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회원들이 추천해주신 좋은 글들을 따로 모아놓는 공간입니다.
- 추천글은 매주 자문단의 투표로 선정됩니다.
Date 18/10/15 14:05:29수정됨
Name   기쁨평안
Subject   고대 전투와 전쟁 이야기 - (4) 무기에 대하여 1
앞서 올린 질문(https://redtea.kr/?b=7&n=5646) 에 참여해주신 분들 감사드립니다.
해당 글은 이 글을 쓰기 전 일종의 사고실험을 하느라 진행했던 것입니다.


0. 가장 오랫동안 사용된 도구

인류 역사상 가장 오랜시간 사용된 [도구]는 무엇일까요?
불이나 나뭇가지 같이 자연에 있는 것을 활용한 것이 아니라,
의도를 가지고 만들어진 도구에 대해서 말씀드리는 겁니다.

바로 "주먹도끼" 입니다.


약 160만년 전에 유인원에서부터 사용되기 시작되어, 신석기 시대가 될때까지 꾸준하게, 가장 오랫동안 사용된 도구이죠.
갑자기 이 이야기를 하는 이유와, 앞서 질문글을 올린 이유가 무엇일까요?

1. 어느날 갑자기 신물질이 눈앞에 나타났을때, 구리의 발견

시작은 우연이었을 겁니다. 토기를 굽던지, 아니면 요리를 하던지, 아궁이에서 불을 열심히 때던 원시인은 불 주위를 둘러쌓은 흙더미 속에서 무언가가 흘러나오는 것을 봅니다. 그리고 불이 꺼진 뒤에 열기가 식은 다음 살펴보니 또 엄청 단단한거에요? 신물질의 발견인거죠.
마치 현대에 비브라늄을 발견한 것처럼 기존에 없던 완전 신 물질, 열을 가하면 마음대로 연성이 가능하고 식으면 단단해지는 물질. 돌 만큼 단단하지는 않지만 대신 더 가볍고, 재활용이 가능한 물질인 거죠.

그렇다면 이 물질이 발견되었을 때, 사람은 가장 먼저 무엇을 만들었을까요?



여기, 제가 설문조사를 했을 때 올려주신 분들의 답변입니다.
답변이야 제각각이겠지만, 한가지 유추할 수 있는 것이 있죠.

사람들은 어떤 신물질이 발견되면 그걸 가지고 자신이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는 것을 만들어보려는 생각을 하는 경향이 있다는 겁니다.

물론 아무 근거도 없는 사고실험이지만, 저라면 그럴겁니다.
구리 또는 청동을 발견했을 때, 사람들이 가장먼저 만들어보고 써보게 된 도구는 무엇이었을까요?
혹시 [청동으로 만든 주먹도끼]가 아니었을 까요?
기존에는 적당한 돌덩이를 주어다가 깨트려가면서 만들어 사용하던 도구인데,
이걸 청동으로 만들면 어떨까? 이런 생각을 해보지 않았을까요?
그리고 초기 청동기의 기술력으로는 그정도가 만들 수 있는 한계였을 테고요.
아마도 뜨거워서 흐물흐물해진 청동을 길쭉한 돌로 만든 주걱같은 걸로 주물 주물해서 주먹도끼 같은 형태로 만들어보고,
시험해보고 사용을 해봤겠죠.

자, 그리고는요? 그 다음은 일사천리였을 거에요. 나무 막대기 끝에다 달아보고, 휘둘러보기 시작하면서
그 파괴력에 눈을 뜨게 되는건 그리 오래걸리지 않았을 겁니다.
진짜 도끼가 나타난 거죠.

이 당시 기준으로 생각해보면 정말 최첨단 하이테크놀로지였을 거에요.
다들 나무에 돌을 묶은 돌도끼나, 돌 촉으로 만든 창 같은걸 들고 다니는데,
그것과는 비교도 안되는 절삭력으로 무엇이든 잘라버리고 끊어버리는 무기라니요.
조금만 두꺼운 나무가지만 해도 돌도끼로 하루 종일 두드려대야 겨우 잘라내는데,
몇번 휙휙 휘두르기만 하면 순식간에 잘려나가는 무기인 것이죠.

그래서 청동 도끼를 가진 사람이 최고의 권력을 가진 자가 되어버리고,
그 도끼가 권력의 상징이 될 때까지는 그리 오랜시간이 걸리지 않았을 겁니다.

2. 권력의 상징

이런 이유로 도끼는 전쟁에서 무기로도 많이 쓰였지만, 그보다 권력을 상징하는 물건으로 더 많이 쓰이게 됩니다.
한자 "왕(王)" 이라는 글자 자체가 도끼를 형상화한 상형문자라는 이야기가 있는데,
그 뿐만 아니라 동서양을 막론하고 여러 지역에서 상징으로 문양으로 나타나고 있습니다.



<조선 임금의 곤룡포 하의에 들어가는 도끼문양>


<로마 시대 집정관의 권력을 상징하는 '파스케스', 나무 다발과 도끼로 이뤄져 있다.>


<미궁으로 유명한 크레타 궁전의 양날도끼>





* Toby님에 의해서 티타임 게시판으로부터 게시물 복사되었습니다 (2018-10-31 11:06)
* 관리사유 : 추천게시판으로 복사합니다.



4
  • 랩퍼 도끼는요


레지엔
왕이 장군에게 전권 위임을 할 때 부월이라는걸 내리는데 이것도 도끼지요. 무력과 권력을 동시 상징하는 것이 도끼... 근데 동서양을 막론하고 중세쯤 가면 칼과 창으로 바뀝니다. 무기 발전사에서 꽤 재미있는 지점들이더군요.
2
기쁨평안
그렇죠. 칼은 다음편에 아마도...ㅠㅠ
레지엔
금속 제련기술과 전투양상에 변화에 따른 백병기간 우열 비교는 언제?
기쁨평안
몰라유....내년에나 ㅋㅋㅋㅋㅋㅋ
그러고보니 옛날에 소풍갔을 때, 혼자 놀다가 심심해서 돌에다 돌을 던져서 깨고 그랬는데 문득 다른 사람의 지적을 받고 다시 보니 돌이 마치 원시적인 석기처럼 되어 있더라고요. 이 경험을 바탕으로 생각하건대, 최초의 석기 또한 잉여짓을 하던 원시인의 우연한 발견과 깨달음 덕에 만들어진 것이 아닌가 합니다.
1
기쁨평안
그렇죠. 잉여야 말로 인류 발전의 원동력!
1
레지엔
이거 관련해서 재미있는 글이 있습니다. 뭘로 찾아야될지 모르겠어서 링크를 못하겠는데, 최초의 무기는 '심심했던 잉여가 만들었다' vs '심심했던 쾌락살인마가 효율성을 추구했다'의 논쟁이ㅋㅋㅋ
April_fool
나중에 링크 찾으시면 댓글로 좀… (굽신굽신)
레지엔
저게 인터넷에서 보긴 했는데 어디 사이트 글이 아니라 어떤 학자가 수필처럼 쓴 가설 얘기라서 도저히 찾지를 못하겠음;
김피곤씨
솔로왕님 답변 무엇....
2
기쁨평안
비브라늄 여친 !!
1
CONTAXS2
[자신이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는 것을 만들어보려는 생각을 하는 경향]
솔로왕
중요합니다!
이번에는 진짜라구요
키티호크
아니, 그 설문을 여기다 쓰시다니!!
2
파스케스 하니 플레잉 카드의 K 다이아몬드가 생각나네요
시저가 그려져있고 파스케스를 들고있죠
다시갑시다수정됨

올림픽에서 3순위 메달이 동 메달인것에서도 드러나듯이 청동은 아직까지도 지위의 상징이죠.
동이 이러한 지위의 상징인건 석기보다 뛰어난 효율성 만큼이나, 동의 희소성 + 외견도 영향을 끼칠겁니다.
청동을 구성하는 구리와 주석이 (Cu & Sn) 생각만큼 흔한 원소들이 아니거든요.
다음의 철과 비교해보았을때 둘다 1000배 이상 귀한 금속이죠.

그렇다 보니 청동무기는 강철에 비해 만들기는 쉽지만, 무기로 널리 쓰기에는 무른편이면서 동시에 훨씬 귀한 물질인지라 많은 사람들에게 나눠줄수가 없었겠죠.

실제로 구리와 주석의 채... 더 보기
올림픽에서 3순위 메달이 동 메달인것에서도 드러나듯이 청동은 아직까지도 지위의 상징이죠.
동이 이러한 지위의 상징인건 석기보다 뛰어난 효율성 만큼이나, 동의 희소성 + 외견도 영향을 끼칠겁니다.
청동을 구성하는 구리와 주석이 (Cu & Sn) 생각만큼 흔한 원소들이 아니거든요.
다음의 철과 비교해보았을때 둘다 1000배 이상 귀한 금속이죠.

그렇다 보니 청동무기는 강철에 비해 만들기는 쉽지만, 무기로 널리 쓰기에는 무른편이면서 동시에 훨씬 귀한 물질인지라 많은 사람들에게 나눠줄수가 없었겠죠.

실제로 구리와 주석의 채굴장은 유럽에 몇군데 없었고 청동기 시대의 물질분석을 해보면 이를 "전세계"에 배달하기 위해 굉장한 거리의 복잡한 교역루트가 발달해있었다고 하죠.

후기 청동기 시대의 붕괴로 인해 이 장거리 교역이 무너지면서 "전세계"적으로 청동에 대한 근접성이 뚝 떨어지자 어디서든 더 쉽게 찾을수있는 금속인 철의 사용법을 연구하게 되었고, 이게 철기시대로 넘어가는 촉매였다는 분석도있는걸로 압니다.
2
목록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1450 여행그간 다녀본 리조트 간단 정리 : 푸켓, 나트랑, 안탈리아 8 당근매니아 25/03/21 982 23
1449 꿀팁/강좌스피커를 만들어보자 - 4. 재질과 가공 (완) 10 Beemo 25/03/17 592 11
1448 기타남의 인생 멋대로 판단하는 이야기 11 바닷가의 제로스 25/03/13 1804 51
1447 꿀팁/강좌1. 만화란 뭘까? 인스타툰은 어떻게 시작해야할까? 11 흑마법사 25/03/12 900 26
1446 일상/생각첫 마라톤 풀코스 도전을 일주일 앞두고 24 GogoGo 25/03/09 991 24
1445 일상/생각포스트-트라우마와 사회기능성과 흙수저-학대가정 탈출 로직 6 골든햄스 25/03/06 986 21
1444 정치/사회 2월 28일, 미국 우크라이나 정상회담 파토와 내용 정리. 11 코리몬테아스 25/03/01 1881 29
1443 문화/예술2025 걸그룹 1/6 18 헬리제의우울 25/03/03 1015 16
1442 정치/사회목요일 대학살 - 믿을 수 없이 부패한 트럼프 16 코리몬테아스 25/02/19 2014 24
1441 정치/사회화교는 상속세를 내지 않는다는 말 18 당근매니아 25/02/11 3307 17
1440 정치/사회무엇이 한국을 분열시킬 수 있는가? 5 meson 25/02/09 1253 7
1439 기타애착을 부탁해 - 커플을 위한 보론 (2) 5 소요 25/02/09 789 7
1438 기타애착을 부탁해 - 커플을 위한 보론 (1) 소요 25/02/07 1042 11
1437 IT/컴퓨터LLM에 대한 두서없는 잡썰 (3) 23 덜커덩 25/02/05 1435 24
1436 일상/생각여행을 나서면 집에 가고 싶다. 4 풀잎 25/01/30 1121 10
1435 꿀팁/강좌스피커를 만들어보자 - 3. 인클로저 설계 Beemo 25/01/29 1144 4
1434 체육/스포츠해리 케인의 무관에 대하여. 12 joel 25/01/27 1298 12
1433 체육/스포츠볼링 이야기 20 거소 25/01/19 1026 5
1432 일상/생각저에게는 원칙이 있습니다. 13 whenyouinRome... 25/01/19 1890 49
1431 일상/생각집사 7년차에 써보는 고양이 키우기 전 고려할 점 13 Velma Kelly 25/01/18 1267 20
1430 일상/생각입시에 대해 과외하면서 느꼈던 것들, 최근 입시에 대한 생각 12 Daniel Plainview 25/01/17 1865 16
1429 정치/사회민주당을 칭찬한다 13 명동의밤 25/01/15 2389 34
1428 꿀팁/강좌전자렌지로 탕후루 만들기 레시피 수퍼스플랫 25/01/11 1086 7
1427 정치/사회탄핵심판의 범위 및 본건 탄핵심판의 쟁점 6 김비버 25/01/06 1180 14
1426 IT/컴퓨터인공지능 시대, 우리에게 필요한 것은 "말빨" 5 T.Robin 25/01/05 1329 8
목록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댓글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