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회원들이 추천해주신 좋은 글들을 따로 모아놓는 공간입니다.
- 추천글은 매주 자문단의 투표로 선정됩니다.
Date | 19/11/08 20:15:34수정됨 |
Name | 사슴도치 |
File #1 | IMG_20190427_102050_272.jpg (1.81 MB), Download : 27 |
Subject | 사진에 대한 매우 사적이고 개인적인 이야기 : 무엇을 어떻게 찍을 것인가 |
1. 오랜만에 사진글이에요. 제목은 거창하게 썼는데 딱히 별 내용없는 글입니다. 그동안 생업에 바빠 사진도 제대로 못찍고 폰으로 대충 찍는 그런 삶을 살고 있지만, 여전히 사진은 제1취미입니다. 2. 종종 여러분들이 물어보시곤 하는 것이 제가 사용하는 카메라에 대한 질문이에요. 제가 쓰는 시스템은 마이크로포서드시스템이에요. 파나소닉과 올림푸스에서 나오는 미러리스 시스템이죠 (기술적인 내용은 https://redtea.kr/?b=3&n=4889 요 글을 한번 참고해보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기종으로 따지면 파나소닉 GX1, GX7, GX9, G7을 쓰고 있어요. 센서도 그리 크지않고, 어떤 사이트를 가나 이거 살바에 더 좋은거 사라는 평가를 받는 장비들이에요. 그래도 작고 예쁘고 저렴해요. 이거저거 부족한 것이 많은 시스템인데 실력이 부족한 저같은 사진사와 닮은 구석이 많아서 저는 좋아합니다. 3. 딱히 무엇을 찍어야지 하는 목적성을 가지고 찍지는 않아요. 일상에서 습관처럼 카메라를 꺼내거나 핸드폰 카메라앱을 기동시킵니다. 대부분 잘 안나오긴 하는데, 가끔씩 한두장 얻어걸리는 것 같아요. 4. 프레임 안에 재미있는 구도를 담는 것을 좋아해요. 일부러 몇몇 부분을 자르거나 가려진 상태로 찍어서, 혹은 주제를 가리지 않는 선에서 부제를 강조하여 그 부분에 대한 이야기를 상상할 수 있는 사진들을 좋아합니다. 물론 항상 그렇게 찍을 수 있는 건 아닌 것 같습니다. 5. 애매하거나 어려울때는 엄청 가깝게 다가가거나 앵글을 밑으로 낮춰서 찍어요. 평소에 보는 시선과 달리하는 것만으로도 재미있는 사진을 찍을 수 있습니다. 6. 사진찍는 것의 가장 큰 재미는 피사체를 쪼는 것부터 셔터를 누르는 순간까지, 세상과 유리된 느낌이 드는 그 순간이 아닐까 합니다. 실질적으로는 그리 긴 시간은 아닌데, 체감적으로는 꽤 긴 시간처럼 느껴집니다. 7. 사진을 찍은지는 14년쯤 되었는데, 귀차니즘과 남보다 떨어지는 미감으로 인해 크게 발전하지는 않았어요. 그래도 여전히 재미를 잃지 않아 다행입니다. 8. 사실 이 취미는 이미 죽어가는 취미입니다. 소수의 매니아들만 남아있고 요샌 핸드폰이 워낙 잘나와서 일반적인 기준에서 카메라는 딱히 필요가 없죠. 요샌 그냥 카메라를 사겠다고 마음먹고 물어보는 사람들이 참 반가워요. 9. 내일은 간만에 출근하지 않는 주말입니다. 가을도 되었으니 오랜만에 출사를 나가볼까 합니다. 여러분도 오랜만에 사진을 찍어보시는 것은 어떨까요? * Cascade님에 의해서 티타임 게시판으로부터 게시물 복사되었습니다 (2019-11-17 21:13) * 관리사유 : 추천게시판으로 복사합니다. 19
이 게시판에 등록된 사슴도치님의 최근 게시물
|
저 단풍잎 사진같은 건 사진 취미로 해 본 모든 사람이 한 번씩은 찍어보는 건데, 범부의 결과물과 너무도 다르네요ㅠㅠ
저는 03년도부터 3~4년 정도 필름카메라를 항상 지니고 다니는 생활을 했었어요.
조리개 우선 모드조차 없는, 완전 수동 카메라였어요.
그 생활이 무척 재미 있었고, 프레임을 연상하면서 바라보면 일상이 다르게 나타나는 것도 늘 신선한 경험이었어요.
그런데 문제는 제 사진이 너무도 마음에 안 들었다는 거예요.
게다가 카메라는 거의 잡아본 적도 없는 친구가 찰칵, 한 사진이 재능으로 빛나는 모습을 보기도 좀 힘... 더 보기
저는 03년도부터 3~4년 정도 필름카메라를 항상 지니고 다니는 생활을 했었어요.
조리개 우선 모드조차 없는, 완전 수동 카메라였어요.
그 생활이 무척 재미 있었고, 프레임을 연상하면서 바라보면 일상이 다르게 나타나는 것도 늘 신선한 경험이었어요.
그런데 문제는 제 사진이 너무도 마음에 안 들었다는 거예요.
게다가 카메라는 거의 잡아본 적도 없는 친구가 찰칵, 한 사진이 재능으로 빛나는 모습을 보기도 좀 힘... 더 보기
저 단풍잎 사진같은 건 사진 취미로 해 본 모든 사람이 한 번씩은 찍어보는 건데, 범부의 결과물과 너무도 다르네요ㅠㅠ
저는 03년도부터 3~4년 정도 필름카메라를 항상 지니고 다니는 생활을 했었어요.
조리개 우선 모드조차 없는, 완전 수동 카메라였어요.
그 생활이 무척 재미 있었고, 프레임을 연상하면서 바라보면 일상이 다르게 나타나는 것도 늘 신선한 경험이었어요.
그런데 문제는 제 사진이 너무도 마음에 안 들었다는 거예요.
게다가 카메라는 거의 잡아본 적도 없는 친구가 찰칵, 한 사진이 재능으로 빛나는 모습을 보기도 좀 힘들었구요.
그래도 다시 시작해볼까 해요.
이만큼 즐거우면서도 파괴적이지 않은 취미도 드물더라구요.
저는 03년도부터 3~4년 정도 필름카메라를 항상 지니고 다니는 생활을 했었어요.
조리개 우선 모드조차 없는, 완전 수동 카메라였어요.
그 생활이 무척 재미 있었고, 프레임을 연상하면서 바라보면 일상이 다르게 나타나는 것도 늘 신선한 경험이었어요.
그런데 문제는 제 사진이 너무도 마음에 안 들었다는 거예요.
게다가 카메라는 거의 잡아본 적도 없는 친구가 찰칵, 한 사진이 재능으로 빛나는 모습을 보기도 좀 힘들었구요.
그래도 다시 시작해볼까 해요.
이만큼 즐거우면서도 파괴적이지 않은 취미도 드물더라구요.
필름카메라는 정말 한장한장이 소중해서 찍기가 참 어렵죠. 디지털의 제일 장점이 셔터수를 아끼지 않아도 되는 점이라고 생각해요.
남과 비교하지 않으면서도 충분히 재미지게 할 수 있는 장난감인것 같아요 ㅎㅅ
남과 비교하지 않으면서도 충분히 재미지게 할 수 있는 장난감인것 같아요 ㅎㅅ
사슴도치님 사진 보면 사슴도치님 눈에는 세상이 어떻게 보일까 궁금해요. 저도 재미나고 독특한 구도를 잡아보고 싶었지만 제 세상은 아직 그렇게 개성적으로 생겨먹지 못했거든요. 매혹적인 세상을 나누어주셔서 늘 즐겁게 보고 있어요.
종종 올려주시는 사진들 감사히 보고있어요!! 전 진짜 사진계의 똥손오브똥손이라 넘 대단하시다 싶어용.. 가끔 써주시는 팁도 참고하고있습니다ㅎㅎ
와... 저도 사슴도치님처럼 단풍잎을 아래에서 위로 찍어본 적이 있어요. 심지어 사용하는 기기도 마이크로포서드. 뜻모를 친근감을 멋대로 느껴봅니다!
사진이 죽어가는 취미이긴 해요. 동영상은 또 다른 얘기인거 같습니다. 전 그래서 의도적으로 폰카로는 도저히 찍을 수 없는 상황과 세팅에 더 관심을 가집니다. 가령 야경사진은 폰카로는 참 어렵죠. 아니면 주광 장노출이라거나요. 하다못해 인쇄를 아예 대형으로 해버리면 핸드폰으론 따라갈 수 없겠죠 ㅎㅎ 평범한 사진은 점점 더 살아남기 어려운 시대같습니다.
목록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