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회원들이 추천해주신 좋은 글들을 따로 모아놓는 공간입니다.
- 추천글은 매주 자문단의 투표로 선정됩니다.
Date 19/06/30 15:52:36수정됨
Name   The xian
Subject   정전 66년 만의 만남, 2019년의 대한민국은 빚을 졌다
오늘 정전 66년 만에 비무장지대에서 미국의 대통령과 북한의 지도자, 그리고 대한민국 대통령이 함께 만났습니다. 만나기 전 들려왔던 뉴스에 따르면 1년 2개월 전 남북정상회담에서 만난 자리에서 만날 수도 있고, 그 당시 문재인 대통령이 그랬던 것처럼 DMZ를 살짝 넘어 북한 땅을 밟을 수도 있다고 했는데 그 때를 연상시키는 모습들을 다시 생중계로 보게 되니까 감개무량합니다.

애초에 이 순간 성사된 만남은 길지 않은 만남일 것으로 예측되었습니다. '회담'보다는 '만남'이나 '상봉'이란 표현을 쓴 것만 봐도 김정은 위원장이 나왔다 한들 얼굴만 살짝 비추는 수준이고 실제로는 몇 마디 나누지 않는 이벤트로 볼 수 있었기 때문입니다.

설령, 김정은 위원장이 문재인 대통령, 트럼프 대통령과 같이 만나서 자유의 집에 들어가 짧든 길든 깊은 대화를 나눴다 해도 당장 대한민국의 안보 국면에 매우 엄청난 진전이 있지는 않을 거라고 보는 게 맞을지도 모릅니다. 과거 7.4 남북공동성명, 이산가족 상봉, 6.15 남북공동선언 등을 비롯한 여러 긍정적인 신호들이 있었지만 대한민국과 북한, 북한과 미국과의 관계는 항상 그래 왔기 때문이지요.

그럼에도 불구하고 저는 이런 만남이 이루어지는 것만으로도 매우 큰 의미가 있다고 보고 그만한 칭찬을 받을 일이라 생각합니다. 정전 66년 만에 비무장지대에서 미국의 대통령과 북한의 지도자가, 그리고 대한민국 대통령이 만난 것 만으로도 역사상 최초의 일이기 때문입니다.


오늘의 만남이 있기 약 1년 2개월 전 성사된 남북정상회담에 대해 한 언론사가 남북정상회담 성사에 대해 [文을 좋아하든, 싫어하든, 관심이 없든 2018년의 우리는 빚을 졌다] 라는 기사를 써서 칭찬했던 일이 생각납니다.

https://news.v.daum.net/v/20180428170119240

'다만 2018년 4월 27일, 북측의 지도자가 처음으로 남측에 발을 디뎠던 때가 1953년 정전 협정 이후 한반도에 전쟁이 터질 가능성이 가장 낮았던 날이라는 것은 부인할 수 없다. 그리고 이를 가능하게 했던 것은 한반도 평화를 위해 고군분투했던 문 대통령의 개인기다. 2018년 한반도는 그에게 빚을 졌다.' 라는 기사 말미의 말처럼, 남북정상회담 이후 2018년의 한반도는 적어도 몇 년 전의 한반도보다는 훨씬 나은 상태가 된 것이 사실입니다.

그리고 1년 2개월 뒤인 오늘, 한국전쟁 이후 66년 만에,
미국의 대통령과 북한의 지도자, 그리고 대한민국 대통령이 DMZ에서 만나는 역사상 최초의 만남이 성사되었습니다.

어쩌면 1년 2개월 전 남북정상회담을 다룬 위의 기사 제목처럼, 문재인 대통령을 좋아하든, 싫어하든, 관심이 없든 2019년의 우리 역시 빚을 졌다고 해도 되지 않을까 싶습니다. 낯간지럽거나 오글거리는 말이라 하실지도 모르겠지만, 지금껏 이런 광경을 만들어 준 미국의 대통령과 북한의 지도자, 그리고 대한민국 대통령은 제 인생에도, 대한민국의 역사에도 없었으니 말입니다.


- The xian -

* Cascade님에 의해서 티타임 게시판으로부터 게시물 복사되었습니다 (2019-07-14 11:43)
* 관리사유 : 추천게시판으로 복사합니다.



14


    목록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449 일상/생각아재의 신비한 디시갤러리 탐험기. 14 tannenbaum 17/06/10 6673 7
    472 일상/생각고시낭인이라 욕하지마라. 17 tannenbaum 17/07/14 6423 26
    489 일상/생각익숙한 일 13 tannenbaum 17/08/08 5343 18
    500 정치/사회노 키즈 존. 24 tannenbaum 17/08/22 7251 18
    510 일상/생각이별의 종류. 6 tannenbaum 17/09/16 8322 19
    515 일상/생각조카사위 이야기. 47 tannenbaum 17/09/21 7576 24
    586 일상/생각조카들과 어느 삼촌 이야기. 9 tannenbaum 18/02/02 7111 33
    682 정치/사회넷상에서 선동이 얼마나 쉬운가 보여주는 사례 16 tannenbaum 18/08/14 8190 9
    1337 일상/생각적당한 계모님 이야기. 10 tannenbaum 23/10/30 2149 48
    262 일상/생각하나님 한 번만 더 할아버지와 대화하게 해주세요. 7 Terminus Vagus 16/09/09 4905 10
    765 일상/생각돈이 없는 것보다 더 부끄러운 것 10 The xian 19/01/31 7002 24
    825 정치/사회정전 66년 만의 만남, 2019년의 대한민국은 빚을 졌다 6 The xian 19/06/30 4808 14
    74 꿀팁/강좌imgur로 게시판에 이미지 올리기 5 Toby 15/09/23 7163 5
    88 IT/컴퓨터간략하게 살펴보는 웹디자인의 역사 24 Toby 15/10/16 10465 17
    115 IT/컴퓨터웹 프론트엔드(front-end)란? 24 Toby 15/11/17 13001 8
    142 요리/음식탕수기 제작기 28 Toby 16/01/11 7981 7
    210 기타아들이 말을 참 잘합니다. 37 Toby 16/05/30 6137 25
    173 IT/컴퓨터최근 국내 PC 웹브라우저 점유율의 변화 43 Toby 16/03/24 9658 5
    186 음악홍차넷 지상파 입성 기념 뮤직비디오 241 Toby 16/04/20 12690 9
    219 문화/예술돌멩이를 모으는 남자 28 Toby 16/06/15 7858 21
    224 일상/생각서로 다른 생각이지만 훈훈하게 29 Toby 16/06/28 5394 6
    257 문화/예술100억 짜리 애니메이션이 쥐도 새도 모르게 개봉되는 이유 14 Toby 16/08/31 7869 3
    337 게임게임 '헌티드 맨션' 만든 얘기 28 Toby 17/01/04 8160 28
    345 일상/생각타임라인과 속마음 나누기 36 Toby 17/01/13 6986 34
    354 기타우리 아들의 신박한 표현들 29 Toby 17/01/25 7080 11
    목록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