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다양한 주제에 대해 자유롭게 글을 작성하는 게시판입니다.
Date 20/07/30 09:41:15
Name   트린
File #1   unnamed.jpg (52.8 KB), Download : 24
Subject   케빈에 대하여


케빈에 대하여 / 라이오넬 슈라이버 / 알에이치코리아 간 / 5점 만점에 4.5점


사이코패스 아들을 둔 엄마의 얘기를 다룬 소설입니다. 영화화도 마쳐서 넷플릭스 쓰시는 분들은 같은 제목으로 찾아보실 수 있어요. 전면의 사진도 책 표지가 아니라 영화 포스터입니다.
내용에 일부 줄거리 노출이 있을 수 있습니다.


아내인 주인공은 본인이 일군 사업이 성공가도를 달리는 도중 어느 정도 충동적으로 케빈을 갖게 됩니다. 케빈은 신생아 때부터 반항적이고 보통과는 다른 아기였습니다. 주인공은 케빈의 문제점을 직감하고 정을 붙여보려 애쓰지만 실패합니다. 그에 비해 남편은 케빈을 일반적인 아이로 굳게 믿고 미국의 가정에서 할 법한 좋은 것들, 좋은 놀이들, 행동방식 등을 제공하며 사랑하죠.
케빈은 주인공에게는 진실되게 다가가서 자신의 모든 것을 보여주고, 아버지에게는 연기력으로 꾸며낸 행동을 보입니다.
가족 주변에서는 불길한 일이 계속 일어납니다. 보모는 일을 관둡니다. 케빈의 놀이 상대는 자전거 바퀴가 느슨해서 크게 다칠 뻔하고요. 엄마의 중요한 사업 관련 자료를 모두 망칩니다. 여동생은 애완동물을 잃어버리고, 강력한 세제를 “본인의 실수”로 한쪽 눈에 쏟아 실명합니다. 일관된 학업 부진과 배변 장애, 기묘한 옷차림 등 케빈은 갈수록 이상증세를 보이죠. 케빈이 열심히 집중해서 하는 일은 양궁뿐입니다. 그러던 어느날...


1980년대 후반 FBI 프로파일러들이 사이코패스의 존재를 사례연구를 통해 확인하고 강력범죄 방지에 활용한 뒤 벌써 40년이 흘렀습니다. 소설 비소설 할 것 없이 엄청난 도서들이 서점에 나와 있고 인기작들은 대부분 영화화가 되었죠. 해서 어느 정도 책을 읽은 독자들은 사이코패스를 소재로 담은 작품을 살짝 진부하게 여기는 시대입니다.
“케빈에 대하여”는 현재 이혼하고, 혼자 살면서 회사는 피해자들 보상을 위해 매각한 주인공을 통해 케빈의 탄생부터 사건을 훑어봅니다. 사건은 이미 일어난 상태이며, 주인공은 전 남편에게 편지를 써서 그리움과 분노, 고마움 등 당시 자신이 느꼈던 진솔한 상황을 토로합니다. 시점을 인물 따라 옮길 수 있는 일반적인 소설이 아닌, 서간문의 특징상 독자들은 제한된 정보를 받으면서 편지로 소통하는 두 사람의 내밀한 삶과 정신세계를 접하는 기쁨을 느낄 수 있습니다. 이러한 방식은 자칫 흔한 사이코패스 물로 치달을 뻔한 본 작품에 순문학적인 향기를 불어넣었습니다.  
한편 미국 쪽 소설이라면 기본으로 갖추는 스릴러 풍 후반부 반전도 기대할 만해 읽는 즐거움은 배가됩니다. 아들의 문제를 혼자 껴안고 있는 엄마의 먹먹한 심정을 견딜 수 있는 분이라면 적극 추천 드립니다.
...원래 저는 그게 답답하고 안타까워서 안 읽으려고 했거든요. 요샌 주인공이 괴롭힘을 당하는 물건을 잡고 있질 못하겠어요. ㅋㅋㅋㅋ



0


    다람쥐
    저 이 영화 보면서 너무 무서워서 부들부들 떨었어요 으아아 아직도 생생해요
    1
    더더욱 영화를 못 보겠네요. 충격적인 거랑 슬픈 얘기 소화가 힘들어요 ㅋㅋ
    타는저녁놀
    오 재미있어 보이네요. 찜하기에 담아두도록 하겠습니다. 찜한 게 하도 많아서 언제 보게 될지는.. ;ㅅ;
    네네. 페이지가 꽤 있어서 아마 후순위가 되실 것 같네요 ㅋㅋ
    타는저녁놀
    넷플릭스 얘기였는데 넷플릭스엔 없어서 찜하기 실패! ;ㅅ;
    앗 제가 착각했나요
    영화판에서 진짜 에즈라 밀러랑 틸다 스윈튼 연기가 미쳤어서.... 특히 에즈라 밀러 ㅎㄷㄷ

    나중에 DC 히어로무비에서 깨방정 캐릭터로 나오는거 보고 충공깽 했던 기억이 나네요. ...

    어바웃 케빈 처음 봤을 때가 결혼할 즈음이어서... 이걸 보면서 육아에 대해서 많은 생각을 하게 됐었어요. 사실 부모만큼 자식을 잘 아는 사람도 없다고는 하지만 실제로는 제일 모르는게 부모인거 같기도 해서.. 이 영화는 사이코패시에 대한 영화라고들 많이 하시지만 한편으로는 결혼과 가정과 육아에 대한 이야기 인 것도 같다는 생각이 많이 들었거... 더 보기
    영화판에서 진짜 에즈라 밀러랑 틸다 스윈튼 연기가 미쳤어서.... 특히 에즈라 밀러 ㅎㄷㄷ

    나중에 DC 히어로무비에서 깨방정 캐릭터로 나오는거 보고 충공깽 했던 기억이 나네요. ...

    어바웃 케빈 처음 봤을 때가 결혼할 즈음이어서... 이걸 보면서 육아에 대해서 많은 생각을 하게 됐었어요. 사실 부모만큼 자식을 잘 아는 사람도 없다고는 하지만 실제로는 제일 모르는게 부모인거 같기도 해서.. 이 영화는 사이코패시에 대한 영화라고들 많이 하시지만 한편으로는 결혼과 가정과 육아에 대한 이야기 인 것도 같다는 생각이 많이 들었거든요.

    요즘 아이들 키우면서 느껴요. 인지가 뛰어난 아이들일 수록 부모의 책임감이 더 무겁구나.. 하는 것을요. 인지가 뛰어나지 않다고 해서 덜 책임져야 하는 것은 아니지만, 인지가 뛰어난 애들은 부모의 말과 행동에 굉장히 민감하게 반응을 해요. 그래서 그런 측면에서 어바웃 케빈을 다시 보면서 다른 관점에서 이해를 하기도 했어요.

    신형철 평론가였나... 그분께서 “엄마는 아들을 사랑하지 않기 때문에 사랑하는 척 했고, 아들은 엄마를 사랑했기 때문에 사랑하지 않는 척 했다. 이런 상황이 16년간 반복되면서 케빈은 불가피하게 하나의 태도를 습득하게 된다. 그것은 자신이 엄마에게 사랑받지 못한다는 사실을 견뎌내기 위해서 자기 자신을 사랑받지 못하는게 당연한 존재로 만드는 일이다. 엄마에게 사랑받지 못하는 비참한 아들이 되기보다는, 차라리 엄마에게 지독하게 구는 나쁜 아들이 되는 것이 더 견딜만 한 일이었을것이다.” 라는 평을 하셨는데. 저도 감상이 정확히 같아요. 심리학적 분석 이런걸 다 떠나서, 부모자식간의 애정(애증?) 관계에 대해서 깊게 성찰해보면 알 수 있는 사실이라고 생각해요.
    2
    저는 아이가 없어서 어렴풋이 느꼈지만 안 그런 분들에겐 더 크게 와닿을 작품 같습니다. 이런 세상에선 탄생과 육아에 용기가 필요한데 그렇게 낸 용기가 다르게 돌아왔을 때의 충격은 감당하기 힘들 것 같아요.
    내가 최선이라고 생각해서 선택한 것들이 나에게도 아이에게도 최선의 결과로 이어지지 않고, 그 당시를 되짚어 봤을 때 그 선택이 최선도 아니었고 선택을 하는 과정속의 내가 안일하고 게으르고 미숙했음을 마주하게 되면, 견디기가 참 힘들어지죠.

    그런 상황이 닥쳤을 때, 누군가는 인정하고 이해하고 대화해서 문제를 해결하는 사람도 있겠지만 또 다른 누군가들은 회피하거나 책임을 전가하거나 말과 몸으로 폭력을 행하게 되죠.

    안타깝게도 우리는 부모이기 이전에 인간이고, 한없이 모자라고 미숙한 이들이기에 모든 선택과 결과가 최선일 수... 더 보기
    내가 최선이라고 생각해서 선택한 것들이 나에게도 아이에게도 최선의 결과로 이어지지 않고, 그 당시를 되짚어 봤을 때 그 선택이 최선도 아니었고 선택을 하는 과정속의 내가 안일하고 게으르고 미숙했음을 마주하게 되면, 견디기가 참 힘들어지죠.

    그런 상황이 닥쳤을 때, 누군가는 인정하고 이해하고 대화해서 문제를 해결하는 사람도 있겠지만 또 다른 누군가들은 회피하거나 책임을 전가하거나 말과 몸으로 폭력을 행하게 되죠.

    안타깝게도 우리는 부모이기 이전에 인간이고, 한없이 모자라고 미숙한 이들이기에 모든 선택과 결과가 최선일 수도 없고, 그 후 모든 것을 받아들이는 과정조차도 최선이기가 힘들죠.

    그래서 We “need” talk about 인게 아닐까 싶습니다.
    1
    TheLifer
    케빈은 12살
    나홀로 집에
    모두가 케빈인 것이 우연일까
    1
    케빈이 성명학상 팔자박복한 이름일까요
    KEVIN
    from Irish Caoimhghin or Caoimhín, from Old Irish Cóemgen (literally “comely birth”)

    COMELY
    a, 얼굴이 잘생긴, 미모의, 알맞은, 적당한, 어울리는
    여기 케빈도 미남인데 재밌네요
    이거 소설이 원작이었근영
    네네. 영화는 안 봐서 모르겠는데 거의 같은가 봐요.
    자몽에이드
    포스터만 보고 무슨 휴먼 드라마인 줄 알고 영화를 접했는데 보는 내내 가슴에 돌을 얹어 놓은 듯한 답답함을 느끼며 봤던 영화였던 것 같습니다. 엄마 케릭터의 대처방식이나 행동들이 "왜 저렇게 행동하지?" 싶은 부분이 많아서 어디 감정을 이입할 케릭터가 없어 더 불편했습니다. 육아의 초보라기 보다 그냥 이 사람은 아이를 기르기엔 너무 이기적인 사람으로 느껴졌었죠. 아마 엄마의 편도 들지 말라는 의도적 연출로 느껴졌습니다.
    확실히 보고나면 생각할 거리가 많아지는 영화였습니다.
    맞는 말씀이에요. 주인공이 모성이 가득한 사람이 아닌 데 비해, 남편은 사랑으로 아이를 돌봤죠.
    하지만 모든 덕목이 그렇듯 모성애를 사람이 100퍼 가진 것은 아니고 이를 강요받는 사람이 분명 있는데
    그게 주인공이었던 것 같아요. 그리고 그런 주인공에서 또다른 충격적인 개성을 가진 케빈이 태어났고...
    보면서 오히려 자기 엄마를 죽일것 같은데 동생은 그렇다 쳐도 왜 자기한테 사랑을 듬뿍준 아빠를 죽였는지 너무 궁굼해요.
    소설 보면 특이하게도 진실의 추구 같은 것이더라고요.
    엄마는 탄생 순간부터 아들의 이상 성향을 알고 계속해서 고민하고, 경계해요. 아들은 그런 엄마를 일종의 라이벌로
    인정하면서 괴롭히면서 경쟁했죠. 아버지는 어렴풋이 진실을 알면서도 가정을 꾸리면서 꿈꿨던 이상적인 가족을 실현하기 위해 허상을 붙잡고 아들을 일종의 틀에 맞춥니다. 아들은 사건을 터뜨리기 전까지 아버지에 대한 경멸과 짜증을 계속해서 적립했더라고요.
    즉 아들은 사랑보다는 자신을 제대로 아는 사람을 높게 산 것으로 보입니다. 영화는 안 봐서 어떤 식인지 모르겠네요. ㅎㅎ
    1
    목록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공지 티타임 게시판 이용 규정 2 Toby 15/06/19 32926 7
    15407 일상/생각토요일의 홀로서기 큐리스 25/04/26 247 1
    15406 일상/생각사진 그리고 와이프 1 큐리스 25/04/25 418 4
    15405 게임마비노기 모바일 유감 10 dolmusa 25/04/25 592 5
    15404 일상/생각인생 시뮬레이션??ㅋㅋㅋ 1 큐리스 25/04/25 441 0
    15403 의료/건강긴장완화를 위한 소마틱스 운동 테크닉 소개 4 바쿠 25/04/24 505 10
    15402 도서/문학사학처럼 문학하기: 『눈물을 마시는 새』 시점 보론 meson 25/04/23 310 6
    15401 일상/생각아이는 부모를 어른으로 만듭니다. 3 큐리스 25/04/23 476 10
    15400 꿀팁/강좌4. 좀 더 그림의 기초를 쌓아볼까? 6 흑마법사 25/04/22 370 18
    15399 일상/생각처음으로 챗GPT를 인정했습니다 2 Merrlen 25/04/22 779 2
    15398 일상/생각초6 딸과의 3년 약속, 닌텐도 OLED로 보답했습니다. 13 큐리스 25/04/21 871 28
    15397 일상/생각시간이 지나 생각이 달라지는것 2 3 닭장군 25/04/20 764 6
    15396 IT/컴퓨터AI 코딩 어시스트를 통한 IDE의 새로운 단계 14 kaestro 25/04/20 640 1
    15395 게임이게 이 시대의 캐쥬얼게임 상술인가.... 4 당근매니아 25/04/19 635 0
    15394 꿀팁/강좌소개해주신 AI 툴로 본 "불안세대" 비디오 정리 2 풀잎 25/04/19 615 3
    15393 IT/컴퓨터요즘 일상적으로 사용하는 AI툴들 12 kaestro 25/04/19 785 18
    15392 도서/문학명청시대의 수호전 매니아는 현대의 일베충이 아닐까? 구밀복검 25/04/18 490 8
    15391 정치세대에 대한 냉소 21 닭장군 25/04/18 1232 15
    15389 게임두 문법의 경계에서 싸우다 - 퍼스트 버서커 카잔의 전투 kaestro 25/04/17 391 2
    15388 일상/생각AI한테 위로를 받을 줄이야.ㅠㅠㅠ 4 큐리스 25/04/16 697 2
    15387 기타스피커를 만들어보자 - 번외. 챗가를 활용한 스피커 설계 Beemo 25/04/16 293 1
    15386 일상/생각일 헤는 밤 2 SCV 25/04/16 393 9
    15385 게임퍼스트 버서커 카잔에는 기연이 없다 - 던파의 시선에서 본 소울라이크(1) 5 kaestro 25/04/16 308 2
    15384 일상/생각코로나세대의 심리특성>>을 개인연구햇읍니다 16 흑마법사 25/04/15 711 10
    15383 일상/생각평범하지 않은 평범한 사람들 1 큐리스 25/04/15 626 8
    목록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4시간내에 달린 댓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