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회원들이 추천해주신 좋은 글들을 따로 모아놓는 공간입니다.
- 추천글은 매주 자문단의 투표로 선정됩니다.
Date 17/10/24 18:10:28
Name   마녀
Subject   미역국
저희 시아버지와 친정아버지의 생신은 같은 달입니다.
친정아버지 생신 후 4일 후가 시아버지의 생신이이세요.

약간 시작하는 글과는 조금 벗어나는 주제지만,
전 요리를 그렇게 잘 하는 편이 아닙니다.
사실 어머니가 안 계셔서 일찍부터 집안 살림을 해오다보니
일반적인 집에서 먹는 여러 반찬이나 국 찌개같은 건 모두 할 수 있는 편이긴 하지만 요리란 틀 전체를 두고 보면
저보다 남편이 적어도 3수는 위라고 생각합니다.

남편은 요리가 취미수준을 살짝 벗어나 있다고 봐요.
시어머니 요리 솜씨가 어마어마하시기도 하고,
부모님 반대에 물러섰지만, 요리사를 하고 싶어해서 독학으로 공부도 꽤나 했다고 하더군요.
어느 식당에서 제가 "이거 맛있어요." 라고 하면 맛을 보고 난 후
꽤나 비슷하게 만들어 준 적도 많으니까요.

여하튼, 친정아버지 생신 때 온 가족이 모이게 됩니다.
그런데 가는 날이 장날이라고 저는 컨디션이 안 좋은 상태였고, 동생은 아이때문에 약간 정신없는 상태였어요.
하고 싶은 요리를 몇 가지 정해두고 시작했는데, 저는 준비작업에 모든 힘을 쏟아부었고,
동생은 역시 아이가 달라붙어 있으니 집중하기가 힘든상황이였어요.

그걸 물끄러미 보고 있던, 남편이
"힘들면 내가 마무리 해줄까요?" 라고 물어보더군요.
저는 사실 별 생각도 없고 자주 음식을 도와주는 남편이라
"네!"
라는 대답이 바로 나왔었어요.

그리고나서 남편은, 전골을 준비하고 전골 육수를 혼자 내고
잡채도 만들고 미역국까지 혼자서 다 마무리를 지었어요.
전부 맛있게 잘 먹고, 화기애애하게 집으로 돌아왔지요.

돌아오는 도중에 남편이 웃으면서 말하더군요.

"아, 그러고보니 나 미역국... 우리 부모님께도 안 끓여드렸었는데..."

조금 당황스러웠습니다.
남편이 미역국을 끓인건 최초가 결혼하고 나서 첫 제 생일때였대요.
그 이후로 제 생일마다 미역국을 끓여주고 있었답니다. 그래서 더 생각이 없었어요.
자신의 친 부모님께도 못한걸 장인어른 미역국을 끓인게 조금 걸렸나 봅니다.
그런 남편에게 무슨말을 해야할지 모르겠더군요.
남편은 "또 다른 아버지니까 괜찮아요." 라고 했지만요.

그래서 이번 시아버지 생신 때 남편이 직접 미역국을 끓였어요.
시댁에서 끓이면 분명 제대로 못할 테니 저희집에서 끓여서 갔답니다. (저희 집은 시댁이랑 5분 거리에요)
시부모님들께서 무척 좋아하셨는데, 진작에 이렇게 할 걸이란 생각이 들었어요.

앞으로 시아버지 생신 땐, 남편이
시어머니 생신 땐 제가 음식을 준비하기로 했어요.













* 수박이두통에게보린님에 의해서 티타임 게시판으로부터 게시물 복사되었습니다 (2017-11-06 09:33)
* 관리사유 : 추천 게시판으로 복사합니다.



13
  • 애처가는 추천!
  • 춫천
이 게시판에 등록된 마녀님의 최근 게시물


소맥술사
와 뭐죠 이 훈훈함은? ㅋ
기쁨평안
행복한 가정 꾸려가세요~
아니오
아..아..아...남편분의 요리솜씨보다, 드라마에서 뛰쳐나온것만 같은 저 다정한 말투가 아주 그냥~~

보통 내가 할테니까 저리 가서 쉬어, 뭐 이 정도 할만한데,
내가 마무리 할까요? 라니요.
에릭남 남편버전인걸요.
Homo_Skeptic
상호존칭쓰는 부부 멋져요!
알료사
달달한 존댓말... ㅎ
은채아빠
크으... 요리 잘하는 남편 정말 멋져요..
전 라면도 맛없게 끓이는 안티요리마스터라..
달달한 글 잘 읽었습니다~~ :)
목록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556 일상/생각나도 결국 이기적인 인간 2 쉬군 17/12/02 6424 13
555 일상/생각SPC 직접고용 상황을 보며 드는생각.. 20 二ッキョウ니쿄 17/12/01 7243 15
554 일상/생각삶의 무게... 12 사나남편 17/11/29 5724 22
552 일상/생각홍차넷의 정체성 48 알료사 17/11/22 10203 43
551 일상/생각고3, 그 봄, 그 겨울 19 aqua 17/11/21 7314 47
549 일상/생각그래도 지구는 돈다. 40 세인트 17/11/20 6983 46
546 일상/생각 34 기쁨평안 17/11/17 7554 16
545 일상/생각독일에서 들었던 수업들 4 droysen 17/11/16 6909 4
544 일상/생각무죄 판결 21 烏鳳 17/11/14 7917 31
543 일상/생각홀로 견디는 당신에게 16 레이드 17/11/10 6885 30
540 일상/생각독일 대학원에서의 경험을 정리하며: 1편 19 droysen 17/10/30 9885 25
539 일상/생각아주 작은 할아버지 20 소라게 17/11/03 6999 36
537 일상/생각낙오의 경험 10 二ッキョウ니쿄 17/10/30 6247 12
535 일상/생각컴패션, 이타심 26 Liebe 17/10/27 7282 16
534 일상/생각미역국 6 마녀 17/10/24 5007 13
532 일상/생각울진 않을거 같습니다. 14 aqua 17/10/21 8408 57
524 일상/생각해외 플랜트 건설회사 스케줄러입니다. 65 CONTAXS2 17/10/05 13225 18
521 일상/생각학력 밝히기와 티어 33 알료사 17/10/01 8953 40
518 일상/생각평등 31 알료사 17/09/26 7749 27
516 일상/생각애 키우다 운 썰 풉니다.txt 21 Homo_Skeptic 17/09/23 7803 20
515 일상/생각조카사위 이야기. 47 tannenbaum 17/09/21 8585 24
510 일상/생각이별의 종류. 6 tannenbaum 17/09/16 9180 19
507 일상/생각그때 미안했어요. 정말로. 10 알료사 17/09/08 7545 18
506 일상/생각메론 한 통 2 Raute 17/09/04 6114 13
504 일상/생각10년전 4개월 간의 한국 유랑기 #완 16 호라타래 17/09/02 6097 18
목록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