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회원들이 추천해주신 좋은 글들을 따로 모아놓는 공간입니다.
- 추천글은 매주 자문단의 투표로 선정됩니다.
Date | 20/07/17 22:44:17 |
Name | necessary evil |
Subject | 자기 객관화라는 덫 |
상담사씨는 말합니다. "당신은 늘 뇌와 마음을 완전히 분리시킨 사람처럼 말해요. 하지만 당신은 그런 사람이 아니잖아요." 모를리가 없죠. 그렇게 되고자 했으니까. 실은 소시오패스같다는 업계포상을 듣기 위해 정진 중인데, 요즘 보면 저 정도로는 택도 없어보이긴 합니다. 상담사씨는 종종 최근에 행복했던 적이 언제인지, 혹은 기쁘거나 슬펐던 적이 언제였는지 묻습니다. 그때마다 5분쯤 고민하고, 겨우 쥐어짜내게 되는 것은 최소 5년은 된 일들입니다. 감정의 고저차가 별로 없는 현재 모습에 만족하고 있기 때문에 그런 질문은 항상 곤란합니다. 다만 감정이 오르락 내리락 하는 일이 없도록 삶을 조정한 것 때문일까, 기억력이 매우 흐트려졌습니다. 지난 달도 겨울에도 작년 이맘 때도 3년 전에도 똑같은 나날이었으니, 다시 말해 언제 무슨 일이 있었는지를 딱히 남겨둘 일이 없다보니까요. 옛날엔 분명 넌 쪼잔하게 뭘 그런 것까지 기억하고 다니냐, 같은 말도 듣던 때도 있었는데 말이죠. 상담사씨는, 감정을 억압하게 되면 기억력이 흐려진다고 에둘러 말했습니다. 사실 요즘엔 왜 상담을 받기로 했었나도 가물가물해 대화가 지지부진하기도 하네요. 그래서 이달 말을 끝으로 종료할 예정입니다. 자기 통제와 자기 객관화. 지난 세월을 관통해온 제 인생의 신조죠. 마음을 풀어버리거나 실수로 흐트러진 모습을 보이는 순간마다 내쳐지거나 외면당한 기억은(물론 지금은 '그랬다'는 느낌만 있을 뿐이지만) 확신을 올곧게 했고, 그렇게 재미와는 담쌓은 인간이 되었습니다. 어쩌다 학창시절 친구가 연락해오기도 하지만 핑계를 대며 피하는 이유는 그때문입니다. 상담사씨는 저에게 'ㅇㅇ씨는 ㅇㅇ씨 같은 사람이 친구라면 어떨거 같냐'라고 물었던 적이 있는데, 저는 '친구는 물론 애인이나 가족으로도 극혐이다'라고 단칼에 손을 내저었지요. 자기 혐오같은 것은 아니옵고 세상에 나같은 인간은 나 하나면 족하다는 비틀린 심리의 일환이죠. 부화뇌동을 배격하고 사리분별과 자기 객관화에 몰두하며 수양한 결과 저는 꽤 현명한 사람이라고 자부합니다. 뭐 피식해도 좋습니다. 동서고금의 현인들은 분명 '남이 알아주길 바라지 말라'고 가르쳤지만 그렇게 했더니 이 모양이더라, 가 하고자 하는 말이니까요. 그들이 거짓을 가르쳤다기보단 소인의 그릇으로 감히 현인 흉내를 내고자한 말로라 생각 중입니다. 단적으로 뛰어난 사람이나 똑똑한 사람과 달리 현명한 사람은 야스를 못하도록 되어있으니까요. 동서고금으로 증명된 하늘의 섭리죠. 군인이 외계인 다음 3순위 신랑감이라는 블랙유머식으로 말하면 '현명하기만 한 사람'은 '나쁘기만 한 사람'보다 매력도가 낮은 셈이죠. 뉴스만 봐도 알 수 있는 사실이잖아요. 소인의 그릇으로 난 사람은 소인답게 사는 것이 도를 따르는 길임을 이제야 알게 된 거죠. 나는 그녀를 덜 좋아한 것도 예의를 차린 것도 아니라 밀어붙여보지도 못한 쪼다라는 자각 또한. 분별력 좀 떨어져도 되고, 내로남불 좀 해도 됐던 겁니다. 나는 군자가 될 수도 없고 실은 바라지도 않았으니까. 슬퍼본 적이 없다고 말했지만, 사실 눈물을 흘려본 적은 있습니다. 제게 있어 그래비티와 매드맥스는 그 어떤 새드 스토리보다도 가슴을 사무치게 만드는 영화죠. 두 영화는 떠나왔던 곳으로 돌아가는 이야기라는 공통점이 있습니다. 맥스는 특히 꼬집어서 말하죠. 170일을 그렇게 달려도 거기엔 아무것도 없다고. 그래비티도 그렇고, 밑져야 본전이다라는 말을 하고 있죠. 그러나 그렇게 말할 수 있는 것도 그것이 결국 영화라는 매체이기 때문입니다. 인생에는 밑져야 본전이라는 것이 없고, 그래서 그래비티도 매드맥스도 실은 감동적인 판타지로서 아끼는 것입니다. 의미심장한 대사는 좀 전에 있죠. '희망을 품는 건 실수야. 망가진 삶을 돌이킬 수 없다면 미쳐버리고 말거야.' * Cascade님에 의해서 티타임 게시판으로부터 게시물 복사되었습니다 (2020-07-28 21:31) * 관리사유 : 추천게시판으로 복사합니다. 17
이 게시판에 등록된 necessary evil님의 최근 게시물 |
뇌와 마음을 분리하는 순간 인간은 인간이지만 인간이 아닌 존재가 된다고 생각합니다.
그런 순간 모든 현재가 다 무의미 해지거든요.무의미라는 말조차 무의미할정도로...
그런데도 비관론적인 모습을 갖게되는건 결국 완전한 마음과 뇌의 분리가 이루어지지 못한 탓이겠죠.
무의미 조차 의미니까요.개인적으론 아 나 인간이지 헤헤 하고 마음가는데로 마음을 의식하데 걔 뜻대로 내버려두니까
그냥 지나가면서 다시 내가 주인이 되던데요.뭐 그조차 무의미한 상태는 어떻게 못하겠더라구요.
저도 겪어봤지만..그냥 놔두는게...
그런 순간 모든 현재가 다 무의미 해지거든요.무의미라는 말조차 무의미할정도로...
그런데도 비관론적인 모습을 갖게되는건 결국 완전한 마음과 뇌의 분리가 이루어지지 못한 탓이겠죠.
무의미 조차 의미니까요.개인적으론 아 나 인간이지 헤헤 하고 마음가는데로 마음을 의식하데 걔 뜻대로 내버려두니까
그냥 지나가면서 다시 내가 주인이 되던데요.뭐 그조차 무의미한 상태는 어떻게 못하겠더라구요.
저도 겪어봤지만..그냥 놔두는게...
객관화라고 생각할 수도 있겠네요. 그런데 제게는
객관적이다라는 말 보다는 누가 봐도 정당한가 라는 말에 더 가깝게 느껴져요.
그런데 사람마다 입장이 다를테니.. 애매모호할 때는 내 입장을 양보하는 쪽으로 결론을 내리게 되지 않을까 싶어요. 현명한 사람이 되는 과정이기도 하겠지만 성인이 되는 과정에 더 가까울 것 같아요.
글쓰신 분께 글쓰신 분이 인정할 수 있는 글쓰신 분의 편파적인 편이 생기기를 바라봅니다. 글쓰신 분께서는 싫으실 수도 있지만요..
객관적이다라는 말 보다는 누가 봐도 정당한가 라는 말에 더 가깝게 느껴져요.
그런데 사람마다 입장이 다를테니.. 애매모호할 때는 내 입장을 양보하는 쪽으로 결론을 내리게 되지 않을까 싶어요. 현명한 사람이 되는 과정이기도 하겠지만 성인이 되는 과정에 더 가까울 것 같아요.
글쓰신 분께 글쓰신 분이 인정할 수 있는 글쓰신 분의 편파적인 편이 생기기를 바라봅니다. 글쓰신 분께서는 싫으실 수도 있지만요..
목록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