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회원들이 추천해주신 좋은 글들을 따로 모아놓는 공간입니다.
- 추천글은 매주 자문단의 투표로 선정됩니다.
Date | 20/01/14 00:56:52수정됨 |
Name | 카야 |
File #1 | Day_61.jpg (180.5 KB), Download : 12 |
Subject | 습관 만들기 - 2달째 후기 |
타임라인에 종종 올리던 이미지 혹시 기억하시나요~? 이것저것 습관 만들기가 벌써 2달째입니다. 가시적인 성과로 외형적인건 잘 못 느꼈는데 (어제도 자랑했지만!) 작년에 사둔 청바지 정사이즈 옷이 잘 들어갑니다. 외형적으로 크게 달라진 것은 없지만 일단 옷이 들어간다는 것에 스스로 고무적이에요. 심지어 그 청파지 정사이즈에다가 스판도 아니어서 안 늘어나거든요 -_-)v 제 기존의 생활패턴은 이랬어요. 스트레스를 받는다 ->먹고 마신다->살이 찐다, 돈이 없다, 자신감이 떨어진다, 우울하다, 건강이 나빠진다 -> 스트레스를 받는다! [=> 악순환] 이런 것들을 고치기 위해 좋은 습관 만들기를 형성하는데 애를 썼어요. 저는 사고 싶은게 많아요. 그 중 하나는 에어팟이에요. 정가 33만원인데, 지금 이걸 모으려고 푼돈, 꽁돈, 잔돈 등을 저축했었거든요. 근데 너무 오래걸리니까 오늘 하루 잘 보내면 천원을 저금해요. 저금하는 조건은 두가지에요. [최소 주 5회 동안에는 아래 항목을 지킬것.] - 일~목요일 동안에는 집 올 때 간식 사오지 않기. - 금주하기 저는 술을 꽤 좋아하기 때문에, 완전히 포기는 못해요! 그래서 금,토만 마시고 나머지는 마시지 말아야지! 하면서 명확하게 보상을 줬어요. (지금은 천원 저금하는데 너무 적게 쌓여서 2월부터는 좀 더 저축액을 높이려구요) 예를들어 30만원짜리를 한 번에 결제하면 너무 한 번에 나가니까, [6개월동안 5만원씩 모아서 산다]는 거죠. 그렇게 하면 30만원 지출이 아니라, [고정금액으로 매달 6개월 동안 5만원씩 나가니까 부담감이 훨씬 덜]해요. 그렇게 정하다보면 자연스럽게 우선순위가 갈려요. 당장 사야하는 화장품 같은 소비품목 들을 먼저 사게 되고, 제가 가지고 싶어하는 에어팟같은 것들은 우선순위가 늦어지죠. 그런 우선순위는 낮지만 비용이 많이 드는 것들을 보상으로 두고, 잘 할때마다 매일 조금씩 그 물건을 사서 모으는거에요. 그래서 지금 에어팟용 통장에는 10만원 정도가 저축되어 있어요. (갤럭시 버즈를 살지 뭘 살지 모르겠지만 아무튼 무선 이어폰 살거에요) 저는 저런 사소한 것들에 자주 집착을 하는데, 만보 열심히 걸어봤자 앱테크 합쳐보면 200원 정도밖에 못 벌거든요. 그럼 한달 열심히 해도 6천원. 밥 값도 안 나와요. 대신에 제가 제 스스로의 약속을 잘 지키면 최소 2만원은 저축하죠. (이렇게 해서 돈 모으면 너무오래걸리지만요 ㅎㅎ) 저 목표에 집착하니까, 시장 지나면서 맛난 음식들이 유혹해도 [아냐 먹으면 저금 못해!]라는 마음으로 꾹 참고 넘어가요. [금요일에 먹을거야!] 해놓고서 천원 더 저축하는게 욕심나니까 먹을 수 있는 금요일 토요일에도 한 번 더 저축해보려고 노력해봐요. (지난주 금요일에는 성공해서 추가 달성을 했어요!) 집 와서 퍼지지 않고 [저금하려면 만보 채워야해] 하고 스스로를 자꾸 밖으로 내쫓아요. 2500보 남았으니까 15분만 더 걷고 오자, 이런식으로요. 15분이 너무 까마득하면 그냥 시장 구경해도 되고, 마트 구경해도 되고, 다이소 구경해도 좋으니 잠깐 마실 갔다오지 뭐. 하고 집 밖으로 스스로를 내쫓아요. 이런 식으로 스스로를 자꾸 채찍질 하다보니 재밌기도 하고(?) 돈 모아는 재미도 나쁘지 않아서 아직까지는 계속 하고 있어요. 그리고 이번 월급날부터 30만원씩 6개월간 단기 적금을 들었는데요. 2020년에 사려는 목표 중에 하나인 노트북을 살 거에요. (혹은 태블릿) 요것들이 시너지를 적극적으로 내기 시작한 것 같아요. 일단 폭식이 많이 줄었어요. [시행착오 1]오늘은 저녁에 안 먹어야지 하고 아침, 점심에 넉넉하게 먹음 -> 저녁에 계속 먹더라구요. [시행착오 2] 그래서 저녁에 먹을 것 같으니 아침을 먹지 말자! -> 배가 고파서 폭식 (점심, 간식, 저녁이 늘어서 간식비도, 칼로리도 폭발!) 그래서 이제는 배부르게 먹되, 살이 덜 찌는 칼로리 밀도가 낮은 건강한 채소/과일류로 배를 채우고 난 뒤에 음식을 먹어요. 그럼 아무리 배가 터질 것 같아도 실질적으로 섭취한 칼로리는 낮아요. 그리고 배가 너무 부르니까 일단 만보 걷기가 시급해지고, 어느 정도 배가 꺼지고 나면 많이 먹은 것에 대한 불안감 때문에 근력운동을 해요. 근력 운동이라기에도 민망하지만 아무튼 스쿼트 몇회씩, 전신 운동 뭐 몇회씩 이런식으루요. 아직 크게 가시적인 것들은 없지만 제 스스로 안에서 쌓여가는 효용감들이 쌓이다보니 [내 하루를 내가 통제한다]라는 느낌이 강해져서 좋아요. [인생을 주도적으로 살아가는 게 된다]는 점이 느껴지거든요. 다들 그렇게 살고 계셔서 당연한 얘기잖아! 라고 생각하실 수 있지만 제겐 당연하진 않았던 일이어서 ㅎㅎ 스스로 많이 기특합니당. 아직 잘 안 되는 것 중에 하나는 [매일 정해진 분량의 독서]에요. 이건 홍차넷 하고 중간중간에 딴짓하고 놀다보면 영 어렵네요. 그리고 책을 읽고 리뷰를 써야지! 하다보니까 그거에 대해 부담감이 커서 더 안하게 되는 것 같아요. 뭔가 즐거운 동기, 하고싶은 마음을 만들어야 하는데 영 어렵다능. 읽고나면 돈 저금하는 식으로 다른 식의 보상을 새로이 만드는 등의... 다른 식으로 접근을 해봐야겠어요. 아직 갈 길은 멀지만 꾸준히 하다보면 제가 원하는 것 이상의 결과들이 나올거라고 생각해요. 日日是好日 ! 매일 매일이 좋은 날입니다. :) * Cascade님에 의해서 티타임 게시판으로부터 게시물 복사되었습니다 (2020-01-28 22:28) * 관리사유 : 추천게시판으로 복사합니다. 37
이 게시판에 등록된 카야님의 최근 게시물 |
헛.. 제 의견은..
1. 명확한 동기가 없다.
2. 꾸준히 실천할만한 환경설정이 잘 안 되어 있다.
3. 재미가 없다.
이 세가지인 것 같습니다!
각각에 대한 피드백을 드리자면..
1. 동기
저는 [일기]를 쓰는 이유가 두가지에요.
1) 미래의 나를 위한 편지
-> 생각보다 과거의 제 자신은 괜찮은 사람이었거든요. 그런데 왜 나는 이 지경이 되었나?라고 생각해보면 짚어지는 부분들이 있어요.
먼 훗날 그런 생각을 하고 싶지 않아서 현재의 나를 끊임없이 ... 더 보기
1. 명확한 동기가 없다.
2. 꾸준히 실천할만한 환경설정이 잘 안 되어 있다.
3. 재미가 없다.
이 세가지인 것 같습니다!
각각에 대한 피드백을 드리자면..
1. 동기
저는 [일기]를 쓰는 이유가 두가지에요.
1) 미래의 나를 위한 편지
-> 생각보다 과거의 제 자신은 괜찮은 사람이었거든요. 그런데 왜 나는 이 지경이 되었나?라고 생각해보면 짚어지는 부분들이 있어요.
먼 훗날 그런 생각을 하고 싶지 않아서 현재의 나를 끊임없이 ... 더 보기
헛.. 제 의견은..
1. 명확한 동기가 없다.
2. 꾸준히 실천할만한 환경설정이 잘 안 되어 있다.
3. 재미가 없다.
이 세가지인 것 같습니다!
각각에 대한 피드백을 드리자면..
1. 동기
저는 [일기]를 쓰는 이유가 두가지에요.
1) 미래의 나를 위한 편지
-> 생각보다 과거의 제 자신은 괜찮은 사람이었거든요. 그런데 왜 나는 이 지경이 되었나?라고 생각해보면 짚어지는 부분들이 있어요.
먼 훗날 그런 생각을 하고 싶지 않아서 현재의 나를 끊임없이 돌아보는 작업을 하고 싶어요. 그리고 미래의 내가 일기를 봤을 때 이런 생각을 했었구나, 이런 마음으로 이렇게 달려왔었구나 하고 돌아봤을 때
[다시 나의 목표를 떠올릴 수 있는 전환점]을 기억하도록 하고 싶어요.
2) 꾸준히 나에 대해 쓰는 연습을 하기.
언젠가부터 논리도 없고, 글도 중언부언하거든요.
이걸 좀 체계적으로 잡고 싶어서 글 쓰는 연습, 생각하는 연습을 하고 싶은데
이건 사실 쓰기만 하면 소용이 없는 것 같아 다른 책들을 읽으면서 글쓰는 방법, 생각하는 방법을 보강하고 싶어요.
저는 이런 나름의 명확한 목표가 있어서 (실은 방금 지어냄) 나름대로 꾸준히 쓰게 되는 것 같아요.
일기와 가계부를 쓰시려는 이유가 무엇인지, 무엇을 개선하고 싶은지 목표가 확실히 정해져야 자기 스스로에게 동기부여가 되는 것 같아요.
저는 [가계부] 쓰는 것도 매번 돈 모자르고, 저축할 돈이 없는데
앞으로 먹고 살기 위해서는 뭘 해야하나 돈을 어떻게 관리해야하나.. 그런 부분이 어려웠어서 쓰게 되었거든요.
[매달, 무조건 돈이 남는 예산의 기술]이라는 책 추천드려요!
2. 환경 설정: 계획!
사실 목표는 매년 매 순간 세우지만 실천하는게 너무 어렵죠 -_ㅜ
그래서 같은 목표를 가지고 사람들하고 같이 진행하기도 하고, 리마인드 알람을 설정하고 계속 까먹지 않고 하도록 설정을 해둬요.
자신의 목표한 바를 할 수 있도록 자극을 주는 환경,
일정한 행동 습관을 만드는 환경으로 나를 자꾸 밀어넣어야 해요.
왜냐면 사람은 강제성이 없으면 하기 무척 어렵거든요.
그리고 본인에게 우선 순위가 어느게 더 높은지도 확인해봐야해요.
나는 집에와서는 무조건 누워야해 쉬어야해 하고 생각하는 사람이
집 와서 운동하고 일기써야지 하면 절대 안 써져요.
일기를 쓴다고 하더라도 손으로 쓸 것인지, 아니면 블로그에 올릴 것인지에 따라 달라요. (저는 틈틈히 일기거리가 생각날때마다 블로그에 적어요. 안 그러면 까먹으니까) 가계부도 수기로 쓸 건지 아니면 앱으로 관리할 것인지도 갈리구요.
그런 맥락으로 내가 목표한걸 하려면 재미가 있어야 해요.
3. 재미!
나한테 맞는 방법, 나한테 맞는 스타일을 찾아야해요.
내가 뭘 좋아하고 뭘 싫어하는지.
어떻게 해야 내가 [즐겁게 할 수 있는지]를 알아야 해요.
저는 다행히 피피티 만지작 거리는게 즐거워서 저걸 매일 꾸준히 하지만
컴퓨터가 없는 환경이거나 저런거 만지는게 끔찍이도 싫은 사람은 저처럼 당연히 못하고 그걸 강요할 생각도 없구요!
내가 가장 잘 할 수 있는 방법으로 즐겁게 하는 것이 가장 중요한 것 같습니다.
내가 어떤 사람인지 알아야 내가 목표로 하는 것도 [나만의 스타일로 잘]할 수 있는 것 같아요~
좋은 덧글 남겨주셔서 저도 다시 돌아보게 되네요 :D
1. 명확한 동기가 없다.
2. 꾸준히 실천할만한 환경설정이 잘 안 되어 있다.
3. 재미가 없다.
이 세가지인 것 같습니다!
각각에 대한 피드백을 드리자면..
1. 동기
저는 [일기]를 쓰는 이유가 두가지에요.
1) 미래의 나를 위한 편지
-> 생각보다 과거의 제 자신은 괜찮은 사람이었거든요. 그런데 왜 나는 이 지경이 되었나?라고 생각해보면 짚어지는 부분들이 있어요.
먼 훗날 그런 생각을 하고 싶지 않아서 현재의 나를 끊임없이 돌아보는 작업을 하고 싶어요. 그리고 미래의 내가 일기를 봤을 때 이런 생각을 했었구나, 이런 마음으로 이렇게 달려왔었구나 하고 돌아봤을 때
[다시 나의 목표를 떠올릴 수 있는 전환점]을 기억하도록 하고 싶어요.
2) 꾸준히 나에 대해 쓰는 연습을 하기.
언젠가부터 논리도 없고, 글도 중언부언하거든요.
이걸 좀 체계적으로 잡고 싶어서 글 쓰는 연습, 생각하는 연습을 하고 싶은데
이건 사실 쓰기만 하면 소용이 없는 것 같아 다른 책들을 읽으면서 글쓰는 방법, 생각하는 방법을 보강하고 싶어요.
저는 이런 나름의 명확한 목표가 있어서 (실은 방금 지어냄) 나름대로 꾸준히 쓰게 되는 것 같아요.
일기와 가계부를 쓰시려는 이유가 무엇인지, 무엇을 개선하고 싶은지 목표가 확실히 정해져야 자기 스스로에게 동기부여가 되는 것 같아요.
저는 [가계부] 쓰는 것도 매번 돈 모자르고, 저축할 돈이 없는데
앞으로 먹고 살기 위해서는 뭘 해야하나 돈을 어떻게 관리해야하나.. 그런 부분이 어려웠어서 쓰게 되었거든요.
[매달, 무조건 돈이 남는 예산의 기술]이라는 책 추천드려요!
2. 환경 설정: 계획!
사실 목표는 매년 매 순간 세우지만 실천하는게 너무 어렵죠 -_ㅜ
그래서 같은 목표를 가지고 사람들하고 같이 진행하기도 하고, 리마인드 알람을 설정하고 계속 까먹지 않고 하도록 설정을 해둬요.
자신의 목표한 바를 할 수 있도록 자극을 주는 환경,
일정한 행동 습관을 만드는 환경으로 나를 자꾸 밀어넣어야 해요.
왜냐면 사람은 강제성이 없으면 하기 무척 어렵거든요.
그리고 본인에게 우선 순위가 어느게 더 높은지도 확인해봐야해요.
나는 집에와서는 무조건 누워야해 쉬어야해 하고 생각하는 사람이
집 와서 운동하고 일기써야지 하면 절대 안 써져요.
일기를 쓴다고 하더라도 손으로 쓸 것인지, 아니면 블로그에 올릴 것인지에 따라 달라요. (저는 틈틈히 일기거리가 생각날때마다 블로그에 적어요. 안 그러면 까먹으니까) 가계부도 수기로 쓸 건지 아니면 앱으로 관리할 것인지도 갈리구요.
그런 맥락으로 내가 목표한걸 하려면 재미가 있어야 해요.
3. 재미!
나한테 맞는 방법, 나한테 맞는 스타일을 찾아야해요.
내가 뭘 좋아하고 뭘 싫어하는지.
어떻게 해야 내가 [즐겁게 할 수 있는지]를 알아야 해요.
저는 다행히 피피티 만지작 거리는게 즐거워서 저걸 매일 꾸준히 하지만
컴퓨터가 없는 환경이거나 저런거 만지는게 끔찍이도 싫은 사람은 저처럼 당연히 못하고 그걸 강요할 생각도 없구요!
내가 가장 잘 할 수 있는 방법으로 즐겁게 하는 것이 가장 중요한 것 같습니다.
내가 어떤 사람인지 알아야 내가 목표로 하는 것도 [나만의 스타일로 잘]할 수 있는 것 같아요~
좋은 덧글 남겨주셔서 저도 다시 돌아보게 되네요 :D
선생님 이렇게 좋은 댓글 남겨주시다니요 ㅠㅜ 감동이에여.
기존에 엑셀이랑 노션으로 정리하고 그랬는데 아무래도 손으로 쓰는게 맞나봐요. 다이어리는 몇개씩 용도별로 잘 쓰고 있거든요ㅋㅋ
댓글 두고두고 읽으면서 신년계획 다시 세워봐야겠읍니다. 고맙습니다!
기존에 엑셀이랑 노션으로 정리하고 그랬는데 아무래도 손으로 쓰는게 맞나봐요. 다이어리는 몇개씩 용도별로 잘 쓰고 있거든요ㅋㅋ
댓글 두고두고 읽으면서 신년계획 다시 세워봐야겠읍니다. 고맙습니다!
목록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