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회원들이 추천해주신 좋은 글들을 따로 모아놓는 공간입니다.
- 추천글은 매주 자문단의 투표로 선정됩니다.
Date 19/01/04 12:56:45수정됨
Name   homo_skeptic
Subject   우산보다 중헌 것
장마철은 아니지만..
사실 우산에 대한 이야기도 아니니까 상관없겠죠?

세상엔.. 우산을 사주지 않는 부모, 우산을 사주는 부모, 기깔나게 비싼 우산을 사주거나 비를 맞을 상황 자체로부터 자녀를 완벽히 차단하는 부모라는, 단 세 부류만 있다 생각하며 아이를 키워왔습니다. 사실 세 번째 부모가 되고 싶었지만.. 현실적으론 대부분 두 번째 역할을 하며 잃어버릴 때마다 잔소릴 하는 부모가 되었죠. 자신의 물건을 잘 챙기며, 폰 메인화면만 봐도 확인할 수 있는 그 날의 기상예보 정도는 미리 확인하는 습관을 길러주는 것이 부모의 역할이라 믿었으니까요.

우산 따위보다 신경쓸 것이 늘 많으신 아들놈들을 둘이나 키우다 보니, 여름철엔 거의 마트에 갈 때마다 우산을 사야했습니다. 3단 우산, 좀 크면 덜 잃어버릴까 싶어 장우산, 비싸고 신기한 걸 사주면 챙길까 싶어 인터넷으로 사준 왠갖 고오급, 캐릭터 우산까지. 하지만 제 아이들은 그 어떤 우산도 일주일 이상은 간수하질 못했고 그때마다 버려진 우산을 들고 온 덕에 지금도 저희 집 신발장 안에는 고객들이 선호하지 않는 디자인과 색깔을 피해가려는 우산업체에게 완벽한 해답을 제공할만한 표본으로서의 양과 가치를 뽐내는 우산들이 쌓여있습니다. (새삼 생각해보니 놀라운 경향성을 보이네요. 생생 생활정보 : 1단 자동우산으로 명도가 낮은 보라색과 분홍색, 파란 색 계열의 우산은 쉽게 버려진다!)

잃어버린 우산을 찾는 과정의 소음과 분노에 서로 지친 나머지, 책가방에 우산을 꼬매줘야겠다는 멍청한 아이디어를 실천하기 직전, 다행스럽게도 세상엔 네 번째 유형의 부모도 있다는 것을 알게 되었습니다. 우산을 잔뜩 사주고 혼내지 않는 부모요. 만수르 이야긴 아니고요. 생각해보니 거긴 비도 안오네요.. 밸런스 무엇? 암튼 지금은 기억도 나지 않는 어느 커뮤니티에서 장마철이 되기 전에 늘 개당 1000원도 안하는 비닐우산을 수십 개 단위로 미리 사놓는다는 아버질 봤거든요. 자음남발 가득한 가벼운 게시물이었지만, 전 과장없이 그 뮈시냐 '코페르니쿠스적 전환'에 비할만큼의 충격을 받았습니다.

우선 아이와 부모 모두 우산에 대한 스트레스나 불쾌한 갈등에서 벗어났을 겁니다. 다음으로 아이는 비를 맞고 등하교를 할 일이 전혀 없어졌겠죠. 학급에도 본인이 언젠가 가져왔을 것이 분명한 우산들이 널려있었을 테니까요. 기분 내키는 날엔 여러 개의 우산을 들고 가 우산을 잃어버리고 쩔쩔매는 친구들에게 호쾌하게 나눠주는 즐거움도 느꼈을 겁니다. 어쩌면 친구들이 순수한 호의로 지어준 우산맨같은 별명에 즐거워했을 수도 있겠죠.

우산을 잃어버리지 않거나 일기예보를 확인하는 습관이요? 제 돈으로 사거나, 여자친구에게 선물받은 우산이 생긴다면, 혹은 우산 때문에 큰 낭패를 본 경험 한 번이면.. 어차피 유년엔 곧 죽어도 깨우치지 못했을 우산 챙기는 일의 중요성 따윈 단번에 깨우치기 마련이죠. 무엇보다 언젠가 반드시, 그 아이는 아빠가 해준 행동의 의미를 깨닫게 될 겁니다. 우산을 쓰는 날엔 늘 아빠를 생각하게 될 지도 모르고요. 그렇지 않아도 힘든 출근길의 어깨를 내리찍듯 쏟아지는 비 아래에서 추억하기엔, 근엄한 얼굴로 우산의 행방을 묻는 얼굴보단 그 편이 더 나을 거에요. 그런 날, 그 아이는 조금 더 가볍게 우산을 들 수 있을테고 어쩌면 퇴근 후엔 아빠에게 전화 한 통을 먼저 하게 될 지도 모릅니다. 나아가 자신도 그런 아빠가 될 가능성도 높아지겠죠.

우산보다 더 중요한 건 이런 거죠. 그날 이후로도 수백 번 잊어버리고 어제도 실패했지만, 전 정말 이런 부모가 되고 싶어요.

* 토비님에 의해서 티타임 게시판으로부터 게시물 복사되었습니다 (2019-01-17 17:05)
* 관리사유 : 추천게시판으로 복사합니다.



12
  • 육아는 참말로 수양이로군요
이 게시판에 등록된 homo_skeptic님의 최근 게시물


목록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211 일상/생각아버지는 꿈꾸던 시베리아의 새하얀 벌판을 보지 못할 것이다. 4 원더월 16/05/30 4820 7
701 일상/생각버스에서의 반추 4 nickyo 18/09/16 4821 10
985 일상/생각자기 객관화라는 덫 9 necessary evil 20/07/17 4826 17
1092 일상/생각뒷산 새 1년 정리 43 엘에스디 21/05/25 4827 55
1231 일상/생각자폐 스펙트럼과 일반인의 경계에서 살아온 사람의 이야기 14 카르스 22/08/21 4831 78
469 역사삼국통일전쟁 - 6. 안시성에서 멈추다 7 눈시 17/07/09 4834 8
753 기타우산보다 중헌 것 6 homo_skeptic 19/01/04 4835 12
890 정치/사회셰일가스는 미국의 전략을 근본적으로 변경시켰나? 6 술탄오브더디스코 19/11/22 4838 13
1181 게임요즘은 엑스컴 2를 재미있게 플레이하고 있습니다 15 손금불산입 22/03/28 4849 14
1064 문학지난 두달동안 읽은 책들 간단리뷰 5 샨르우르파 21/02/28 4851 22
1114 게임[스타2] [이미지 초스압] 자날 캠페인 노치트 무손실 클리어 성공했습니다. 13 호타루 21/08/08 4858 14
203 일상/생각육아일기 - 2016년 5월 23 까페레인 16/05/10 4863 5
256 정치/사회위안부 관련, 최근 뉴스들 짜깁기한 것 2 Ben사랑 16/08/27 4863 3
454 역사삼국통일전쟁 - 1. 일백일십삼만 대군 15 눈시 17/06/18 4869 19
382 일상/생각가난한 사랑 노래 23 열대어 17/03/08 4871 21
894 의료/건강꽃보다 의사, 존스홉킨스의 F4(Founding Four Physicians) 11 OSDRYD 19/12/06 4872 21
1017 체육/스포츠르브론 제임스의 우승은 그를 역대 2위 그 이상으로 위치시킬 수 있는가? 15 손금불산입 20/10/14 4873 21
1078 게임스타여캠) 안시성 14 알료사 21/04/05 4876 12
938 정치/사회섹슈얼리티 시리즈 (4) - 젠더는 BDSM 속에서 작동하나요? 6 호라타래 20/03/23 4880 13
1082 IT/컴퓨터우리도 홍차넷에 xss공격을 해보자 19 ikuk 21/04/20 4880 14
825 정치/사회정전 66년 만의 만남, 2019년의 대한민국은 빚을 졌다 6 The xian 19/06/30 4881 14
1080 정치/사회택배업계의 딜레마 19 매뉴물있뉴 21/04/16 4889 11
199 일상/생각[조각글 24주차] 이해와 인정 사이 4 nickyo 16/05/02 4892 3
883 여행이탈리아(로마/아시시/피렌체) 여행 팁. 8 녹차김밥 19/11/07 4892 12
227 일상/생각. 12 리틀미 16/07/03 4900 8
목록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