신에게 절하면 산하에 보이는 모든 나라들의 모든 영광을 예수에게 주겠다고 약속하지요. 어지간한 인물이 아니고서는 다들 사탄에게 절하지 않고는 못배겼을 거에요.

물론 반지를 끼는 즉시 뾰로롱! 하면서 프로도가 세계의 제왕이 되진 않아요. 프로도가 반지를 착용하면 그는 그 즉시 투명인간이 되어 남들의 [시선] 밖으로 사라져요. 그리고 강렬한 악의 유혹이 시작되지요. 이는 유혹과의 싸움에서 시선이 얼마나 중요한 역할을 하는지를 말해줘요. 동료의 존재, 특히 동료의 시선의 존재는 유혹에 맞서 싸우는 힘의 원천이에요. 가족과 친구와 원정대가 우리를 지켜보고 있는 동안은 우리는 악에 대항해 싸울 힘과 용기를 얻어요. 반대로 이러한 주변의 도움이 없을 때 우리는 악의 유혹 앞에서 한 없이 약해지지요. 프로도가 친우들의 [눈]에서 벗어나는 순간 사우론의 [눈]이 번쩍 뜨여서 프로도를 보게 돼요. 프로도는 선의 조망 하에 선을 향해 가고 악의 조망 하에 악을 향해 가는 작고 약한 존재예요.

나아가 반지를 착용하는 순간 공적 영역에서 (친우의 시선) 벗어나 개인의 영역으로 함몰된다는 사실로부터 우리는 사적인 것 (Selfishness)이 악, 공적인 것(Selflessness)이 선이라는 도식을 찾을 수 있어요. 조셉 피어스라는 해설가는 이 도식을 조금 더 확장해서 사 vs 공, 쾌락주의 (hedonism) vs 영웅주의 (heroism)의 구도가 작품 전반에 깔려있으며 이는 카톨릭 신자이자 반근대/전통/목가주의자인 톨킨의 취향이 반영된 거라고 주장해요. 소규모 친목집단이 서로 자기보다 남을 위하고 사랑하며 사는 전통적인 카톨릭 마을 같은 게 톨킨의 이상향이란 거에요.

여기까지를 정리해보자면 반지를 부수는 것은 사심을 버리고 공명정대함을 쟁취하는 것과 같아요. 이를 [멸사봉공(滅私奉公)]의 원정이라고 축약해도 좋아요.


1.2. 서유기

서유기에서 나타나는 악은 양상이 조금 달라요. 먼저 악은 물론이요 선 자체가 존재론적인 근거가 없어요. 선과 악은 고고히 떠있는 절대적 존재가 아니에요. 

서유기의 세계관에서 악은 방심(放心)으로부터 발생해요. 손오공 일행이 만나는 요괴들은 상당수가 신선/보살/부처들이 기르는 애완동물이거나 탈 것이에요. 예컨대 어느 동네의 어떤 요괴는 사실 태상노군이 기르는 검은 소요, 어느 동네의 어떤 요괴는 관음보살이 기르는 누런 사자라는 식이에요. 이 탈 것들은 주인이 멀쩡히 정신차리고 있는 동안은 주인의 말에 따라 능력을 발휘하는 멋진 친구들이에요. 그러다 문득 주인이 낮잠을 잔다든가 하면 고삐를 벗고 하계로 내려와 파괴적인 일을 벌이지요.

우리의 경우로 비유하자면 이렇게 해 볼 수 있어요. 우리의 성욕은 우리 마음이 통제력을 유지하는 동안 우리를 위해 능력을 발휘해요. 이성친구를 만나 사랑에 빠지고 달콤한 연애를 하고 아이를 만드는 건 모두 성욕에 힘입은 거에요. 성욕의 능력이 아니었다면 모두 불가능한 일이지요. 하지만 통제력을 상실하는 순간, 곧 방심하는 순간, 끔찍한 문제를 일으켜서 우리 자신은 물론이요 남들도 상하게 하지요.

이러한 세계관에서는 제거해야할 거대악이 없어요. 우리들의 심중은 선/악으로 구분할 수 없는 야수들이 날뛰는 야생전의 세계예요. 이들을 제어할 힘과 의지가 있으면 이들은 벗이 되어주지만 그렇지 못하거나 주인이 낮잠을 자버리면 도로 날뛰는 거지요. 따라서 날뛰는 야수를 잡으려면 통제력을 회복해야 해요. 그래서 삼장 일행은 태상노군의 소나 관음보살의 사자를 때려죽이는 대신 잃어버린 통제력을 회복하는 방법으로 문제를 해결해요. 바로 낮잠자는 주인들을 찾아가서 깨우는 거에요. 요괴가 아무리 흉포하더라도 각성한 주인 앞에선 하룻강아지만큼의 힘도 없어요. 바로 깨갱하고 주인의 굴레를 받아서 다시 탈것으로 복귀한답니다.

일부 일화들은 심지어 그런 짐승들을 때려죽일 방법 자체가 없음을 암시하기도 해요. 손오공과 동료들이 아무리 날고 기는 도술로 상대하고 나아가 천군天軍의 힘까지 빌려도 태상노군의 소를 제압하지 못해요. 왜냐하면, 이 요괴들은 사실 신선/보살/부처들 자기 자신의 이면이기 때문이에요. 우리는 혀 깨물고 죽지 않는 이상 자신의 식욕/성욕을 거세할 수 없어요. 자기 욕망을 말끔하게 죽이고자 한다면 자기 자신이 죽지 않고서는 안되거든요. 무덤에 들어가기 전까지 식욕이 없어질리가 없지 않겠어요? 다만 잘 관리하느냐 잘못 관리하느냐가 있을 뿐이에요.

이런 욕망들을 잘 관리하려면 우선 그들을 인정해줘야 해요. 얘들이 구제불가능한 악의 화신들이 아니라 우리 심신의 일부를 구성하는 일원이라는 걸요. 구제 가능한, 선/악으로 구분할 수 없는, 어떤 중립적인 [힘]이라는 걸 인정해야 해요. 미워하는 마음 없이 담담하게 바라볼 때 이들은 자신의 본래면목을 드러내요. 서유기에서 조요경照妖鏡으로 비추면 요괴의 본모습이 나오는 것처럼요. 그들의 본래면목은 그저 가여운 짐승들일 뿐이에요. 날뛰는 야수에 비한다면 가여운 짐승을 길들이는 건 식은 죽 먹기에요. 이는 욕망을 거세하기 위해 극도의 고행을 하다가 포기한 석가모니의 일화와 조응해요. 석가모니는 풍요로운 젊은 시절도 보내보고 극도의 고행도 해보았지만 어느 하나 정답이 아니라는 걸 깨닫게 돼요. 욕망을 패죽인다고 깨달음이 오진 않는다는 걸 알게 된 그는 인근 처녀들에게 찾아가 우유좀 나눠달라고 구걸해서 마시지요. 다른 고행자들은 석가가 식욕과 성욕에 함락됐다고 개탄했지만, 석가는 이러한 행위를 통해 자신의 길은 고행도 쾌락도 아닌 중도(中道)임을 천명했던 거에요.




2. 능력

2. 1.  반지의 제왕

주인공 일행은 악의 군대 앞에서 무력해요. 특히 호빗들은 정말 능력이라곤 없는 친구들이에요. 그저 겸손함(Humility)과 순박함(Rusticity) 정도의 미덕이 있을 뿐이에요. 그런데 역설적이게도 이것들이 악을 멸할 수 있는 덕목이 돼요. 자신의 약함을 인정해야만 더 강한 존재에 의지할 수 있기 때문이지요. 역시 셈족 계통 종교에서 공통적으로 발견되는 일종의 타력신앙(他力信仰)이 반영된 거라고 볼 수 있어요. 인간은 자기 스스로를 구원할 수 있는 존재가 아니에요. 그렇게 생각하는 것은 자만심이요, 바벨탑이에요. 자만심은 반드시 실패로 돌아가요. 오직 자기 자신을 내려 놓고 그 무력함을 인정할 때라야 절대선의 도움으로 구원을 얻을 수 있어요.

프로도가 맨손으로 구르고 깨져가며 모르도르를 헤매다 운명의 산 (Mount Doom)을 오르는 클라이막스는 여러모로 골고다 언덕을 오르는 예수를 연상케 해요. 프로도는 자신이 실패할 거라는 걸 거의 예견하고 있어요. 자신을 기다리는 운명(Doom)은 죽음(Doom)일 거라는 걸 짐작하지요. 하지만 자신의 뜻대로 하지 않고 오직 선의지가 시키는 대로 끝까지 반지를 짊어지고 사지로 들어가요. 이는 마치 자신의 운명을 목전에 두고 "아버지, 원하신다면 이 잔을 제게서 거두어가소서. 하지만 제 뜻대로 하지 마옵시고 아버지 뜻대로 되게 하소서 (누 22:42)."라고 한 예수와 같아요. 자신의 운명 (십자가/반지/잔)을 내려 놓고자 하는 유혹 (제 뜻/사(私))과 그것을 그대로 짊어지고 최후를 맞고자 하는 선의지 (아버지의 뜻/공(公))가 끝없이 충돌하는 거지요. 참으로 처절하고 찐독찐독한 싸움이에요.


2. 2. 서유기 

이 세계관에선 마음 속에서 꺼내어 불구덩이에 던져버릴 야수가 없어요. 마음 속에 뱀이 있건 독충이 있건 상관 없어요. 오히려 흉금의 야수는 강하면 강할 수록 좋지요. 통제가 된다는 전제 하에요. 

제압당하기 전까지의 손오공은 무수한 능력을 갖추고 있으나 통제력이 1그램도 없었어요. 말하자면 [방심] 그 자체예요. 본인이 옥황상제가 되겠다고 날뛰었으니... 어휴. 하고픈대로 다 하고자하는게 원숭이라는 모티프랑 딱 어울려요. 손오공은 태상노군의 팔괘로로도 가둬두지 못할 정도로 대단한 놈인데 결국은 오행산 밑에 봉인되고야 말지요. 오행산(五行山)은 오행, 곧 물질세계 전체를 가리켜요. 가만 보면 맘대로 살고 싶은 우리들을 제약하는 것은 이 세계 자체예요. 시원하고 싶은데 날은 덥고, 따뜻하고 싶은데 날은 추워요. 맘대로 먹고 싶은데 식량은 제한적이고 맘대로 대통령 뽑고 싶은데 내가 가진 건 한 표 뿐이에요. 세계 속에 우리가 존재한다는 것은 세계 속에 우리가 속박되어있다는 거에요. 이 속박과 우리들, 오행산과 원숭이의 충돌이 곧 모든 고통의 원천이에요.

여기서 벗어나는 길은 세계를 인정하고 이해하는 것 뿐이에요. 세계라는, 부술 수 없는 속박 속에서 자유로워지려면 그 속박의 속성을 속속들이 이해하고 따르는 수 밖에 없어요. 비유하자면, 불을 끈 교실에 들어가면 책상과 의자가 모두 내 정강이를 공격해오는 통에 한 걸음도 움직일 수가 없어요. 그러나 불을 키고 나면 책상과 의자는 모두 나를 편안하게 해주는 이기(利器)가 되지요. 책상과 의자는 선악이 없어요. 불을 키기 전에도 악이 아니었고 불을 켠 후에도 선이 아니에요. 손오공에게 있어 [불을 켜]는 행위는 불법에 귀의하여 삼장의 제자가 되는 거였어요. 그렇게 귀의한 순간 세계의 무게 밑에서 한 걸음도 못 움직이던 이 원숭이는 드디어 자유를 얻어요. 물론 아직 통제력이 완벽하지 않아서 마음이 오락가락하지요. 마음이 날뛰려고 할 때마다 손오공을 다잡아주는 긴고아는 요컨대 휴대용 오행산 같은 거예요.

서유기 전체를 삼장 개인의 수행기로 해석하는 해설가들도 많이 있어요. 서유기의 세계관에선 선/악의 갈림길이 개인의 심중에 있기 때문에 작품 전체를 삼장의 심중에서 벌어지는 일로 치환해도 자연스럽게 맞아떨어지는 지점이 있거든요. 

실제 작중의 설명에 따르면 삼장은 천계에서 죄를 지은 댓가로 81가지 고난을 겪고 깨달음을 얻는 운명을 타고났어요. 삼장 일행을 공격하는 요괴들 하나하나가 다 이 81난에 속해요. 색욕의 화신인 요괴의 공격에 맞서 싸우기도 하고 (다 임신해버려라!) 불로장수를 원하는 요괴들과 싸우기도 하고 (삼장을 먹고 불로장수하자!) 권력욕의 화신인 요괴들과 싸우기도 해요 (내가 이나라의 왕이다!). 이 요괴들은 모두 삼장의 심마(心魔)예요. 그러므로 삼장의 원정길은 심중의 욕망들에 대한 통제력을 확보하기 위한 의지력 배양의 과정이지요. 이 역정을 밟아가는 나(삼장)의 주무기(손오공)는 과거에 통제력을 상실하고 날뛰던 삼장 자신의 명예욕 (나는 제천대성이다! 옥황상제가 되겠어!)이에요. 오행산 밑에서 보낸 500년에 더해 긴고아를 씌움으로써 간신히 확보한 손오공은 삼장이 구도의 길을 걷는 데 있어서 가장 필요한 힘의 원천이에요. 세상 모르고 날뛰던 세계 최고의 재능을 굴복시킨 단 하나의 존재인 석가여래처럼 되고자 하는 그 불타는 욕망 (혹은 구도심), 그 힘을 이용해서 다른 모든 심마들을 길들여가는 거지요. 설령 잠시 마음이 흔들릴 수는 있을지언정 삼장은 자기가 아직 진리를 깨닫지 못했다는 생각만 하면 분하고 괴로워서 산해진미도 목구멍에 안넘어가고 경국지색도 눈에 안들어온다... 고 비유할 수 있어요.




3. 결론

이상의 담론은 여러방면으로 확장해서 생각해볼 수 있어요. 예컨대 전자의 세계관에서는 오염부위를 절단함으로서 전체의 건강을 확보하려는 경향이 있고 후자에서는 오염부위를 잘 관리해서 재활시키려는 (혹은 아예 오염부위가 생기지 않게 잘 관리하려는) 경향이 있어요. 예전에 16세기~18세기 무렵 일본과 서양의 정치학 서적에서 의술과 관련된 비유들을 모아서 분석한 논문을 읽은 적이 있는데 서구권에선 절단술(Amputation) 비유가 많았고 일본에선 보양(保養)의 비유가 많았대요. 의미심장하지요.

좋은 사회를 만들기 위해선 어떻게 해야하는가에 대해서도 생각해볼 점을 줘요. 전자의 세계관은 담당자(Agent) 개개인의 힘을 딱히 신뢰하지 않아요. 모두가 악의 유혹 앞에서 나약한 이들이니까요. 따라서 각각의 담당자들을 서로 쳐다보게 함으로써 서로를 서로의 시선 하에 두는 시스템을 더 신뢰하겠지요. 후자의 세계관은 시스템을 손보기 보다는 현재 정해진 시스템 상에 충분히 선의지를 배양한 최적의 담당자를 선발해서 앉혀두는 것을 더 중요하게 생각할 거에요. 왕정에서의 왕의 경우처럼 담당자를 선발하거나 갈아치우기 어려운 시스템이라면 그 왕을 수련시켜서 성인군자로 만들 궁리를 하게 되겠지요.

어느 쪽이 더 좋은가는 상황에 따라 달라질 것 같아요. 예컨대 국가규모의 시스템이라면 담당자 개개인의 선의를 믿기보다는 시스템 자체를 상호 감시 형태로 만드는 게 좋겠지요. 하지만 담당자를 갈아치울 수 없거나 아주 어려운 소규모 시스템이라면, 예컨대 문제의 인물이 내새끼라면...음... 어떻게든 갱생/재활 시키는 쪽이 더 좋을 거에요.



4. Conclusion

글을 쓰다 보니 옛날 일이 하나 더 생각났어요. 아주 어릴 적에 꾼 꿈 이야기에요. 제가 비닐봉투를 하나 들고 있었고 그 안에는 예쁜 나비도 있고 햄스터도 있고 개구리도 있었어요. 걔들을 바라보면서 즐거워하고 있었는데 갑자기 봉투 안쪽에서 뱀이 불쑥 나오더니 그것들을 잡아먹어버린 거에요. 저는 너무 놀라고 두려운 나머지 봉투를 패대기쳐서 뱀을 죽여버렸어요. 꿈에서 깨고 나서 기분이 나쁘고 찜찜하긴 한데 그래도 뱀을 해치웠으니 길몽이라고 생각하고 아빠에게 자랑스럽게 이야기해주었지요. 아빠왈

"어... 너마저 뱀에게 먹히는 것보다야 낫지만 그래도 뱀과 화해했으면 더 좋지 않았을까?"

음, 그렇군요. 그 꿈을 꾼 후로 20년이 훌쩍 지났지만 아직까지 뱀은 돌아오지 않았어요. 이제는 화해할 수 있을 것 같은데 어디갔는지 모르겠네요. 다시 나타나면 긴고아를 씌워 "너, 내 동료가 되어라" 하려구요. 뱀은 지혜롭다니 제 논문도 대신 써주고.... 히히... 좋군요.




참고문헌:

참고문헌 정리는 넘나 귀찮은 것. 추후에 뱀을 잡게 되면 금마가 쓰는 걸로...



* 수박이두통에게보린님에 의해서 티타임 게시판으로부터 게시물 복사되었습니다 (2016-09-19 11:05)
* 관리사유 : 추천게시판으로 복사합니다.



18
  • 에네르기파!!!
  • 치키치키 챠카챠카 쵸코쵸코 쵸~ 치키치키 챠카차카 쵸코쵸코 쵸~
  • 좋은 글 감사합니다.
  • 저는 아빠님 팬입니다
  • 저도 아빠 팬입니다. ㅎㅎㅎㅎ
  • 선공유 후추천 합니다 ^^b


목록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901 경제인구가 줄어드는 것만으로 경제가 망할까? 15 MANAGYST 19/12/21 8307 18
261 철학/종교손오공과 프로도 배긴스 32 기아트윈스 16/09/04 8314 18
65 경제큐이괴담 - QE를 또! 해야 한다는 이유가 또! 나오는 이유 23 MANAGYST 15/09/04 8315 4
338 일상/생각홍차넷 10000플 업적달성 전기 123 파란아게하 17/01/05 8326 46
519 경제외감법 개정과 감사인 지정제는 왜 해야하는가 75 CathedralWolf 17/09/26 8327 9
1129 기타남자 곰타입의 옷배색에 관한 연구 43 흑마법사 21/09/15 8327 10
653 철학/종교칸트 전집 번역 논쟁은 왜때문에 생겼나. 76 기아트윈스 18/06/28 8345 16
157 문화/예술게임계의 절대적인 상징, 슈퍼마리오 7 커피최고 16/02/18 8346 6
57 영화안티고네는 울지 않는다 - 윈터스 본(Winter's Bone) 6 뤼야 15/08/03 8348 0
359 꿀팁/강좌인간의 일 22 moira 17/02/04 8349 16
219 문화/예술돌멩이를 모으는 남자 28 Toby 16/06/15 8354 21
286 역사클로비스 화살촉과 발사무기 8 모모스 16/10/20 8354 8
576 경제원전으로 보는 마르크스의 노동가치론 24 소맥술사 18/01/10 8356 18
21 정치/사회전염병을 앞에 두고 “나는 누구의 편인가”를 논하는 한국 사회 26 삼공파일 15/06/11 8359 0
583 체육/스포츠테니스를 araboza 22 무더니 18/01/25 8368 18
82 일상/생각수줍수줍..이런걸 한번 해봤어요.. 23 얼그레이 15/09/29 8374 21
117 기타연말, 연초에 선물하기 좋은 와인 30 마르코폴로 15/11/24 8394 7
77 경제집은 시장리스크, 전세는 신용리스크 20 MANAGYST 15/09/22 8400 6
782 의료/건강어떻게 의사는 사고하는가 - 1. 단어 정의 21 세란마구리 19/03/21 8403 15
126 경제Negative world(마이너스 금리 시대) 4 MANAGYST 15/12/07 8408 7
718 요리/음식TV 맛집 목록 총 취합 36 소비의왕 18/10/19 8411 62
243 정치/사회정말 젊은 여성들은 정치/사회에 관심이 없을까? 26 DoubleYellowDot 16/08/03 8416 10
691 경제소득주도성장에 대한 비판적인 생각 28 Danial Plainview(Profit) 18/08/30 8425 14
371 창작생선살 발라주는 사람 64 열대어 17/02/20 8426 19
49 경제그리스 위기 즈음에 돌아보는 한국의 IMF(최종편) 19 난커피가더좋아 15/07/22 8433 0
목록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