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회원들이 추천해주신 좋은 글들을 따로 모아놓는 공간입니다.
- 추천글은 매주 자문단의 투표로 선정됩니다.
Date 17/02/04 23:19:02
Name   moira
Subject   인간의 일
Homo sum, humani nihil a me alienum puto.  (Heautontimorumenos,  1.1 25)

"나는 인간이다. 인간의 일로 나와 무관한 것은 아무것도 없다."
I am a human; nothing human is alien to me.

몽테뉴의 집 천장에도 적혀 있었다는 이 멋있는 라틴어 경구는 다른 나라, 다른 인종, 다른 계급과 다른 문화를 넘어 '인간이라면 어찌 이를 보고 외면하랴'는 의미로 보편적 휴머니즘을 호출할 때 서구인들이 즐겨 사용해온 문장이에요. 사회운동가와 국제연대 지지자들은 아직 이 경구를 연대와 참여를 호소하는 슬로건에 종종 사용하고 있는 듯해요. 하지만 옛날 고사성어를 읊어대는 건 아무래도 좀 꼰대 같은 느낌을 주니까... 주의해서 써야죠.

제가 최근에 이 경구를 접한 건 '세계시민사상이라는 신화'라는 칼럼이었어요. 옆동네에 이 칼럼을 번역해 주신 친절한 분이 계시더군요. 로스 다우닷이라는 뉴욕타임즈 칼럼니스트의 글인데, 이걸 보고 대통령 트럼프를 탄생시키는 데 공헌한 미국의 우파 저널리즘이 어떤 논법을 구사하는지 약간은 알 수 있었어요. 그런데 한 가지 눈에 띈 것은 하버드 최우수 졸업자라는 다우닷이 위의 경구를 인용하는 맥락이 좀 이상했던 거였어요.

[Genuine cosmopolitanism is a rare thing. It requires comfort with real difference, with forms of life that are truly exotic relative to one’s own. It takes its cue from a Roman playwright’s line that “nothing human is alien to me,” and goes outward ready to be transformed by what it finds.]
http://www.pgr21.com/pb/pb.php?id=freedom&no=69417&sn1=on&divpage=14&sn=on&keyword=OrBef

옆동네 번역도 아주 잘 읽히지만 의역이 많아서 약간만 수정할게요. "진정한 의미의 세계시민사상은 사실 구현하기 매우 힘든 것이다. 진정한 세계시민주의자라면 자신이 자란 문화권의 시각에서 볼 때 너무나도 다른 것들, 너무나도 이국적으로 보이는 삶의 방식들에 불편함을 느껴서는 안 된다. 진정한 세계시민주의자라면 어느 로마 극작가가 썼던 "인간의 일로 내게 alien한 것은 아무것도 없다"는 대사를 신조로 삼고, 바깥 세계로 나아가매 그때그때 자신이 발견한 것들을 통해 스스로를 변화시켜 나갈 준비가 되어 있어야 할 것이다."

그러고서 다우닷은 오늘날 서구의 '세계시민주의자'들은 그렇게 훌륭한 자들이 아니라 끼리끼리 모여서 외국 유람이나 하고 편하게 사는 위선적인 엘리트들이다... 라는 이야기를 길게 늘어놓아요.

"nothing human is alien to me"를 다우닷이 해석하는 방식은 많이 독특해요. 여기서 alien은 라틴어 alienum의 어원을 그대로 살려 영어로 번역하는 전통 속에서 굳어진 표현이에요. 우리도 예전엔 한문을 번역할 때 현대 한국어로 번역하지 않고 그냥 발음만 가져다가 전사하곤 했잖아요. 이 경구를 쓸 땐 문자로는 alien을 쓰더라도 새길 때는 현대 영어 alien의 '생경하다, 이상하다'라는 뜻으로 쓰면 안 되고, '무관한 것'으로 쓰는 게 정석이에요. 다우닷의 칼럼 맥락을 보면 이 문장은 "인간의 일로 내게 이상한/생경한 것은 아무것도 없다"는 인식과 수용의 차원을 이야기하는 것처럼 보이는데, 아무리 봐도 이건 초마이너한 해석이에요. 좀 더 나가면 틀렸다고 과감하게 이야기할 수도 있는.

어째서 틀렸는가... 이 문장이 발견된 역사상 첫 출처로 거슬러올라가면 좀 재미있는 걸 발견할 수 있어요. 이 구절은 기원전 2세기의 로마 극작가 테렌티우스의 <자학하는 인간들>이란 세태극에 나오는데요. 아테네 근교의 시골 마을에 크레메스라는 지주와 그 가족이 살고 있었는데, 옆집에 새로 이웃이 이사를 와요. 이이는 아테네에서 대도시 생활을 하다 귀농한 메네데무스라는 사람이에요. 첫 막 첫 장면에서 크레메스는 이웃을 찾아가 벌써 친구가 된 것처럼 귀찮게 굴면서 장광설을 늘어놓아요. '야 우리 만난 지는 얼마 안 됐지만 친하게 지낼 운명 같다. 너 나이는 60살쯤 됐냐? 너 땅도 좋은 거 샀고 노예도 많고 괜찮은 집안인 거 같은데... 근데 보니까 너 맨날 밭에 나와 있더라. 농사일은 노예들을 시켜야지 니가 왜 직접 하니, 그러면 농장운영 효율도 낮다 너...' 등등.

메네데무스는 퉁명스럽게 대답해요. "너 그렇게 할 일이 없니. 너하고 상관없는 일인데 신경 좀 꺼주지?"

여기서 크레메스가 문제의 그 대사를 쳐요. "나는 인간이잖아. 인간의 일로서 나와 무관한 건 아무것도 없거든."

즉 이 오래되고 멋있는 모토의 원래 의미는 꼴사나운 오지라퍼가 자신의 무리한 오지랖을 합리화하는 억지였던 거예요. 네가 뭐래도 나는 네 일에 참견하겠다! 일이 (내가 보기에) 제대로 안 되어가고 있는 것을 그냥 두고 볼 수는 없다는 강한 의지의 표현이지요. '내가 인식하기에 이상한 것은 없다'가 아니라 '내가 실천적으로 관여하지 못할 일은 없다'는 뜻. 오늘날 원작의 풍자적 의미는 거의 잊혀지고 고상한 휴머니즘적 의미만 남았지만, 사회운동가들은 원전의 맥락을 나름대로 이어가 일종의 발전된 자발적 오지라퍼/프로불편러가 되었다고 할 수도 있을 듯해요.

다우닷이 칼럼에 이 경구를 끌어올 때는 '너 자신이 니가 가진 것을 포기하지 않는데 어떻게 진정한 세계시민주의자-리버럴이라고 할 수 있는가' 하는 비난의 맥락에 사용하기 위해서였지요. 하지만 메이저한 해석에 따라 이 경구를 적용하자면 세계시민주의자는 자신을 변화시키는 사람이 아니라 외부를 변화시키는 사람, 세계사에 참여하는 사람이 되네요. 즉 다우닷이 싫어하는 바로 그자들의 행태가 되는 거죠. 미국의 세계시민주의자(제국의 전도사)들과 부족주의자(고립주의자)들 가운데 어느 쪽이 이 세계에 조금이라도 더 공헌하고 있는가, 그것은 또다른 논의의 주제가 되겠지요.


꿀팁/강좌글로 업적 달성에 한 발짝 더 다가가게 되었어요. 어느 세월에 하지...

* 수박이두통에게보린님에 의해서 티타임 게시판으로부터 게시물 복사되었습니다 (2017-02-13 10:15)
* 관리사유 : 추천 게시판으로 복사합니다.



16
  • 꿀재미글은 추천
  • 새롭게 알고갑니다 ㅎㅎ
  • 본문과 댓글 모두 좋습니다.


레이드
잘 보았습니다. 이 글을 보면서 느낀 건 역시 어떠한 말 혹은 글이라도 사용하는 사람의 생각과 의도에 따라 움직이고, 바뀐다는 거였어요. 어떻게 보면 '말'의 입장은 굉장히 처연하고 처량한거에요. 정말.
진짜 그래요. 말을 무기로 쓰는 사람들은 자기가 얼마나 위험한 일을 하는 건지 자각이 있어야 할 거예요. 정규재 tv에 박근혜가 나왔을 때 조금 봤는데 으으 언론인이라는 사람이 다루는 언어가 너무 느끼하고 교활한 거예요. 말에도 의지가 있다면 그의 입 근처에 가고 싶어하지 않을 거 같아요.
난커피가더좋아
모이라님 본문과 레이드님 댓글을 보니 제가 좋아하는 퀜틴 스키너가 떠오르네요. 언어의 맥락을 추적한다는 점에서....2월말에 셤 끝나면 한 번 글 파볼까나...
기아트윈스
24일에 퀜틴 스키너 렉쳐 들으러가요. 아는 사람이 없을 거라고 생각했는데 있었다니... 후기 남겨야지 히힣
난커피가더좋아
오....저 완전 팬이에요!!!!!
기아트윈스
싸인 받아올게요. 문구는 "To I like coffee more" 정도!?
난커피가더좋아
ㅎㅎㅎㅎ
커피좋아님의 글은 언제나 환영이지요. 빨리 셤 끝나랏
퀜틴 스키너는 읽어본 게 전혀 없는데 쬐끔만 미리 소개해 주시면 안 돼요?
난커피가더좋아
렉쳐들으러 가는 기아트윈스님이 후기 남겨주신대요 ㅋ
은머리
이야 너~무 너~무 재밌어요. 이건 딴얘긴데 모이라 님 글씨체 되게 편하게 읽혀요.
뭐가 그~리 그~리 재밌을까. 근데 머랄까 약간 쌍동이아빠 글 하위호환 같지 않아요? ㅋㅋ
완전 재미있게 잘 읽었습니다.

프로 오지라퍼의 경구가 참 .......
재밌게 읽어주셔서 고마와요 프로 서바이버님!
절름발이이리
나는 키워이다. 키워의 일로 나와 무관한 것은 아무것도 없다.
이런 좋은 표어가..
ㅋㅋㅋㅋㅋㅋ
strelka
ㅋㅋㅋㅋㅋㅋㅋㅋㅋ
오 저는 무의식적으로 '생경하다'의 의미로 읽었는데... 뉘앙스가 다른거군요 @_@...
같은 경구로 "있는 그대로 받아들이자!" 와 "오지랖부려서 바꾸자!" 둘다 커버가 된다니(?) 신기해요 ㅎㅎ
아 위트있게 패러프레이즈를 해주셨네요 ㅎㅎ 우린 현대인들이니까 둘 다 커버 가능!
삼공파일
다우닷이 인용한 맥락이라면 Orbef님이 쓴 번역이 더 적절한데 애초에 인용한 맥락 자체에 오류가 있었네요. 경이로운 고전문학 지식에 감탄.

홍차넷에서 댓글로 배운 토막 지식인데 비슷한 게 있어요. 케인즈가 "장기적 관점에서 우리는 모두 죽는다(In the long run we are all dead)"라는 말을 한 적이 있거든요. 이 말이 실존주의적 맥락으로 자주 인용이 되고 저도 그런 줄 알았어요. 케인즈는 왠지 계산적이고 냉철할 것 같은 이미지인데 죽음 앞에서는 모든 것이 의미가 없다는 말을 하다니, 역시 진정한 현자인가 하는 생각도 했고요.

그런데 그게 아니었어요. "장기적 관점에서(... 더 보기
다우닷이 인용한 맥락이라면 Orbef님이 쓴 번역이 더 적절한데 애초에 인용한 맥락 자체에 오류가 있었네요. 경이로운 고전문학 지식에 감탄.

홍차넷에서 댓글로 배운 토막 지식인데 비슷한 게 있어요. 케인즈가 "장기적 관점에서 우리는 모두 죽는다(In the long run we are all dead)"라는 말을 한 적이 있거든요. 이 말이 실존주의적 맥락으로 자주 인용이 되고 저도 그런 줄 알았어요. 케인즈는 왠지 계산적이고 냉철할 것 같은 이미지인데 죽음 앞에서는 모든 것이 의미가 없다는 말을 하다니, 역시 진정한 현자인가 하는 생각도 했고요.

그런데 그게 아니었어요. "장기적 관점에서(in the long run)"는 경제학적 용어로 거시적인 의미를 담고 있는 전문적인 말이에요. 그걸 중의적으로 쓴 줄 알았는데 그게 아니라 그 의미 그대로 경제학에 국한된 이야기였어요. "우리는 모두 죽는다"를 말하려는 게 아니라 "장기적 관점에서"를 설명하는 문장이었던 거죠.

The long run is a misleading guide to current affairs. In the long run we are all dead. Economists set themselves too easy, too useless a task if in tempestuous seasons they can only tell us that when the storm is past the ocean is flat again.
장기적 관점은 현재 발생하는 일에 잘못된 지침이 된다. 장기적 관점에서 우리는 모두 죽는다. 경제학자들은 너무 쉽고 무의미한 작업을 하고 있다. 그들은 태풍이 거세게 몰아치는 때가 되었을 때 폭풍이 지나면 바다가 잠잠해질 것이라는 예측 밖에 내놓치 못할 것이다.

http://www.simontaylorsblog.com/2013/05/05/the-true-meaning-of-in-the-long-run-we-are-all-dead/

현판으로 자주 세워지는 욥기의 "네 시작은 미미하였지만 네 끝은 창대하리라"도 맥락을 이해하지 못한 잘못된 인용이고 이런 게 아주 많을 것 같아요.
아마 현대 영어 화자들에겐 다우닷 씨의 용법이 더 잘 와닿을 거 같기도 해요. 다우닷 씨가 '로마 극작가가 말한'이라고 제한을 붙이지 않고 그냥 경구 내용만 인용했으면 요즘 사람들이 통상 이 경구를 해석하는 방식이 그러하구나 하고 그냥 넘어갔을 텐뎅.
'장기적으로'가 중의적인 용법이 아닌 거였어요? 헝.
욥기도 그렇고 '누가 누구에게 말하고 있는가' 기본 맥락을 모르는 채로 옮기다 보면 인용에 에러를 범하기 쉽지요. 특히 번역할 때 그런 일이 많은데... 잘 지적해 주셨네요.
경이로운 이런 창렬한 단어는 쓰지 말아요 ㅋㅋ
생각해보니 슈뢰딩거의 고양이도 그런거 같아요. 원래는 슈뢰딩거가 코펜하겐 해석... 이라는 양자역학 해석방식을 까기 위해서 "늬들 말대로 하면 결국 양자역학이 이런 고양이 넣어놓고 죽음과 삶이 반 씩 중첩된 상태다 라고 하는 짓거린데 이게 말이나 됨?" 이라는 것이었는데 어느샌가 오히려 양자역학을 대표하는 이야기가 되어버렸죠.

양자역학을 비판하려고 고안한 사고실험이 대중들에게 양자역학이 무엇인지 설명하는 가장 유명한 사고 실험이 되어버린 셈이라.......
좋은 예를 들어 주셨네요. 슈뢰딩거의 냥이 불쌍... ㅜㅜ
목록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656 꿀팁/강좌고부갈등을 해결해보자 - 희망편 40 기아트윈스 18/07/02 8059 56
655 꿀팁/강좌집단상담, 무엇을 다루며 어떻게 진행되는가 4 아침 18/07/02 6233 14
644 꿀팁/강좌[사진]이미지의 품질 12 사슴도치 18/06/07 7267 10
640 꿀팁/강좌[사진]꿀팁. 내가 써본 보정하기 좋은 어플순위 13 사슴도치 18/05/31 9058 14
496 꿀팁/강좌[사진]하늘 사진을 찍어봅시다. 4 사슴도치 17/08/18 8230 8
492 꿀팁/강좌[커피]모카포트이야기 39 사슴도치 17/08/11 10400 11
443 꿀팁/강좌[사진]을 찍는 자세 20 사슴도치 17/06/02 8935 6
420 꿀팁/강좌[사진]인물 사진의 기초 - '앵글'을 알아봅시다. 14 사슴도치 17/04/26 8671 8
418 꿀팁/강좌[사진]인물 사진의 기초 - '프레이밍'을 알아봅시다. 2 사슴도치 17/04/25 7522 7
413 꿀팁/강좌국립중앙박물관에 가 보세요! 34 열대어 17/04/16 7705 15
410 꿀팁/강좌원룸 구할 때 고려해야 할 것 (#원룸 #부동산 #월세 #자취) 5 이슬먹고살죠 17/04/12 9304 7
409 꿀팁/강좌[사진]주제 부각하기. 15 사슴도치 17/04/10 5893 5
403 꿀팁/강좌움짤을 간편하게 만들고 업로드해보자 (데이터 주의) 6 익금산입 17/04/01 9569 16
367 꿀팁/강좌[사진]판형에 대해 알아봅시다. 30 사슴도치 17/02/16 8353 11
365 꿀팁/강좌[사진]노출의 3요소와 PSAM 27 사슴도치 17/02/15 9574 13
361 꿀팁/강좌사진찍으러 갈까요? 22 사슴도치 17/02/07 8175 25
359 꿀팁/강좌인간의 일 22 moira 17/02/04 8705 16
352 꿀팁/강좌읍,면,동 주민센터 방문시 알아두면 좋을 팁. 6 레이드 17/01/23 7136 12
281 꿀팁/강좌셀카기술학 개론 (1) 19 elanor 16/10/12 9247 7
249 꿀팁/강좌의료 및 의학 관련 질문을 올릴 때 27 리틀미 16/08/11 6870 4
246 꿀팁/강좌조용함의 떠들썩한 효과 26 눈부심 16/08/07 7217 8
204 꿀팁/강좌우리의 뇌에는 청소부가 있어요. 66 눈부심 16/05/12 9156 11
147 꿀팁/강좌로버트 새폴스키 - 스트레스와 인간 16 눈부심 16/01/31 9241 10
141 꿀팁/강좌만장일치의 역설 30 눈부심 16/01/11 9367 11
114 꿀팁/강좌진지한 취미 사진가를 위한 다섯 가지 팁(스크롤 압박!) 43 *alchemist* 15/11/15 10559 14
목록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댓글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