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회원들이 추천해주신 좋은 글들을 따로 모아놓는 공간입니다.
- 추천글은 매주 자문단의 투표로 선정됩니다.
Date 18/09/16 04:22:29
Name   우분투
Subject   냉동실의 개미
 냉동실 바닥에 죽어있는 날파리를 보니 몇 년 전 일이 떠오른다. 나는 열여덟 살이었고 1학기 중간고사를 앞두고 있었다. 내 동기들은 시험이 다가오면 공부를 했다. 그들은 졸리지 않을 때면 책상 앞에 앉아 공부를 했고 졸릴 때는 교실 뒤편 스탠딩 책상에서 공부를 했고 그마저 여의치 않을 때면 복도의 냄새 나는 신발장 위에 책을 두고 공부를 했다. 나는 그 원동력을 알지 못했다. 실은 내가 그러지 않는 원동력도 잘 알지 못했다.

 많은 사람이 내게 게으르게 산 것을 후회하지 않느냐고 묻는다. 나는 후회하지 않는다고 말하는 편이다. 차라리 야간자율학습 시간에 성실히 나와서 후회한다고 덧붙인다. 나는 그때도 애매한 인간이었다. 적어도 선생님이 계실 때는 야간자율학습에 출석했다. 조용히 놀았다. 책을 읽거나 글을 쓰거나 복도 멀리 가서 친구와 몇 시간이고 이야기를 나누었다. 그럼으로써 나는 선생님과는 적당한 신뢰를 쌓았다. 친구와는 적당한 유흥을 즐겼다. 선생님이 퇴근하시는 날이면 즐겁게 나가 놀았다. 나는 선생님을 기꺼이 거스르지 못한 사실을 후회한다.

 내가 공부를 하지 않자 어머니와 학원 선생님은 조바심을 내셨다. 하지만 중간고사는 그럭저럭 넘길 수 있었다. 갓 수학여행에 다녀왔던 것이 좋은 핑계가 되었다. 사람들은 내가 아직 흥분이 가시지 않은 상태라 게으르다고 생각했다. 짝사랑하던 친구에게 성급하게 접근하고 퇴짜 맞은 일도 변명이 되었다. 아무런 준비도 없이 시험을 보았다. 사회탐구 과목을 빼면 나쁘지 않았다. 외우지 않아도 할 만한 것들이었으니까. 사회탐구 과목들은 6등급이었다. 그 아래 등급 친구들은 평소에 무슨 생각을 하고 살아가는지 궁금해 했던 기억이 난다.

 기말고사 준비 기간은 문제가 되었다. 수학여행 핑계는 더 이상 댈 수 없었다. 짝사랑의 핑계도 댈 수가 없었다. 사람들은 왜 공부를 하지 않냐고 내게 물었다. 그것은 내게 이상한 질문이었다. 마치 나에게 공부를 하지 않는 어떤 중대한 이유가 있는 것처럼 들렸다. 나는 그저 공부할 기분이 들지 않았을 뿐이다. 수시가 확대되었다거나 대학을 잘 가는 편이 좋다는 사실을 모르지는 않았다. 그저 할 기분이 들지 않았고 그래서 하지 않았다. 이 문장이 그렇게도 이해하기 어려울까.

 그 무렵 답지를 베끼기 시작했다. 물론 그전에도 종종 답지를 베끼곤 했지만 본격적이지는 않았다. 학원에서는 숙제를 해오면 같은 반 친구들끼리 바꾸어 채점하도록 되어 있었다. 답지는 검색하면 잘 나왔다. 나오지 않으면 그냥 풀었다. 여러 모의고사를 짜깁기한 숙제도 일일이 해당 모의고사를 찾아서 베꼈다. 직접 풀었을 때보다 시간은 더 많이 들었을 테지만 더 즐거웠다. 나는 그로써 공부하는 척을 할 수 있었다.

 진실을 가리고 안온한 나태를 즐기면서는 주로 소설을 읽거나 썼다. 인터넷으로 문창과 지망생과 열심히 합평도 했다. 당시의 문장이 지금 것보다 두 배는 좋았을 거라는 생각이 든다. 분명 이런 구린 문장은 아니었다. 본업이 아니었기 때문에 집중해서 잘 할 수 있었다. 본업이 아니었기 때문이라는 말은 중요하다.

 인생에 낭비되는 시간은 없고 소설을 읽고 쓰던 게으른 한때도 어떤 방식으로든 내게 도움이 됐을 것이다. 문제는 나는 지금까지 계속해서 게으르다는 점이다. 짝사랑하던 친구는 내게 한량이 싫다고 했다. 예전에 스스로 한량이라 자랑스러웠다. 나는 적어도 모교에선 최고의 한량이었다. 성실히 야자에 출석해서 선생님께 좋은 이미지를 쌓았다. 철저한 척으로 주변 어른들을 기만할 수도 있었다. 나는 내 시간과 여유를 즐기며 하고 싶은 일을 하고 친구들과 선생님이 안 계시는 날 저녁, 주에 두 번 삼겹살 회동을 했고 좋은 카페에도 다녔다. 하지만 앞의 내용은 중요하지 않다. 중요한 것은, 내 성적이 나쁘지 않았다는 점이다. 이 문장 하나로 모든 사항이 재평가된다.

 나는 멍청하지만 내가 멍청하다는 사실을 모를 만큼 멍청하지는 않다. 대학에 오고 내가 멍청하다는 팩트를 직시했다. 대학 공부를 고교 공부하듯이 대충 버틸 만큼 나는 천재적이지 않고 어쩌면 지능도 평균보다 떨어질지도 모르는 일이다. 집안 사정도 이젠 한가로이 나태를 즐길 만큼 좋지 않다. 문제는 내가 성실해지자고 다짐하다 보면 과연 행동이 사고를 견인하는지, 아니면 그 반대인지 고민하거나 패배주의가 게으름의 원인인지 아니면 게으름이 패배주의의 원인인지 고민에 빠지고 마는 류의 인간이라는 것이다. 이런 인간에게도 제 앞가림을 해야만 하는 순간이 온다.

 글을 어떻게 시작하고 어떻게 끝낼 것인지 고민하는 동안 냉동실을 잊고 열어뒀었다. 문을 닫으려 가까이 다가가 보니 아까 죽어있던 날파리는 없고 새로운 날파리가 죽어있는 것 같은 기분이 들었다.

* Toby님에 의해서 티타임 게시판으로부터 게시물 복사되었습니다 (2018-10-02 16:07)
* 관리사유 : 추천게시판으로 복사합니다.



15
  • 청춘에게 희망을
  • 꽃들에게 희망을
  • 우리의 과거 당신의 과거
이 게시판에 등록된 우분투님의 최근 게시물


알료사

게으름은 춫천
1
제로스
카이지 1권 추천..
2
솔루션
확실한 건 글재주가 상당하시군요 여러 모로 공감되고 동시에 매우 부럽읍니다 ㅎㅎ
키아핀
저와 무서울 정도로 닮았네요. 평범함이란 이런 것인지.. 제 시절에는 학점만 잘 받을 수 있으면 그래도 한량처럼 살 수 있었지만요. 요즘은 어떤지 모르겠군요.
목록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1078 게임스타여캠) 안시성 14 알료사 21/04/05 5891 12
1082 IT/컴퓨터우리도 홍차넷에 xss공격을 해보자 19 ikuk 21/04/20 5891 14
926 의료/건강지금 부터 중요한 것- 코로나환자의 병상은 어떻게 배분하여야 하나 6 Zel 20/02/27 5896 43
1101 역사왜 작은 어머니를 숙모라고 부를까. 24 마카오톡 21/06/30 5898 24
813 일상/생각결혼식의 추억 20 메존일각 19/06/02 5909 22
760 정치/사회국가유공자등록거부처분취소 소송의 경험 3 제로스 19/01/18 5911 19
647 기타부모님 감사합니다. 6 얼그레이 18/06/11 5916 14
1017 체육/스포츠르브론 제임스의 우승은 그를 역대 2위 그 이상으로 위치시킬 수 있는가? 15 손금불산입 20/10/14 5917 21
1042 정치/사회편향이 곧 정치 20 거소 20/12/23 5917 34
700 기타냉동실의 개미 4 우분투 18/09/16 5918 15
875 일상/생각죽음을 대하는 일 2 멍청똑똑이 19/10/15 5924 26
1218 정치/사회너말고 니오빠 - 누구랑 바람피는 것이 더 화나는가? 23 소요 22/06/28 5924 23
919 일상/생각사회주의 대 반사회주의 9 necessary evil 20/02/06 5925 30
409 꿀팁/강좌[사진]주제 부각하기. 15 사슴도치 17/04/10 5928 5
897 일상/생각아픈 것은 죄가 아닙니다. 27 해유 19/12/13 5938 30
399 일상/생각쪽지가 도착했습니다. 36 tannenbaum 17/03/27 5940 24
952 정치/사회[번역-뉴욕타임스] 삼성에 대한 외로운 싸움 6 자공진 20/04/22 5941 25
721 역사고대 전투와 전쟁 이야기 - (6) 최종병기 활 기쁨평안 18/10/30 5947 14
250 기타반사 21 기아트윈스 16/08/14 5951 7
1008 일상/생각나는 대체가능한 존재인가 15 에피타 20/09/23 5951 26
423 역사근로자의 날이 아닌 노동절. 4 와인하우스 17/05/01 5953 1
905 역사역사적 유물론과 행위자 연결망 이론(1) - 아 그게 뭐요? 13 호라타래 19/12/22 5956 12
301 일상/생각11월 12일 민중총궐기 집회 후기입니다. 15 nickyo 16/11/13 5962 12
1062 정치/사회섹슈얼리티 시리즈 (10) - 성노동에는 기쁨이 없는가? 35 소요 21/02/21 5970 18
231 기타올바른 '판단-해석'을 위하여 11 전기공학도 16/07/10 5975 6
목록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