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회원들이 추천해주신 좋은 글들을 따로 모아놓는 공간입니다.
- 추천글은 매주 자문단의 투표로 선정됩니다.
Date 20/05/01 15:26:44수정됨
Name   ar15Lover
Subject   한국인이 생각하는 공동체와 영미(英美)인이 생각하는 공동체의 차이점

저는 나름 해외유학 경험이 있어서, 꼴에 영어 쪼까 할줄 안다고, 레딧이나 트위터, 유튜브 등지에서 영미권 사람들이 쓴 글들, 영문으로 쓰인 칼럼을 자주 읽는 편인데요.

영미권 사람들이 쓴 글을 읽으면 읽을 수록, 한국인들과 영미인들이 사고방식이 달라도 너무 다르다고 느껴집니다.

최근 가장 강하게 느껴지는 차이가 바로 '공동체(Community)'라는 단어에 대한 인식차이입니다.

전 심신에 문제가 있어 군복무를 할 수 없는 인원을 강제로 동원하는 사회복무요원제도, 현역병에 대한 과도학 착취, 양심적 병역거부자 처벌 등

한국의 징병제 전반에 대단히 비판적인 입장인데요, 그래서 이거가지고 인터넷에서 키배도 정말 많이 떴습니다.

한 10여년 전에는 '넌 애국심도 없냐.' 같은 말을 들어먹었는데, 헬조선 밈이 돌면서 '애국심', '국가'라는 단어 자체의 어감이 좀 안좋아져서 그런지

요새는 '공동체 의식이 없다.', '공동체에 대한 최소한의 의무' 따위의 말을 들어먹습니다. 사실상 국가가 공동체로 치환된거죠.

이런 현상을 보았을 때, 한국인들에게 있어서 공동체란 국가와 동일시 된다고 여겨집니다.


그런데 영미인들이 'Community'에 대해 말하는걸 보면... 얘네들은 기본적으로 공동체(Community)와 국가(State)를 대립항으로 두는 경우가 많아요.

영미인들이 Community하면 떠올리는건 국가나 민족이 아니라, 나와 내 가족이 속한 지역사회 입니다.

그리고 중앙집권화된 국가권력이 내가 속한 Community를 파괴할 수도 있다는 생각이 영미인들 사고기저 전반에 깔려있습니다.

그래서 내가 속한 지방정부의 결정은 순순히 따르다가도 중앙정부의 지시에는 불만을 표하는 사람들이 많고요.

이게 가장 선명하게 보이는게 미국의 연방정부와 주 정부의 갈등이지만, 제 경험상 영국, 캐나다, 호주인들도 비슷한 심리를 가진 경우가 대단히 많았습니다.


사실 동아시아에서 한국만큼이나 영미권 문화에 친숙한 국가는 없다고 보는데, 그럼에도 불구하고 심층심리는 거의 외계인 수준으로 차이가 나는게 바로 영미인과 한국인 아닌가 싶습니다. 아주 간단한 단어조차도 서로 정 반대로 인식하는걸 보면요.

* Cascade님에 의해서 티타임 게시판으로부터 게시물 복사되었습니다 (2020-05-09 16:37)
* 관리사유 : 추천게시판으로 복사합니다.



5


    진짜진한다크챠컬릿
    저도 community라 하면 "동네" 정도로 이해합니다. community center는 동사무소 정도 느낌이고요. 적고 보니 community를 공동체라고 번역은 하지만 정말 같은 뜻인지는 모르겠네요.

    ps 지금 영한 사잔 찾아보니 community가 2번째 의미로 공동체가 있는데 1번째 의미는 지역사회네요. 전 보통 1번의 의미로 생각합니다.
    쿠오레
    6.25로 전통 사회질서가 파괴된 것과 수도권 및 대도시 중심의 경제발전으로 인한 잦은 인구이동이 원인 중 일부가 아닐까 생각해 봅니다.
    전 가끔씩 한국을 그냥 도시국가로 보아야 하는 것 아닌가 싶습니다. 위에서 지적한 공동체에 대한 인식도 '한국은 도시국가'라고 가정하면 명쾌하게 설명되죠.
    3
    sisyphus
    어느순간 서울민국이됐죠..
    제 생각에는 유럽은 봉건제로 시작해서 각 지방의 영주들이
    그 지역을 통치하는 개념으로 간게 크고
    (그러고 보면 프랑스가 참 대단합니다. 백년전쟁이후
    바로 중앙집권제로 바꾼거 보면...)
    미국이야 뭐 주정부의 자치를 인정하는걸 전제로 만들어진 나라니까요

    반면 우리나라는 뭐 적어도 고려중기때부터 중앙집권제를 시작했고
    조선시대때 그걸 완성해버렸죠 물론 몇번의 지역반란이 있었지만
    바로 진압해버린 역사를 봤을때 당연히 영.미 혹은 유럽과는
    공동체에 대한 인식이 다를수밖에요
    4
    으 뭐랄까 중앙집권제는 분명 안정적인 통치모델이지만, 후대의 역사덕후들이나 창작자에겐 별로 매력적이지 못한 체제인 것 같아요. 당장 일본이나 유럽은 그들의 중세사를 기반으로 끊임없이 문화 컨텐츠를 양산하고 있지만 중국이나 한국은 역사에 기반한 컨텐츠가 좀 부족하다 싶습니다. 중국은 춘추전국시대(하악하악)는 정말 파고들 부분이 끝도없이 있는데, 한나라 이후 고착화되는 느낌이 강하고요.(그래서 헤겔이 중국사에는 시간만 있고 역사는 없다고 깠죠.) 한국사 역시 고등학생 때 고대사~고려까지는 정말 재밌게 배웠었는데 조선시대는 걍 궁중암투만 하다가 전란 몇번 겪고 결국 일본식민지배 끝 하는 느낌이라 지루했었어요. 해외에 먹히는 한국 문화 컨텐츠 역시 현대~근미래 배경 또는 대체역사물에 한정되는 느낌이고요.
    2
    흥미로운 인식 차이네요.
    봉건제 개념이 지금까지 내려오는 것 같기도 하고..
    근데 영미권에선 지금까지 중앙이 지방을 파괴한 사례가 많았나요?
    ar15Lover
    일단 영국의 청교도 혁명, 명예 혁명, 미국 독립 혁명이 떠오르네요. 최근 사례는 루비 리지 사건, 웨이코 사건이 떠오르고요. 이 두 사건을 중앙정부가 가족 공동체, 종교 공동체를 파괴한 사례로 보는 시각을 가진 미국인들이 좀 있죠. 영미의 사례는 아니지만 프랑스의 방데 전쟁도 중앙정부가 지방사회를 파괴한 사례로 여겨집니다.
    1
    코리몬테아스
    영어에서 Community는 라틴어 communis에서 본원하여 중세후기부터 쓰이기 시작한 일상어고 한국어에서 공동체는 사회학에서나 정의된 개념어인걸요. 공동체의 본원을 따지지 못해서 좀 조심스럽지만 조선시대에는 아마 있지도 않은 단어이지 않았을까..

    Right가 권리로 번역되어 일본과 한국에서 쓰이고 있지만 사실 영어에서 권리찾을 때의 Right와 우리들이 쓰는 권리는 같지가 않자나요. Community와 공동체는 같은 단어를 문화의 차이로 다르게 받아들인다기 보다 걍 단어가 다르다고 하는 게 정확할꺼에요.
    1
    ar15Lover
    애초에 동아시아 한자어 대부분이 근대 일본의 지식인들이 서양 단어를 번역하는 과정에 만든 단어가 널리 퍼진 것이라고 알고 있습니다. 과학, 철학, 민주주의, 자유, 권리, 공화국, 인민, 의회, 헌법, 대통령 등등의 단어들이요. 그 과정에서 조금씩 그 의미가 서양과는 다르게 되었아고 알고있고요. '공동체' 뿐만 아니라 거의 모든 단어들이 서양과는 다른 의미로 쓰이고 있지 않을까 싶습니다.
    코리몬테아스
    네 그래서 같은 단어를 반대로 인식하는 경우가 아니라 그냥 다른 단어를 다르게 인식하는 거라고 생각해요.
    6
    무적의청솔모
    "말은 제주도로 사람은 서울로 보내라"
    서울 "올라간다" 고향 "내려간다"
    낙향 상경
    등의 말을 쓰는 우리나라 사람들은 나라 전체를 공동체라고 생각하는 것 같읍니다. 영어에 이거랑 대응되는 표현이 있는지는 잘 모르겠어용
    치리아
    안그래도 중앙집권 전통이 있는데, 일제식민통치와 한국전쟁, 급격한 산업화·도시화로 '전통 공동체'란게 모조리 해체된 것이 크죠. 뭐 그래도 옜날에는 도시에서도 나름의 공동체가 있었던 거 같지만, 요즘은 옆집에 누가 사는지도 무관심한게 대다수라고 하니까요.
    절름발이이리
    두가지가 작용한다고 보는데
    근대까지 봉건제로 안 지낸 기간이 길고, 대한민국 건립 이후 전쟁통이나 도시를 중심으로한 주거지 믹싱이 계속(현재 까지) 이루어지고 있지요. 전자는 스킵하고, 후자의 경우만 보자면, 대충 비슷한 산업 비슷한 일을 하면서 동네에서 비슷비슷한 수준으로 살아야 민족/국가와 차별화되는 커뮤니티 정체성이 생길텐데, 한국은 그렇게 특색있는 동네는 잘해야 지방 일부 정도고 이 쪽의 분들은 숫자도 많지 않거니와 한국의 주류로 이런 담론에서 현상으로 제시되기가 힘들지요. 서울이야 뭐 볶음밥이고.
    cogitate
    '공동체', 'community'라는 단어 자체가 국가냐 동네냐의 문제는 한국인도 후자를 고르는 비중이 적지 않을거라 보지만

    본인이 소속된 집단이 뭐냐?라고 하면 한국인의 절대다수는 국가'만'을 떠올릴겁니다. 국적에 느끼는 소속감은 전세계 누구나 있겠지만 한국인의 경우 그 비중이 압도적이라는 말이죠.

    저도 오랜 해외생활 중 전세계 친구들과 교류해보면서 느낀게, 한국인은 (본인들은 막상 인식/인정 못할 수 있어도) 로컬 커뮤니티의 일원이라는 의식이 굉장히 약하다고 봅니다. 좋은 점, 나쁜 점 다 있다고 생각합니다.

    ... 더 보기
    '공동체', 'community'라는 단어 자체가 국가냐 동네냐의 문제는 한국인도 후자를 고르는 비중이 적지 않을거라 보지만

    본인이 소속된 집단이 뭐냐?라고 하면 한국인의 절대다수는 국가'만'을 떠올릴겁니다. 국적에 느끼는 소속감은 전세계 누구나 있겠지만 한국인의 경우 그 비중이 압도적이라는 말이죠.

    저도 오랜 해외생활 중 전세계 친구들과 교류해보면서 느낀게, 한국인은 (본인들은 막상 인식/인정 못할 수 있어도) 로컬 커뮤니티의 일원이라는 의식이 굉장히 약하다고 봅니다. 좋은 점, 나쁜 점 다 있다고 생각합니다.

    *특이 경우인 대학, 직장 등은 조금 다른 것 같아요. 이건 커뮤니티에 대한 소속감을 느끼는게 아니라 사회적 지위에 느끼는 감정이라고 봅니다.
    1
    2막4장
    코로나 시대와서 마스크 쓰라는 중앙정부 지침을 어기는 유럽/북미 시민들을 보니까 이제 좀 이해가 되는 것 같습니다.
    목록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979 일상/생각집밥의 이상과 현실 42 이그나티우스 20/07/06 6305 46
    973 일상/생각자격은 없다. 101 절름발이이리 20/06/22 8968 42
    969 일상/생각참 사람 맘은 쉽게 변한다.. 25 whenyouinRome... 20/06/13 6990 49
    966 일상/생각공부하다 심심해 쓰는 은행원의 넋두리 썰. 14 710. 20/06/06 6259 32
    965 일상/생각흑인들이 죽을 수밖에 없는 국가 미국 21 가람 20/06/05 7022 68
    962 일상/생각슈바와 신딸기. 24 Schweigen 20/05/26 5990 33
    960 일상/생각웃음이 나오는 맛 13 지옥길은친절만땅 20/05/17 4873 11
    959 일상/생각위안부 피해자 할머님들에 대한 반성, 무식함에 대한 고백 18 메존일각 20/05/16 6599 49
    958 일상/생각제주도에서의 삶 16 사이시옷 20/05/13 6042 26
    956 일상/생각나는 내가 바라는 사람이 되어가고 있는가. 9 켈로그김 20/05/06 5441 34
    955 일상/생각할아버지 이야기 10 私律 20/05/03 4758 17
    954 일상/생각큰고모님 4 Schweigen 20/05/02 5371 27
    953 일상/생각한국인이 생각하는 공동체와 영미(英美)인이 생각하는 공동체의 차이점 16 ar15Lover 20/05/01 6281 5
    951 일상/생각돈으로 헌신에 감사 표하기 28 구밀복검 20/04/22 7791 25
    950 일상/생각자아를 형성해준 말들 30 ebling mis 20/04/21 6130 32
    948 일상/생각아싸, 찐따, 혹은 남겨진 사람들의 이야기 11 이그나티우스 20/04/17 6534 17
    941 일상/생각한국이 코로나19에 잘 대처하는 이유 24 그저그런 20/03/31 6627 10
    922 일상/생각군대 친구 이야기 3 化神 20/02/15 5443 17
    920 일상/생각아들놈이 대학병원에서 ADHD 판정을 받았습니다 70 아나키 20/02/06 8500 146
    919 일상/생각사회주의 대 반사회주의 9 necessary evil 20/02/06 5879 30
    918 일상/생각처음 느낀 늙음 3 행복한사람 20/02/03 5343 22
    917 일상/생각엄마 덴마크가 나 놀렸어요 ㅜㅠ 69 구밀복검 20/01/29 13206 122
    914 일상/생각멘탈이 탈탈 털린 개인카페 리모델링 후기 51 swear 20/01/23 7074 32
    909 일상/생각습관 만들기 - 2달째 후기 47 카야 20/01/14 6625 37
    904 일상/생각올해 읽은책 간단정리 15 오디너리안 19/12/27 5713 17
    목록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댓글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