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회원들이 추천해주신 좋은 글들을 따로 모아놓는 공간입니다.
- 추천글은 매주 자문단의 투표로 선정됩니다.
Date 15/07/10 13:34:16
Name   이젠늙었어
Subject   캐나다 영주권에 대한 이런저런 이야기
며칠 전에 캐나다에서 한국인 영주권자가 타국에서 온 이민자보다 이득을 보고 있다는 글을 썼었는데 거기서 많은 분들이 기술이민에 대해서 궁금해 하시기에 이렇게 글을 쓰고 있습니다. 요즘 자유게시판이 참 맛있는데요, 갑자게 제가 거기에 재뿌리는것이나 아닌지 모르겠네요.

경고

여기에 있는 정보는 정확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그동안 법이 바뀌었고 많은 부분에서 변경이 이루어 졌습니다. 이민법은 생물과 같으며 변덕스럽습니다. 취업 후 영주권 전단계인 LMO(현재는 LMIA) 라던가 취업 비자 승인/연장 등의 정책이 하루아침에 바뀔 수 있습니다. 가장 최신 정보는 캐나다 이민성 홈페이지에 있습니다. 다른사람으로부터 전해들은 이야기는 - 이 글을 포함하여 - 이미 과거의 이야기거나 이민 사기를 위한 허위일 수 있습니다.

영주권의 정의

캐나다 영주권이란 캐나다에 쭉 살 수 있는 비자를 뜻합니다. 캐나다 법은 영주권자를 내국인으로 분류합니다. 단지 선거권/피선거권이 없고 군대 지원 불가를 제외하면 모든 권리와 의무가 시민권자와 동일합니다. 심지어 캐나다 공무원이 될 수도 있습니다. 최근 6년간 4년동안 캐나다에 살았다면 시민권 신청이 가능하며 심사를 통과하면 캐나다 시민이 됩니다. 캐나다에서 영주권자란 예비 캐나다인으로 취급되는것 같습니다. 단, 최근 5년간 2년 이상 캐나다에 거주하지 않으면 영주권이 취소됩니다. 영주권자가 금고 6개월 이상의 형을 받으면 형 만료 후 추방됩니다. 시민권자는 캐나다 바깥에 있어도 정부로부터 보호를 받지만 영주권자는 캐나다에서 출국하는 순간 그냥 외국인이 됩니다.

영주권의 종류

영주권은 모두 똑같습니다. 단, 영주권을 취득하는 방법이 다양합니다. 캐다나 영주권자/시민권자와 결혼을 하거나 부모나 자식이 초청을 하거나 투자나 사업을 하거나 난민신청을 하는 등등 다양합니다. 연방 정부 이외에 오지 지역에선 해당 지역의 대학을 졸업만 하면 영주권을 주는 프로그램도 과거엔 있었다고 합니다. 캐나다는 10개의 주와 3개의 준주로 이뤄져 있는데 각 주별로도 여러가지 이민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습니다. 단, 주별 프로그램은 해당 지역에 의무 거주하여야 하는 제한이 있을 수 있습니다.

기술이민이란?

캐나다 기술이민의 정식 명칭은 연방독립기술이민입니다. 이 이민 방법의 A to Z 은 캐나다 이민부 사이트 http://www.cic.gc.ca/english/index.asp 에 다 있습니다. 타국도 동일할 겁니다. 모든 정확한 정보는 해당국의 이민부 혹은 이민성 사이트에 있습니다. 기본적으로 연방정부 차원에서 전국적으로 부족한 전문직/기술직들의 수요를 조사한 후 전 세계에 '이러이러한 사람이 이만큼 필요하니 영주권 신청해 주세요' 하는 겁니다. 그래서 캐나다 가고 싶은 해당 직군의 사람이 영주권 신청을 하면 심사 후에 영주권을 발급하는 겁니다. 보다 더 자세한 설명은 damianhwang 님의 글인 http://www.pgr21.com/pb/pb.php?id=freedom&no=53950 에 아주 자세히 설명되어 있습니다. 기술이민의 장점은 가장 리스크가 작고(저처럼 캐나다에 한번도 안간 상태에서도 획득이 가능합니다), 가장 싸고(이주업체에 맡겨도 수수료가 250만 ~ 300만원이면 떡을 칩니다), 또 한번 가장 싸고(4인 가족 기준 약 $25,000 정도의 재산만 증명하면 됩니다), 가장 제약이 없고(사업을 안해도 되고 그 직장에 안다녀도 되고 아무데서나 살아도 됩니다), 가장 신속합니다(현지에 몇년간의 학업이나 취업이 전제되는게 아닙니다).

그럼 끝.








이러면 재미가 별로 없네요. 다시 시작합니다.

연방정부 차원에서 전국적으로 부족한 전문직/기술직들의 수요를 조사한 후 전 세계에 '이러이러한 사람이 이만큼 필요하니 영주권 신청해 주세요' 라는게 기술이민이라고 했습니다. 여기서 이러이러한 사항은 경력, 영어, 신원, 건강 입니다. 기술이민을 하려는 사람들이 넘어야할 실제 허들입니다.

경력

실제로 캐나다에서 원하고 있는 직군의 사람이라는걸 증명해야 합니다. 해당 업체에서의 납세 기록과 직무 내역서 그리고 경력 증명서 등이 필요합니다. 간혹 프리랜서로 몇년간 경험이 있으신데 그간 현금결재만 하셔서 세금낸 흔적이 없다면 이 증명이 힘들 수 있습니다. 또한 해당 업무를 하기 위해서 교육받은 학위증, 면허증, 자격증 등이 첨부되어야 합니다.

영어

영어성적을 제출하여야 합니다. IELTS General module 시험입니다. 제 개인적으론 가장 넘기 힘든 허들이었습니다. 나이먹고 공부하려니 원, 복장이 터져서리...

신원

나이가 많지 않아야 합니다. 또 전과자가 아니어야 합니다. 만약 음주운전 전과가 있었다면 5~10 년 정도가 지났어야 하고 캐나다 정부의 복권 절차를 거쳐야 합니다. 외국에서 6개월 이상 체재하였다면 체재했던 모든 나라에서 Police report를 발급하여 제출하여야 합니다. 아무리 사소하더라도 폭력사건으로 두 건 이상 경찰 조사를 받은 사항이 있다면 영주권은 힘들다고 합니다. 이민을 추진하시려는 분들은 모든 가족의 경찰서 신원조회서(실효형 포함)를 먼저 발급하여 보시고 미리 상황에 대처하셔야 합니다. 실제로 간호사 이민을 추진하시던 분이 남편의 까마득한 과거의 조그마한 경찰기록으로 인해 곤란한 지경에 빠지는 경우를 들은 바 있습니다.

건강

모든 서류검토가 끝나면 전 가족이 건강검진을 받아야 합니다. 한국에 몇군데 지정병원에서만 합니다. 건강검진 요청은 무척 시급하게 온 기억이 납니다. "일주일 안에 받을 것. 예외 없음" 이라는 식으로 기억됩니다. 건강검진에서 에이즈 같은 전염병이 있으면 안됩니다. 가족 구성원중 한명이 지속적으로 많은 복지비용을 유발하는 질병(자폐증 등)이 있으면 안됩니다. 실제 캐나다 초급학교엔 단 한 명의 장애인을 위해서 전담 보조교사가 선임된다고 합니다. 비용은 정부부담입니다. 흔하게 일어나는 일이 결핵입니다. 과거 결핵환자였던 분들은 X-Ray 촬영 후 다시 객담검사라는걸 해야 한답니다.

기타

모든 허들을 넘기면 이제 COPR(Confimation Of Permanent Residence) 이라는 영주승인서가 옵니다. 이제 드디어 집을 팔고 이삿짐을 붙인 후 이 서류를 들고 캐나다에 입국합니다. 그러면 해당 공항에서 별도의 방으로 붙들려가서 자원봉사자에게 여러가지 신규 이민자를 위한 여러가지 안내와 브로셔를 얻은 후, 다시 심사를 받고(너 COPR 받은 후에 감옥에 간 적 있냐? 이런거 물어봐요) 영주권자 지위를 부여받게 되는 겁니다. 통상 COPR의 유효기간은 건강검진일로부터 딱 1년입니다.

주의사항 1 : 이주업체 선정

저는 좀 귀차니즘이라 그냥 이주업체에 모든 서류 작업을 위임했습니다. 그런데 기술이민이 말씀드렸던 것처럼 쌉니다. 이주업체의 목적은 우리의 영주권 획득을 돕는게 아니라 돈을 버는 겁니다. '선생님 같은 경우는 이 주에서 사업 이민을 신청하시면 백프롭니다...' 라는 식으로 수수료가 훨씬 비싼 프로그램으로 유도하더군요. 이민부 사이트에서 본인에게 적합한 프로그램을 찾았다면 밀고 나가시길 바랍니다. 그러기 위해선 먼저 알아야 합니다.

주의사항 2 : 과거의 기록

이 글은 제가 3~4년 전에 있었던 일을 끄적인 겁니다. 그동안 이민 방법이 3~4번 바꼈습니다. 때문에 여기에 있는 내용은 100% 올바른게 아닙니다. 위에 링크해 드린 damianhwang 님의 글 또한 과거의 것입니다. 현재는 Express Entry 라는 거라는데 자세한건 저도 잘 모릅니다. 아마 이런 내용들을 파고들어 이해하는게 기술이민이든 뭐든 영주권 획득의 첫번째 허들이 아닐까 생각됩니다.

이상, 괜히 글 하나 올렸다가 많은 분들이 요청하신 숙제를 마칩니다. 휴~ 힘들었다.


* Toby님에 의해서 자유 게시판으로부터 게시물 복사되었습니다 (2015-07-20 01:54)
* 관리사유 : 추천게시판으로 복사합니다.



0


    기다렸습니다!!! 선 댓글 후 정독갈게요!! 감사합니다.
    외노자
    잘 읽었습니다. 호주에서 워홀할때도 이민 준비하시던분들이 IELTS <- 요거 때문에 걱정많이하시고 힘들어하시던데..
    캐나다도 마찬가지인가봐요..5년안에 2년만이라... 일본거 받으면 준비해서 한번 노려봐도 재밌을거같네요.. 뭐... 나이가 걸리긴하겠지만..ㅠ.ㅠ
    솔지은
    이민가고싶다....
    어제 모 의사 사이트의 익게 베스트글 중 하나가 싱가폴 이민간 의사 이야기였는데. 요즘 어디던 이민이 핫하긴 합니다. 저로 비지팅이 꼬여서 토론토를 가야 하나 망설이고 있네요.. 추워서 가기 싫었는데 흑..
    이젠늙었어
    BC주 오세요, 한국보다 따뜻해요. 알버타로 오세요. 한국어 가능한 패밀리닥터가 별로 없어요.

    캘거리에서의 날씨는 습도가 별로 없어서 바람만 안불면 체감온도가 별로 없어요. 산뜻하게 추운 느낌이랄까, 영하 20도라도 어~ 시원하다 라는 느낌이에요. 오히려 한국의 영하 5~6도가 뼛속까지 시리는 느낌이에요. 그리고 결정적으로 맨몸으로 나다닐 일이 별로 없어요. 실내체육관, 수영장등이 즐비하고 이동은 주로 차를 이용하니 길거리가 휑 하네요.
    realise
    사실 개인적으로 의사분들 이민 안 가는 게 신기하기도 합니다. 뭐 물론 크게 따로 준비하지 않는 이상 주어진 커리큘럼따라 전문의따고 병역의무까지 마치면 주로 35살 근처고 이 때면 가족도 이미 생겼을 것이고 기반도 잡히고 그러면 또 어렵긴 하겠지만요. 그런데 아마 또 지금 새로 입학하는 젊은 의대생, 약대생, 간호대생 같은 경우는 적극적으로 고려할 것 같기도 하네요. 저는 예전에 알아봤는데 문돌이는 기술이민은 갈 방법이 딱 회계전공 하나밖에 없더군요 크크크
    요즘 젊은 친구들은 미국 많이 가서 시험은 치는데 아무래도 (라고 쓰고 대놓고) 유리천장이 있다보니 많이들 다시 돌아오기도 하더군요. 인기과에 매칭되기가 정말로 힘듭니다.. 라이선스 인정도 다르고 해서 어려운 점이 좀 있죠. 그냥 의사 면허증 뿐 아니라 전문의 인정은 더 어려운 편이라..
    realise
    그렇군요... 그렇게 보니 가난하다고 꿈조차 가난할 수는 없다의 저자 김현군군도 스탠포드 경제학과를 우등졸업해놓고 다시 한국 Zel님 계시는 곳 의전으로 돌아온 거 보면... 타국에서 직업을 인정받고 생활하는 게 장벽이 크긴 하겠네요. 말씀하신 유리천장도 그렇고.
    damianhwang
    미국의 경우는 외국 전문의들이 인턴부터 다시 하는 열정페이가 많은 편이라 들었고;
    캐나다의 경우는 매해 인턴을 밟을 수 있는 의사 숫자가 그 해 캐나다 의대 졸업생 숫자랑 똑같이 맞춰놓는다고 하더군요.
    미국 경기가 좋았을 때는 캐나다 의대 졸업자들이 미국 많이 가서..
    (닥터 하우스에도 나오죠.. McGill 티셔츠 입고 다니는 여의사 ;-)
    빈자리가 그나마 있었는데 이젠 그런 것도 없어서..

    약사, 간호사, 물리치료사의 경우는 학제가 달라서 면허시험 응시 자격에 문제가 된 경우도 있고요.
    이래저래 문제가 있죠 ;-)
    흐흐흐 수고하셨어요.
    저도 괜히 음식 잘한다고 자랑질할라다가 글을 몇개를 썼는지...
    아... 저도 이민가고 싶은데 전과가 있어서 틀렸네요. 크
    이젠늙었어
    무서운 분이셨군요. 얘기좀 들려주세요.
    와... 자세히 써주시느라 고생하셨습니다~
    영주권얻기란 정말 힘들군요....크크
    저는 그냥...여기 있는걸로
    이야기 잘봤습니다~!
    damianhwang
    제가 쓴 글이 링크에 ;-)
    이젠늙었어님 말씀처럼 제가 쓴 글은 2014년까지의 상황입니다.
    올해부터 시행되는 캐나다의 express entry는 기본 개요는 비슷한데
    영역별 배점과 형식이 바뀌었습니다.

    기존 방식은 서류를 완벽하게 갖추어서 선착순으로 정해진 TO만큼 접수한 후에, 그 서류만 심사해서 영주권을 주는 거였는데
    Express Entry는 캐나다 이민국이 만들어 놓은 온라인 시스템에 서류를 등록해 놓으면,
    평가점수 높은 순서대로 이민국에서 우선적으로 초대장을 보내는 방식입니다.
    그러니까 1년에 한번 하던... 더 보기
    제가 쓴 글이 링크에 ;-)
    이젠늙었어님 말씀처럼 제가 쓴 글은 2014년까지의 상황입니다.
    올해부터 시행되는 캐나다의 express entry는 기본 개요는 비슷한데
    영역별 배점과 형식이 바뀌었습니다.

    기존 방식은 서류를 완벽하게 갖추어서 선착순으로 정해진 TO만큼 접수한 후에, 그 서류만 심사해서 영주권을 주는 거였는데
    Express Entry는 캐나다 이민국이 만들어 놓은 온라인 시스템에 서류를 등록해 놓으면,
    평가점수 높은 순서대로 이민국에서 우선적으로 초대장을 보내는 방식입니다.
    그러니까 1년에 한번 하던 일을 매달 하는 걸로 바뀌어서 예전보다 절차는 간소화되었고 실제 심사결과도 빠르게 나옵니다만..

    문제가 있는 것이, 평가 항목별 점수가 대폭 수정되었다는 것이 기존에 학력, 직장경력, 나이, 영어점수 위주로 보던 것에서...
    그 기본 스펙만큼 캐나다 현지취업경력, 캐나다 현지 학교 졸업 등을 보게 되었습니다.

    그러니까 이젠늙었어님이나 저처럼, 캐나다에 가서 학업이나 취업활동을 하지 않은 사람은 우선순위가 한참 뒤로 밀리게 되었다는 것이죠;

    그럼에도 불구하고 희망이 있는 것은, 캐나다 현지경험이 있는 점수 높은 사람들이 초대장을 거의 다 받아서...
    (그 익스프레스 엔트리 처리하는 것때문에, 2014년 신청자들의 서류 심사로 뒤로 대폭 밀려났습니다...;;;만은..)

    예전처럼 학력, 경력, 나이, 영어점수 만으로도 초대장을 받을 기회는 여전히 있다는 것이죠.

    직접 온라인 싸이트에 서류를 등록해놓고, 초대장을 받은 후에 정식으로 내기만 하면 되는거라
    절차 자체는 매우 간소화된 편입니다.
    이젠늙었어
    그러니까 예전에 서류 선착순이었는데 이젠 캐나다 정부 입장에서 제일 맘에 드는 인력부터 선발하겠다는걸로 바뀐거군요.

    최신 정보를 업데이트 해주셔서 감사합니다. 더불어 허락도 안받고 글을 링크한 점도...
    damianhwang
    작년 8월에 접수한 서류가 작년 12월에 연방이민국에서 긍정적 의견으로 마닐라 비자 오피스로 넘어갔는데;
    7월이 된 지금까지 In Process인걸 봐서는 Express Entry가 엄청 밀려 있긴 한가봅니다;
    저도 Express Entry로 다시 해야 되는거 아닌가 모르겠어요;
    IELTS 8점 다시 받을 자신 없는데 .....-_-;;;;
    이젠늙었어
    저는 서류 제출 후에 한 20개월 후에 추가정보 + 신체검사요구를 받았습니다. 작년 8월 서류 접수하셨다면 아직 좀 느긋하셔도 될 것 같은데요? 아, 저때는 한참 이민부 공무원들이 몇개월간 파업하고 막 그랬었습니다만...
    목록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869 일상/생각따뜻함에 대해서 22 19/09/29 246345 27
    737 꿀팁/강좌지금 쓰는 안경에만 돈을 75만원씩 퍼부은 사람이 알려주는 안경 렌즈 선택의 거의 모든 것 22 April_fool 18/11/28 63751 52
    695 정치/사회강제추행으로 법정구속되었다는 판결문 감상 - 랴 리건.... 30 烏鳳 18/09/07 51265 85
    11 체육/스포츠남성의 정력을 증강시키는 운동 69 스타-로드 15/06/05 43761 0
    1237 일상/생각만년필 덕후가 인정하는 찰스 3세의 착한 빡침 95 SCV 22/09/13 32941 49
    69 IT/컴퓨터거장의 그림을 30초만에 만들다: DeepStyle 33 Azurespace 15/09/08 32254 10
    15 꿀팁/강좌책장에서 책을 치우자! (북스캐너 + 스캔이북 써먹기) 21 damianhwang 15/06/08 31391 1
    415 요리/음식집에서 스테이크 구우면 맛이가 없는 이유 37 Morpheus 17/04/19 23103 18
    236 IT/컴퓨터어느 게임 회사 이야기 (1) 26 NULLPointer 16/07/19 22428 29
    107 기타베이즈 정리, 몬티홀의 문제, 삶과 죽음의 확률 27 Beer Inside 15/11/02 20807 8
    37 게임독수리의 눈으로 입문자를 노리는 HOMM3 소개 (1) 기초 14 조홍 15/06/22 19878 0
    41 기타하고 싶은 일이 무언지 모르겠다는 그대에게 32 ArcanumToss 15/07/08 19338 3
    800 일상/생각불안 애착 유형과 회피 애착 유형의 연애/이별기 4 자일리톨 19/05/01 15894 17
    205 요리/음식덴뿌라와 튀김의 기원 29 마르코폴로 16/05/14 15683 11
    412 과학음수X음수는 왜 양수인가요? 62 캡틴아메리카 17/04/15 15387 14
    263 게임[삼국지 영걸전] 1599 클리어 기념 팁 + 후기와 기타 등등 이야기 37 조홍 16/09/09 15207 8
    1123 기타남자바지3종(청바지,검은바지,베이지면바지) 입는방법에 대한 연구 22 흑마법사 21/08/31 15165 17
    473 기타필름포장지 이야기 24 헬리제의우울 17/07/14 15093 3
    274 IT/컴퓨터컴퓨터는 어떻게 빠르게 검색을 할까 - 보이어-무어-호스풀 알고리즘 18 April_fool 16/10/04 15011 1
    781 여행타베로그 이용 팁 8 温泉卵 19/03/18 14725 12
    127 의료/건강의전은 어떻게 실패했는가 ? 41 Zel 15/12/09 14648 2
    45 꿀팁/강좌캐나다 영주권에 대한 이런저런 이야기 16 이젠늙었어 15/07/10 14259 0
    44 요리/음식이탈리안 식당 주방에서의 일년(4) - 토마토소스만들기 29 뤼야 15/07/09 14244 0
    795 의료/건강오늘 받은 정관수술 후기 21 미스터주 19/04/17 14210 37
    186 음악홍차넷 지상파 입성 기념 뮤직비디오 246 Toby 16/04/20 14202 9
    목록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댓글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