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회원들이 추천해주신 좋은 글들을 따로 모아놓는 공간입니다.
- 추천글은 매주 자문단의 투표로 선정됩니다.
Date 15/08/26 14:46:07
Name   눈부심
Subject   쇠똥구리곤충의 GPS, 밀키웨이
쇠똥구리의 먹이는 주로 소나 말 등 초식동물들의 똥인데요. 제 몸보다 크게 동글동글 말아서 경쟁자들 사이의 피터지는 먹이싸움을 피해 멀리 멀리 달아나 먹이를 몰래 숨겨둡니다. 동그란 똥을 옮길 때 자세가 특이하죠. 일단 물구나무를 서요. 그리고 똥에 거꾸로 착 붙어서 여러 개 달린 발로 똥을 빠르게 굴리며 나아갑니다. 얘네들이 이런 자세를 하고도 목적지까지 방향을 '제법' 일직선으로 잘 찾아서 가요. 생물학자들은 과연 쇠똥구리가 이리 저리 헤매지 않고 거의 일직선으로 방향을 훌륭하게 감지하는 방법은 무엇일까 연구해 봤죠.  

큰 나무라든지 바위 같은 지표가 어디 있는지 알고 움직이는 거라면 굳이 눈을 바닥에 두고 먹이에 거꾸로 매달린 채 움직일 필요가 없습니다. 실은 쇠똥구리가 움직일 때 지표로 삼는 건 태양이나 달이 뿜는 빛의 방향이에요. 정확하게는 이 빛이 반사되어 뿜어내는 빛의 방향입니다. 태양에서 쏟아지는 빛은 사방으로 퍼지는 빛이지만 이것이 모든 입자나 사물에 부딪치게 되면 편광이 됩니다. 편광이 뭐냐 하면 사방으로 퍼지지 않고 어떤 일정방향으로 빛이 움직이는 건데 사람의 눈에는 보이지 않아요. 쇠똥구리는 이 편광을 볼 수 있어서 편광의 방향을 지표로 삼아 움직이기 때문에 이리 저리 헤매지 않고 가장 짧은 직선에 가까운 동선을 따라 움직일 수 있습니다.

그럼 해가 안 나고 달이 안 뜨는 날엔 방향감각을 잃어버리느냐. 아닙니다! 우리 태양계를 담고 있는 거대한 갤럭시인 밀키웨이의 빛을 따라 움직여요. 밀키웨이의 희끄므리하고 두꺼운 한 줄 무늬가 방향의 기준이 됩니다. 밀키웨이가 잘 안 보이는 날엔 다른 별들을 따라 움직이는데 감지가 느려 움직임도 느려지고 방향도 좀 심하게 지그재그이지만 결국 다 잘 찾아갑니다. 별 하나를 콕 찝어 그걸 따라다닐 수 있는 건 아니지만 무리의 별들이 발하는 빛이 방향결정에 도움이 돼요. 소가 큰 볼일을 퐉! 보면 쇠똥구리들이 우르르 몰려와서 치열한 경쟁을 하며 온 열정을 바쳐 서로 동글동글 공을 만드는데 이걸 안 뺏기려면 현장을 단숨에 일직선으로 쌩=3 벗어나는 것이 생존에 있어 매우 중요하다고 하는군요. 방향감각을 잃고 세월아 네월아 지그재그로 돌아다니면 경쟁자가 낼름 와서 먹이를 낚아채 가곤 하기 때문이에요.

(기사출처) http://phenomena.nationalgeographic.com/2013/01/24/dung-beetles-watch-the-galaxy-thats-how-they-roll/

쇠똥구리의 경이로우면서도 귀여운 특성에 대한 TED강의도 있는데 재밌어요. 아쉽게도 한글은 없다는..


놀라운 쇠똥구리의 능력에 비해 그 능력을 증명한 실험은 단순한데요. 한 가지 예는 다음과 같습니다. 조그만 소형 원형구장 같은 걸 만들어서 한 가운데에 쇠똥구리를 놓아둡니다. 얘가 어떤 목적지가 있어서 그 원의 중심에서 벗어날 참이고 가장 짧은 시간 내로 그 원형을 벗어나려면 중심에서 원지름까지 일직선에 가까운 흔적을 남길 테죠. 태양도 없고 달도 없이 별만 총총 빛날 때 별이 보이게 한 경우와 보이지 않게 한 경우, 쇠똥구리가 움직인 방향이 아래와 같이 달라요. 오른쪽이 별을 가렸을 때의 결과물인데 완전 헤맸군요 크크.



* Toby님에 의해서 자유 게시판으로부터 게시물 복사되었습니다 (2015-09-05 23:33)
* 관리사유 : 추천게시판으로 복사합니다.



0


    목록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62 과학쇠똥구리곤충의 GPS, 밀키웨이 13 눈부심 15/08/26 7491 0
    519 경제외감법 개정과 감사인 지정제는 왜 해야하는가 75 CathedralWolf 17/09/26 7490 9
    936 역사[번역] 유발 노아 하라리: 코로나바이러스 이후의 세계 13 기아트윈스 20/03/21 7483 33
    935 의료/건강자존감은 꼭 높아야 하나요? 42 호라타래 20/03/20 7481 45
    201 과학쌀, 보리, 밀 이야기 (자화수분-자웅동주식물) 3 모모스 16/05/06 7479 5
    649 문학빨강머리 앤 : 캐나다에서 일본으로, 일본에서 한국으로. 12 구밀복검 18/06/16 7478 15
    190 의료/건강. 47 리틀미 16/04/23 7472 4
    629 여행[괌간토비] 가족여행지로 괌을 선택한 이유 17 Toby 18/05/08 7469 18
    158 과학. 26 리틀미 16/02/18 7462 16
    40 요리/음식이탈리안 식당 주방에서의 일년(2) 29 뤼야 15/07/07 7451 0
    588 문화/예술사라진 세계, 우아한 유령(Vanished World, Graceful Ghost) 9 하얀 18/02/06 7439 16
    7 일상/생각잘 지내요?.. (3) 11 박초롱 15/06/05 7423 0
    848 일상/생각Routine과 Situation으로 보는 결혼생활과 이혼 38 Jace.WoM 19/08/22 7413 39
    741 정치/사회세계1% 연구자 논란 22 제로스 18/12/06 7409 21
    251 기타"국왕" 대신 "국가와 조국" 위해 싸운 나폴레옹의 프랑스군 8 모모스 16/08/18 7403 3
    750 일상/생각2018년의 사회진화론 21 구밀복검 18/12/28 7400 37
    615 영화인어공주, 외국어, 인싸 24 기아트윈스 18/04/10 7398 31
    646 체육/스포츠복싱을 잘해봅시다! #1 : 스탠스 14 Danial Plainview 18/06/09 7395 28
    529 IT/컴퓨터뱀은 다리를 가지고 있다구 16 Toby 17/10/16 7393 11
    557 정치/사회온라인 공간과 인간의 상호작용(상) 84 호라타래 17/12/06 7389 39
    465 정치/사회홍차넷 20000플 업적달성 전기 89 파란아게하 17/07/04 7389 36
    214 과학Re : Re : 국내의 에너지 산업 혹은 태양광산업 동향은 어떤가요? 29 고양이카페 16/06/06 7380 10
    606 요리/음식THE BOOK OF TEA 개봉기 24 나단 18/03/25 7375 11
    228 역사왜 사계절이 뚜렷하면 좋은 나라일까. 43 기아트윈스 16/07/05 7370 5
    30 과학쥬라기 월드흥행에 적어보는 공룡이야기(3)-모든걸 새로쓰게한 공룡 9 개평3냥 15/06/20 7367 0
    목록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