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회원들이 추천해주신 좋은 글들을 따로 모아놓는 공간입니다.
- 추천글은 매주 자문단의 투표로 선정됩니다.
Date 18/12/29 21:35:00수정됨
Name   April_fool
Subject   저의 정신과 병력에 대한 고백

또 티타임에 글을 올리신 어느 분의 글을 보니, 생각이 엉뚱한 곳으로 흐르다가 문득 저의 정신과 병력에 대한 고백을 하고 싶다는 충동이 들더군요. 그래서, 손 가는대로 한번 써 봅니다.


무엇부터 이야기해야 할까요… 일단, 성장 과정에서 정신적인 문제와 연관이 될 수 있었던 것들부터 이야기해 보죠. 흔한 이야기에요. 가정폭력, 왕따 정도? 여러 가지 에피소드가 있는데, 당장 생각나는 것만 이야기해 보죠.


예를 들면 이런 거에요. 5살, 혹은 6살 때라고 생각합니다. 저녁에, 제가 오른쪽과 왼쪽의 구분을 하지 못한다는 이유로 아버지에게 두들겨맞고 발가벗겨진 후 약 1시간 정도 집 밖으로 내쫓긴 적이 있어요. 다음날, 당시 다니던 미술학원에는 발가벗고 문 밖에 나와 있는 저를 목격한 이야기가 쫙 퍼져 있더군요.


다른 에피소드 하나. 저는 초등학교 2학년 때부터 안경을 쓰기 시작했습니다. 하루는 어머니에게서 회초리로 전신을 두드려맞다가, 회초리가 제 눈으로 바로 날아들더군요. 그 직후, 온 세상이 부옇게 바뀌었습니다. 저는 자고 일어나면 괜찮아질 거라고 생각했지만, 다음날에도 시력은 돌아오지 않았지요. 학급 급우의 아버지가 운영하는 동네 안과로 가는 길에, 어머니는 저에게 “놀다가 철봉에 얼굴을 부딪쳤다고 말해라”라고 거짓말을 시키더군요. 그렇게 저는 안경을 쓰기 시작했습니다.


어머니의 폭력은 제가 중학교에 들어간 이후 점차 잦아들었지만, 사실 그 전에는 어머니로부터 꽤나 많이 맞고 자랐습니다. 심지어는 집에 친척이 와 있는데, 친척 눈 앞에서 저를 마구 회초리로 때릴 때도 있었죠. 아마도, 어머니가 저를 더 이상 때리지 않게 된 것은 순전히 제 덩치가 어머니보다 커진 시점이라고 생각합니다.


사실, 어머니는 정신적으로 상당히 문제가 있는 사람입니다. 성인이 되어 생각해보건대, 어머니에게는 심각한 수준의 망상장애와 함께 아마도 중증 우울증이라고 생각되는 정신질환이 동반되어 있었습니다. 어머니의 정신적 문제는 지금도 여전하며 적절한 치료 없이 자연스런 악화와 호전의 등락을 반복하고 있지만, 제가 어렸을 무렵에는 그게 부부싸움이라는 형태로 자꾸 터져나오곤 했습니다. 어머니가 터무니없는 망상을 아버지에게 들이밀며 화를 내면, 아버지는 거기에 반발하여 다시 화를 내는 것이죠. 부모님의 싸움과 박살나는 집기들을 피해 방 한구석에서 조용히 책을 들여다보는 것은 흔한 일이었습니다.


상황이 이러다 보니 저는 자주 씻지 못해 늘 꾀죄죄한 모습으로 학교를 다녔고, 아마도 이것은 제가 학창시절에 겪었던 왕따의 한 원인일 거라고 생각합니다. 초등학교에 입학하자마자 저는 왕따와 폭력의 표적이 되었고, 이는 3학년인가 4학년 때까지 이어졌습니다. 중학교 2학년 때에도 왕따에 학교폭력까지 골고루 당했었죠. 그 즈음, 그러니까 중학생 시절, 최초로 자각할 수 있는 정신과적 문제가 드러났습니다. 바로 손을 지나치게 오래, 너무 자주 씻는 것이죠. 즉, 이 시절부터 강박장애의 증상 중 강박행동이 드러난 것입니다. 돌이켜보면 사실 강박사고 증상도 있었지만 그 당시에는 그건 눈치채지 못했어요. 하지만, 문제를 자각하고서도 그걸 바로 치료하러 병원에 가려는 생각은 하지 않았습니다. 참을 수 있으니까 그냥 참았던 거죠.


세월은 흘러흘러 2011년 초가 되었습니다. 당시 저는 군대를 전역하고 대학교에 복학하여 졸업에 필수적인 현장 실습을 나가고 있었습니다. 그런데 그 무렵, 갑자기 이상한 자해충동이 하루에도 몇 번씩 들기 시작했습니다. 구체적으로는, 내 두 눈을 내 손가락으로 찌르고 싶다는 내용이었지요. 충동이 갈수록 심해지고 빈도도 잦아지자, 충동에 저항하지 못하게 될 것이 두려워진 저는 실습이 끝난 시간에 열려 있는 홍대 인근의 한 정신과 의원을 찾아갔습니다. 생애 첫 정신과 방문이었죠. 거기서 강박장애 진단을 받고, 에스시탈로프람 성분의 SSRI를 처방받아 먹었습니다. 그때가 실습 후반부였기 때문에 얼마 안 있어서 실습은 끝났고, 저는 좀 더 찾아가기 쉬운 신촌오거리의 정신과 의원으로 다니던 곳을 바꾸었습니다. 본격적인 치료는 거기에서 시작한 셈이지요.


거기 다니는 동안 약을 참 많이도 바꾸었습니다. 약을 맨 처음 먹기 시작할 때는 효능은 별로면서 부작용만 잔뜩 나타나는 것도 겪었고, SSRI를 먹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우울증 증세가 나타나서 학교를 한 학기 휴학하기도 했습니다. 약 하나를 추가했다가 부작용으로 인한 갑작스런 불안 증세에 휩싸여서 응급실 신세(그때가 하필 광복절이라, 다니던 의원이 문을 안 열었습니다.)를 지기도 했었죠. 웃긴 건, 문제가 되었던 약은 예전에도 처방받아 먹은 적이 있었는데 그때는 아무 문제가 없었다는 점입니다. 어쨌거나, 이런 시행착오와 오랜 상담 끝에 저를 괴롭히던 병적인 강박과 불안을 일정 수준 이하로 억누를 수가 있었습니다. 정신과를 다니면서 알게 된 것이지만, 저의 증상은 전형적인 강박장애 환자의 그것이었습니다. 그리고 나중에 다른 선생님으로부터 들은 이야기에 따르면, 제 경우는 치료가 잘 된 케이스라고 합니다. 제대로 병식(病識, insight)이 있고, 꾸준히 약을 챙겨먹은 것이 좋은 결과가 된 것 같습니다. 사실, 고향 집에서는 정신과 약을 챙겨먹기 위해 투쟁하기도 했었습니다. 어머니가 제가 정신과 약을 먹는 것을 못마땅해하는 것 때문에 벌어진 일이었습니다만…


근데, 어쩌다 보니 지금은 그쪽 약은 제대로 챙겨먹지 못하고 있습니다. 경제적 사정으로 인해 약을 끊을 수밖에 없었는데, 그게 지금껏 쭉 이어지고 있는 것이죠. 그러다보니 지금도 강박사고 증상이 종종 일어납니다. 일단은 그 내용이 바뀌어 자해충동과는 거리가 있고, 중학교 때처럼 아직 참을 만해서 참고 있는 것입니다만 별로 좋은 상태는 아니죠. 그래서, 언젠가는 다시 정신과를 찾게 될지도 모르겠습니다.



* 토비님에 의해서 티타임 게시판으로부터 게시물 복사되었습니다 (2019-01-09 16:33)
* 관리사유 : 추천게시판으로 복사합니다



47


    AGuyWithGlasses
    쉽지 않은 이야기일텐데 나누어 주셔서 감사합니다. 막줄 보고 저도 생각이 참 많아지네요...
    2
    치료비용이 꽤 많이 드나보네요.
    잘 풀려서 치료도 적절히 할 수 있고 증상도 계속 호전되시면 좋겠습니다.
    1
    April_fool
    처음 검사할 때는 비용이 많이 드는데(특히나 보험 가입 등의 불이익이 싫어서 비보험을 고집할 경우), 약만 타 먹는 것은 그렇게까지는 큰 비용이 안 듭니다. 근데 당시에 제가 경제적으로 많이 어렵다 보니 부득이하게 약을 끊은 것이 지금껏 이어지고 있네요.
    호라타래
    고생 많으셨어요. 경험과 마음 나눠주셔서 감사해요 :) 새해에서는 조금 더 즐거운 시간들로 채워나가실 수 있기를 바라요.
    4
    고생이시네요. 실습하면서 복약 중단으로 다시 방문하시는 분들을 꽤 봬서 가급적 다시 드시길 권하고 싶어요.
    1
    사탕무밭
    아동학대경험자시군요.
    가입한 지 얼마 되지 않아 많이 보진 못했지만 April_fool님의 평소 글이 지적이고 재미있다고 생각해서 이런 경험이 있으신지는 꿈에도 생각을 못했습니다. 그러한 경험을 안고 분투해오신 삶에 경의를 표합니다.
    1
    어려운 환경에도 잘 자라신것 같아요. 환경이 힘들어도 가장 중요한것은 본인의 의지인것 같음을 느끼게됩니다. 앞으로도 늘 건강하시기를 바랍니다.
    2
    알료사
    가족중에 정신과 입원중인 일원이 둘 있었어서 남일처럼 읽히지 않네요. 부디 상황 호전되셔서 다시 약도 잘 드시고 건강해지셨으면 좋겠습니다.
    오미드
    정신과에서 진료받고 약을 처방받으면 기록이 남아서 취업할때나 일상생활하면서 불이익을 받을 수 있나요??
    궁금해서 여쭙습니다..
    개인의 의료기록은 민감한 개인정보이기 때문에, 자신이 공개 또는 사용에 동의하지 않는 한 취업 또는 직장생활 등에서 대부분의 경우에는 해당 정보를 회사 등이 알 수가 없으므로 불이익을 받을 일도 없습니다. 취업할 때 정신감정이라도 받아야 하는 경우가 아니라면 말이죠. 단 1가지, 정신과 진료를 받는 사람이 명백하게 불이익받는 것이 있는데 그것은 바로 [보험] 문제입니다. 제가 알기로 정신과 진료는 국민건강보험을 제외한 실비보험 등에서는 보장해주지도 않을 뿐더러, 제가 경험한 바에 따르면 정신과... 더 보기
    개인의 의료기록은 민감한 개인정보이기 때문에, 자신이 공개 또는 사용에 동의하지 않는 한 취업 또는 직장생활 등에서 대부분의 경우에는 해당 정보를 회사 등이 알 수가 없으므로 불이익을 받을 일도 없습니다. 취업할 때 정신감정이라도 받아야 하는 경우가 아니라면 말이죠. 단 1가지, 정신과 진료를 받는 사람이 명백하게 불이익받는 것이 있는데 그것은 바로 [보험] 문제입니다. 제가 알기로 정신과 진료는 국민건강보험을 제외한 실비보험 등에서는 보장해주지도 않을 뿐더러, 제가 경험한 바에 따르면 정신과 약을 먹는 것 자체만으로 보험 가입 자체에 불이익이 있었습니다. 다만, 이미 보험에 가입한 상태에서 해당 보험의 보장범위에 해당하는 청구를 하는 것에는 아무런 문제가 없더군요. 어쨌거나, 이런 불이익을 회피하기 위하여 아예 정신과 초진부터 병·의원 측에 “F코드 안 찍히게 해 주세요.”라고 요구하는 사람도 있다고 합니다.
    1
    오미드
    감사해요. 정신과에 내원하는 것 자체를 두려워하지 않아도 되겠습니다.
    빈둥빈둥
    2016년 부터는 가입되는 개정실비보험의 경우에는 정신과 질환 보장 범위가 넓어졌어요. 우울증, 조울증, 불안장애, 신경성 스트레스성 신체형장애, ADHD 등이 보장되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국민건강보험에서 보장해주는 부분에 제한되기 때문에(비급여는 인정하지 않는다는 말이죠) 그다지 메리트는 없어 보이긴 합니다. 아무래도 실비보험 보장보다는 보험 가입 자체를 문제삼는 일이 잦아서치료 전에 미리 보험 가입을 하던지, 아니면 충분한 치료를 받은 뒤 가입하게 될 수 밖에 없는거 같습니다.
    1
    April_fool
    댓글 달아주신 모든 분들께 감사드립니다. 새해 복 많이 받으세요!
    김치찌개
    어려운 얘기 해주셔서 감사합니다
    약 잘 드시고 건강해지길 바라겠습니다
    질문게시판에 댓글 항상 감사하고요
    새해 복 많이 받으세요.!
    Scientist
    항상 건강하시길 바랍니다.
    목록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815 경제바뀌지 않는 국책사업의 이면 5 쿠쿠z 19/06/11 6028 19
    114 꿀팁/강좌진지한 취미 사진가를 위한 다섯 가지 팁(스크롤 압박!) 43 *alchemist* 15/11/15 10570 14
    458 일상/생각냥님 입양기 – 나는 어떻게 그를 만나게 되었는가 22 *alchemist* 17/06/27 6712 9
    988 문화/예술지금까지 써본 카메라 이야기(#03) – Leica X2 (이미지 다량 포함) 12 *alchemist* 20/07/23 5596 7
    1216 일상/생각기록하는 도구에 대한 욕망... (1) 25 *alchemist* 22/06/22 4476 18
    1389 꿀팁/강좌[해석] 인스타 릴스 '사진찍는 꿀팁' 해석 24 *alchemist* 24/04/23 2879 16
    76 문화/예술goodbye. printmaking 18 1일3똥 15/09/24 9373 4
    584 문화/예술프사 그려드립니다. 72 1일3똥 18/01/28 8966 24
    1000 일상/생각뉴스 안보고 1달 살아보기 결과 10 2020禁유튜브 20/08/18 6416 29
    980 일상/생각40대 부부의 9급 공무원 도전기 36 4월이야기 20/07/08 7964 51
    966 일상/생각공부하다 심심해 쓰는 은행원의 넋두리 썰. 14 710. 20/06/06 6265 32
    770 체육/스포츠[사이클] 랜스 암스트롱 (1) - It's not about the bike. 12 AGuyWithGlasses 19/02/17 6558 9
    179 IT/컴퓨터100점짜리 단어를 찾아서. 30 April_fool 16/04/05 12018 15
    274 IT/컴퓨터컴퓨터는 어떻게 빠르게 검색을 할까 - 보이어-무어-호스풀 알고리즘 18 April_fool 16/10/04 15032 1
    737 꿀팁/강좌지금 쓰는 안경에만 돈을 75만원씩 퍼부은 사람이 알려주는 안경 렌즈 선택의 거의 모든 것 22 April_fool 18/11/28 63809 52
    749 의료/건강저의 정신과 병력에 대한 고백 15 April_fool 18/12/29 9049 47
    517 여행안나푸르나 기슭에 가본 이야기 (주의-사진많음) 6 aqua 17/09/23 7368 21
    532 일상/생각울진 않을거 같습니다. 14 aqua 17/10/21 8375 57
    551 일상/생각고3, 그 봄, 그 겨울 19 aqua 17/11/21 7278 47
    953 일상/생각한국인이 생각하는 공동체와 영미(英美)인이 생각하는 공동체의 차이점 16 ar15Lover 20/05/01 6288 5
    41 기타하고 싶은 일이 무언지 모르겠다는 그대에게 32 ArcanumToss 15/07/08 19354 3
    4 게임[히어로즈] 이것만 알면 원숭이도 1인분은 한다 64 Azurespace 15/05/30 13897 76
    67 IT/컴퓨터[약혐?] 안드로이드는 전자 양의 꿈을 꾼다 10 Azurespace 15/09/07 11607 9
    69 IT/컴퓨터거장의 그림을 30초만에 만들다: DeepStyle 33 Azurespace 15/09/08 32270 10
    71 IT/컴퓨터스타트랙 신경망 8 Azurespace 15/09/16 8785 5
    목록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댓글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