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회원들이 추천해주신 좋은 글들을 따로 모아놓는 공간입니다.
- 추천글은 매주 자문단의 투표로 선정됩니다.
Date 20/07/28 04:12:51
Name   아침커피
Link #1   https://crmn.tistory.com/116
Subject   사랑하는 법
고등학생 때 국어 선생님이 그 달의 필독 도서였던 에리히 프롬의 사랑의 기술에 대해 설명하시면서 여기서의 기술은 아트(art)이지 절대로 테크닉이 아니라고 강조하셨던 적이 있었습니다. The Art of Loving이라는 원제에서 영단어 art가 의미하는 바를 정확히 표현하는 한국어 단어가 없어서 어쩔 수 없이 기술로 번역되었다는 설명과 함께였습니다. 그 때부터 지금까지 제 머릿속 한 구석에는 art를 정확히 표현해주는 한국어 단어를 찾고자 하는 욕구가 항상 자리잡고 있게 되었습니다.

첫 후보 단어를 찾아낸 것은 그로부터 약 십 년 정도 후였습니다. 장자에 나오는 포정이 문혜군 앞에서 소를 잡는 이야기가 실마리가 되었습니다. 짧은 이야기 중에서도 앞 부분만 간단히 옮기면 다음과 같습니다.

포정이 문혜군(文惠君)을 위해 소를 잡은 일이 있었다. 그가 소에 손을 대고 어깨를 기울이고, 발로 짓누르고, 무릎을 구부려 칼을 움직이는 동작이 모두 음률에 맞았다. 문혜군은 그 모습을 보고 감탄하여 "어찌하면 기술이 이런 경지에 이를 수가 있느냐?"라고 물었다. 포정은 칼을 놓고 다음과 같이 말했다.

"제가 반기는 것은 '도(道)'입니다. 손끝의 재주 따위보다야 우월합니다. 제가 처음 소를 잡을 때는 소만 보여 손을 댈 수 없었으나, 3년이 지나자 어느새 소의 온 모습은 눈에 띄지 않게 되었습니다. 요즘 저는 정신으로 소를 대하지 눈으로 보지는 않습니다. 눈의 작용이 멎으니 정신의 자연스런 작용만 남습니다. (후략)"

이 이야기를 읽으며 기술이 기술 자체로 궁극의 경지에 다다르는 순간 예술의 문턱을 넘게 되는 것이라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그렇게 예술의 경지에 오른 기술이 art이지 않을까, 그러면 기술이 예술을 만나는 지점이니 기예(技藝)라고 번역하면 되지 않을까 싶었습니다. 그렇게 한동안 The Art of Loving을 저 혼자서는 '기예(技藝)로서의 사랑' 정도로 번역하며 몇 년을 보냈습니다.

그러던 중 얼마 전에 갑자기 번뜩 한 생각이 들었습니다. Art를 어떻게 번역할지를 고민할 것이 아니라 영어권 화자들이 동아시아의 어떤 단어를 art로 번역해갔는지를 보면 확실하겠다는 생각이었습니다. 이건 정말 제대로다 하는 생각이 들어서 흥분된 마음으로 동아시아 문학 중 영어로 번역된 제목에 art가 들어간 글을 찾기 시작했고, 의외로 매우 쉽게 그런 책을 찾았습니다. 손자병법, The Art of War.

손자병법은 단순히 전쟁 잘 하는 기술을 적어놓은 책이 아니라 전쟁과 평화를 바라보는 관점과 사상을 전달함으로써 독자의 정신을 고양하는 책입니다. 이러한 부류의 글을 한자 문화권에서는 간단하게 법(法)이라고 불렀던 것이고, 손자(孫子)가 쓴 전쟁(兵)에 대한 법(法)을 영어권에서는 The Art of War로 옮겨갔던 것입니다.

그러니 에리히 프롬의 The Art of Loving은 사랑의 기술이니 기예로서의 사랑이니 할 필요 없이 간단명료하게 '사랑하는 법', 아니면 더 줄여서 '사랑법' 이라고 하면 될 일이었습니다. 이렇게 거의 20년에 걸친 고민이 드디어 끝이 났습니다.

* Cascade님에 의해서 티타임 게시판으로부터 게시물 복사되었습니다 (2020-08-11 18:32)
* 관리사유 : 추천게시판으로 복사합니다.



36
  • 방향과 목적에 다르는 서사가 명확한 고민.
  • 오오오..저도 명쾌해졌습니다.


목록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998 문화/예술술도 차도 아닌 것의 맛 7 아침커피 20/08/17 4163 19
994 철학/종교최소한 시신은 없었다 6 아침커피 20/08/10 4900 17
993 일상/생각설거지 하면서 세탁기 돌려놓지 말자 24 아침커피 20/08/06 5713 49
991 문학사랑하는 법 26 아침커피 20/07/28 5020 36
987 일상/생각천하장사 고양이 3 아침커피 20/07/21 4018 9
1003 문화/예술한복의 멋, 양복의 스타일 3 아침커피 20/08/30 4467 5
945 창작그 애 이름은 ‘엄마 어릴 때’ 14 아침 20/04/08 4525 12
655 꿀팁/강좌집단상담, 무엇을 다루며 어떻게 진행되는가 4 아침 18/07/02 5429 14
650 문학오늘 너무 슬픔 4 아침 18/06/21 6206 22
1134 정치/사회IT 중소기업을 선택할 그리고 선택한 이들을 위한 -틀-의 조언 14 아재 21/10/07 5848 23
802 일상/생각30대 기획자. 직장인. 애 아빠의 현재 상황. 15 아재 19/05/12 5723 37
1293 일상/생각인간 대 사법 3 아이솔 23/04/11 2191 17
1278 정치/사회인생을 망치는 가장 손쉬운 방법 22 아이솔 23/02/13 4973 18
1275 일상/생각8년 프리터 수기 14 아이솔 23/02/06 3512 32
1122 일상/생각사랑하는 소년 6 아시타카 21/08/29 3415 20
1027 일상/생각오랜만에 고향 친구를 만나고 4 아복아복 20/11/05 3828 12
970 의료/건강조혈모세포 기증 후기 6 아목 20/06/14 4938 37
920 일상/생각아들놈이 대학병원에서 ADHD 판정을 받았습니다 70 아나키 20/02/06 7553 146
609 일상/생각저는 소를 키웁니다. 26 싸펑피펑 18/04/02 6030 48
1356 요리/음식수상한 가게들. 7 심해냉장고 24/01/17 1650 20
1332 일상/생각나의 은전, 한 장. 6 심해냉장고 23/09/30 2119 24
1302 일상/생각빨간 생선과의 재회 13 심해냉장고 23/05/21 2662 22
1295 문학과격한 영리함, 「그랜드 피날레」 - 아베 가즈시게 6 심해냉장고 23/04/24 2193 16
1055 게임랑그릿사와 20세기 SRPG적 인생 14 심해냉장고 21/01/23 5125 34
1023 창작어느 과학적인 하루 5 심해냉장고 20/10/27 4745 14
목록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