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회원들이 추천해주신 좋은 글들을 따로 모아놓는 공간입니다.
- 추천글은 매주 자문단의 투표로 선정됩니다.
Date | 20/05/01 15:26:44수정됨 |
Name | ar15Lover |
Subject | 한국인이 생각하는 공동체와 영미(英美)인이 생각하는 공동체의 차이점 |
저는 나름 해외유학 경험이 있어서, 꼴에 영어 쪼까 할줄 안다고, 레딧이나 트위터, 유튜브 등지에서 영미권 사람들이 쓴 글들, 영문으로 쓰인 칼럼을 자주 읽는 편인데요. 영미권 사람들이 쓴 글을 읽으면 읽을 수록, 한국인들과 영미인들이 사고방식이 달라도 너무 다르다고 느껴집니다. 최근 가장 강하게 느껴지는 차이가 바로 '공동체(Community)'라는 단어에 대한 인식차이입니다. 전 심신에 문제가 있어 군복무를 할 수 없는 인원을 강제로 동원하는 사회복무요원제도, 현역병에 대한 과도학 착취, 양심적 병역거부자 처벌 등 한국의 징병제 전반에 대단히 비판적인 입장인데요, 그래서 이거가지고 인터넷에서 키배도 정말 많이 떴습니다. 한 10여년 전에는 '넌 애국심도 없냐.' 같은 말을 들어먹었는데, 헬조선 밈이 돌면서 '애국심', '국가'라는 단어 자체의 어감이 좀 안좋아져서 그런지 요새는 '공동체 의식이 없다.', '공동체에 대한 최소한의 의무' 따위의 말을 들어먹습니다. 사실상 국가가 공동체로 치환된거죠. 이런 현상을 보았을 때, 한국인들에게 있어서 공동체란 국가와 동일시 된다고 여겨집니다. 그런데 영미인들이 'Community'에 대해 말하는걸 보면... 얘네들은 기본적으로 공동체(Community)와 국가(State)를 대립항으로 두는 경우가 많아요. 영미인들이 Community하면 떠올리는건 국가나 민족이 아니라, 나와 내 가족이 속한 지역사회 입니다. 그리고 중앙집권화된 국가권력이 내가 속한 Community를 파괴할 수도 있다는 생각이 영미인들 사고기저 전반에 깔려있습니다. 그래서 내가 속한 지방정부의 결정은 순순히 따르다가도 중앙정부의 지시에는 불만을 표하는 사람들이 많고요. 이게 가장 선명하게 보이는게 미국의 연방정부와 주 정부의 갈등이지만, 제 경험상 영국, 캐나다, 호주인들도 비슷한 심리를 가진 경우가 대단히 많았습니다. 사실 동아시아에서 한국만큼이나 영미권 문화에 친숙한 국가는 없다고 보는데, 그럼에도 불구하고 심층심리는 거의 외계인 수준으로 차이가 나는게 바로 영미인과 한국인 아닌가 싶습니다. 아주 간단한 단어조차도 서로 정 반대로 인식하는걸 보면요. * Cascade님에 의해서 티타임 게시판으로부터 게시물 복사되었습니다 (2020-05-09 16:37) * 관리사유 : 추천게시판으로 복사합니다. 5
이 게시판에 등록된 ar15Lover님의 최근 게시물 |
전 가끔씩 한국을 그냥 도시국가로 보아야 하는 것 아닌가 싶습니다. 위에서 지적한 공동체에 대한 인식도 '한국은 도시국가'라고 가정하면 명쾌하게 설명되죠.
제 생각에는 유럽은 봉건제로 시작해서 각 지방의 영주들이
그 지역을 통치하는 개념으로 간게 크고
(그러고 보면 프랑스가 참 대단합니다. 백년전쟁이후
바로 중앙집권제로 바꾼거 보면...)
미국이야 뭐 주정부의 자치를 인정하는걸 전제로 만들어진 나라니까요
반면 우리나라는 뭐 적어도 고려중기때부터 중앙집권제를 시작했고
조선시대때 그걸 완성해버렸죠 물론 몇번의 지역반란이 있었지만
바로 진압해버린 역사를 봤을때 당연히 영.미 혹은 유럽과는
공동체에 대한 인식이 다를수밖에요
그 지역을 통치하는 개념으로 간게 크고
(그러고 보면 프랑스가 참 대단합니다. 백년전쟁이후
바로 중앙집권제로 바꾼거 보면...)
미국이야 뭐 주정부의 자치를 인정하는걸 전제로 만들어진 나라니까요
반면 우리나라는 뭐 적어도 고려중기때부터 중앙집권제를 시작했고
조선시대때 그걸 완성해버렸죠 물론 몇번의 지역반란이 있었지만
바로 진압해버린 역사를 봤을때 당연히 영.미 혹은 유럽과는
공동체에 대한 인식이 다를수밖에요
으 뭐랄까 중앙집권제는 분명 안정적인 통치모델이지만, 후대의 역사덕후들이나 창작자에겐 별로 매력적이지 못한 체제인 것 같아요. 당장 일본이나 유럽은 그들의 중세사를 기반으로 끊임없이 문화 컨텐츠를 양산하고 있지만 중국이나 한국은 역사에 기반한 컨텐츠가 좀 부족하다 싶습니다. 중국은 춘추전국시대(하악하악)는 정말 파고들 부분이 끝도없이 있는데, 한나라 이후 고착화되는 느낌이 강하고요.(그래서 헤겔이 중국사에는 시간만 있고 역사는 없다고 깠죠.) 한국사 역시 고등학생 때 고대사~고려까지는 정말 재밌게 배웠었는데 조선시대는 걍 궁중암투만 하다가 전란 몇번 겪고 결국 일본식민지배 끝 하는 느낌이라 지루했었어요. 해외에 먹히는 한국 문화 컨텐츠 역시 현대~근미래 배경 또는 대체역사물에 한정되는 느낌이고요.
일단 영국의 청교도 혁명, 명예 혁명, 미국 독립 혁명이 떠오르네요. 최근 사례는 루비 리지 사건, 웨이코 사건이 떠오르고요. 이 두 사건을 중앙정부가 가족 공동체, 종교 공동체를 파괴한 사례로 보는 시각을 가진 미국인들이 좀 있죠. 영미의 사례는 아니지만 프랑스의 방데 전쟁도 중앙정부가 지방사회를 파괴한 사례로 여겨집니다.
영어에서 Community는 라틴어 communis에서 본원하여 중세후기부터 쓰이기 시작한 일상어고 한국어에서 공동체는 사회학에서나 정의된 개념어인걸요. 공동체의 본원을 따지지 못해서 좀 조심스럽지만 조선시대에는 아마 있지도 않은 단어이지 않았을까..
Right가 권리로 번역되어 일본과 한국에서 쓰이고 있지만 사실 영어에서 권리찾을 때의 Right와 우리들이 쓰는 권리는 같지가 않자나요. Community와 공동체는 같은 단어를 문화의 차이로 다르게 받아들인다기 보다 걍 단어가 다르다고 하는 게 정확할꺼에요.
Right가 권리로 번역되어 일본과 한국에서 쓰이고 있지만 사실 영어에서 권리찾을 때의 Right와 우리들이 쓰는 권리는 같지가 않자나요. Community와 공동체는 같은 단어를 문화의 차이로 다르게 받아들인다기 보다 걍 단어가 다르다고 하는 게 정확할꺼에요.
'공동체', 'community'라는 단어 자체가 국가냐 동네냐의 문제는 한국인도 후자를 고르는 비중이 적지 않을거라 보지만
본인이 소속된 집단이 뭐냐?라고 하면 한국인의 절대다수는 국가'만'을 떠올릴겁니다. 국적에 느끼는 소속감은 전세계 누구나 있겠지만 한국인의 경우 그 비중이 압도적이라는 말이죠.
저도 오랜 해외생활 중 전세계 친구들과 교류해보면서 느낀게, 한국인은 (본인들은 막상 인식/인정 못할 수 있어도) 로컬 커뮤니티의 일원이라는 의식이 굉장히 약하다고 봅니다. 좋은 점, 나쁜 점 다 있다고 생각합니다.
... 더 보기
본인이 소속된 집단이 뭐냐?라고 하면 한국인의 절대다수는 국가'만'을 떠올릴겁니다. 국적에 느끼는 소속감은 전세계 누구나 있겠지만 한국인의 경우 그 비중이 압도적이라는 말이죠.
저도 오랜 해외생활 중 전세계 친구들과 교류해보면서 느낀게, 한국인은 (본인들은 막상 인식/인정 못할 수 있어도) 로컬 커뮤니티의 일원이라는 의식이 굉장히 약하다고 봅니다. 좋은 점, 나쁜 점 다 있다고 생각합니다.
... 더 보기
'공동체', 'community'라는 단어 자체가 국가냐 동네냐의 문제는 한국인도 후자를 고르는 비중이 적지 않을거라 보지만
본인이 소속된 집단이 뭐냐?라고 하면 한국인의 절대다수는 국가'만'을 떠올릴겁니다. 국적에 느끼는 소속감은 전세계 누구나 있겠지만 한국인의 경우 그 비중이 압도적이라는 말이죠.
저도 오랜 해외생활 중 전세계 친구들과 교류해보면서 느낀게, 한국인은 (본인들은 막상 인식/인정 못할 수 있어도) 로컬 커뮤니티의 일원이라는 의식이 굉장히 약하다고 봅니다. 좋은 점, 나쁜 점 다 있다고 생각합니다.
*특이 경우인 대학, 직장 등은 조금 다른 것 같아요. 이건 커뮤니티에 대한 소속감을 느끼는게 아니라 사회적 지위에 느끼는 감정이라고 봅니다.
본인이 소속된 집단이 뭐냐?라고 하면 한국인의 절대다수는 국가'만'을 떠올릴겁니다. 국적에 느끼는 소속감은 전세계 누구나 있겠지만 한국인의 경우 그 비중이 압도적이라는 말이죠.
저도 오랜 해외생활 중 전세계 친구들과 교류해보면서 느낀게, 한국인은 (본인들은 막상 인식/인정 못할 수 있어도) 로컬 커뮤니티의 일원이라는 의식이 굉장히 약하다고 봅니다. 좋은 점, 나쁜 점 다 있다고 생각합니다.
*특이 경우인 대학, 직장 등은 조금 다른 것 같아요. 이건 커뮤니티에 대한 소속감을 느끼는게 아니라 사회적 지위에 느끼는 감정이라고 봅니다.
목록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