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다양한 주제에 대해 자유롭게 글을 작성하는 게시판입니다.
Date | 20/09/18 11:46:27 |
Name | 순수한글닉 |
Subject | BTS의 시대에 성장하는 사람들은 |
간접적으로 성장기의 사람들을 많이 만나는 직업을 가진 탓에 세대를 뛰어 넘어 보편적인 면, 세대간의 다른 점을 꽤나 자주 생각하게 됩니다. 요즈음 느끼는 것이 '한국적인 것'에 대한 감각이 다르다는 점이네요. 제가 사춘기일 때 표절시비가 하루가 멀다하고 튀어 나왔습니다. 누구 가수의 음악이, 뮤비가 미국의 어느 가수를 뺏겼다. 샘플링이다 표절이 아니다 표절이다 엄청 시끄러운 시절이었는데, 놀랍게도 이런 환경에서 형성된 제 무의식은 미국 문화가 제일 좋은 거고, 그것이 문화 평가의 기준점이 되는구나 한국의 청룡 영화상보다 오스카가 좋고 한국의 가요 대상보다 그래미가 우수한 거구나 입니다. 생각할 시간도 없이 변하지 않는 진리인 것 마냥 한구<<미국 이렇게 박혀 버린 거죠. 둘다 "로컬" 시상식 임에도 우위가 다릅니다. 이 무의식은 아마 깨기 어려울 것 같아요. 그런데 이 시대에 성장하고 문화 취향을 쌓아가는 어린 친구들은 생각이 좀 다른 것 같습니다. 왜 한국 음악이 미국 시장에서 평가받아야 해? 좋게 평가해 주는 것은 좋은데, 왜 선생님이 학생에게 상 주듯이 한국 문화에 상을 주냐 마냐 하냐는 거예요. 이 질문은 제게 꽤 신선했고 생경했고 곱씹을 수록 충격입니다. 자본의 규모라는 개념이 없어서 저런 질문을 할 수도 있겠지만, 저는 자본의 규모를 몰랐던 시절에 저 질문을 하지 않았거든요. 무의식의 영향이 있어선지, 저는 대중 문화에 (어거지로) 껴 있는 한국 오리지널티에 알레르기 반응을 일으키곤 했습니다. 일단 '어거지로'라고 판단한 것 자체가 저의 무의식을 대변하기도 합니다만 왜 저기에 저런 국악적인 요소를 넣어야 하는지, 저럴 거면 그냥 영어 추임새를 넣지 갑자기 촌스럽게 우리말 추임새를 넣는건지 투덜 거리곤 했었드랬죠. 한복을 촌스럽다고 생각한 적도 있었습니다. 그런데 요즘 친구들은 한복도 일상생활에서 설렁설렁 입고 (저도 개량 한복이 있습니다만, 일상 중 입으려면 겸연쩍습니다.) BTS 노래 중 한국어 추임새와 한국적인 안무가 많더라고요. 그런 그들이 세계적으로 인정받으니 아래 세대의 한국성은 저와 무게와 느낌이 다르겠죠? 물론 전혀 부정적인 것 아닙니다. 오히려 저는 그들이 부럽습니다. 자국의 문화에 자격지심이 아니고 자부심을 가질 수 있는 시대에 성장한다는 점에서요. 얼마 전 BTS가 <배철수의 음악캠프>에 출연했는데 배철수 아저씨가 '영향 받은 뮤지션은?' 하고 질문했습니다. 거기에 많은 멤버들이 서로 영향을 받았다고 답을 했죠. 다른 몇몇은 한국 가수를 롤모델로 꼽았고요. 배철수 아저씨가 (어디까지나 저만의 느낌일 수 있습니다만) 당황한듯 했습니다. 당연히 팝 문화 속에서 롤모델을 찾지 않았을까 하는 생각이 깔려 있어서이지 않을까요? 기생충이 오스카를 받고, BTS가 빌보드를 씹어먹는 시대가 저는 아직 생경하네요. 2
이 게시판에 등록된 순수한글닉님의 최근 게시물 |
우리나라의 문화 수준이 많이 올라와서 발생하는 현상이겠지 싶습니다.
예전에는 '사대주의의 경향성을 탈피해야 한다'라는 얘기를 했다면, 요즘은 '사대주의? 우리나라 것도 좋은거 많은데 그거 왜 하는데?'라는 식으로 질문이 바뀌지 않았나 싶네요.
메타가 바뀌었는데 이전 메타에 살던 사람은 경험으로 메타가 바뀌었구나를 체감하지만 이번 메타에 새로 들어온 뉴비는 메타가 바뀌었다는 사실 자체를 인지를 못할 수 있지 싶습니다. 아니면 말로만 전해들어서 예전에는 그랬대. 정도의 이해를 갖는거죠
예전에는 '사대주의의 경향성을 탈피해야 한다'라는 얘기를 했다면, 요즘은 '사대주의? 우리나라 것도 좋은거 많은데 그거 왜 하는데?'라는 식으로 질문이 바뀌지 않았나 싶네요.
메타가 바뀌었는데 이전 메타에 살던 사람은 경험으로 메타가 바뀌었구나를 체감하지만 이번 메타에 새로 들어온 뉴비는 메타가 바뀌었다는 사실 자체를 인지를 못할 수 있지 싶습니다. 아니면 말로만 전해들어서 예전에는 그랬대. 정도의 이해를 갖는거죠
그때 어거지라고 느끼신 건 실제로 어느 정도 어거지였을지도.. "야.. 내것도 좀 괜찮아. 이거봐봐. 쓸만하지?" 하면서 섞는 거랑, 그런 의식조차 없이 자연스럽고 담담하게, 자신있게 녹아 있는 것과의 차이랄까요
근데 그런 태도가 꼭 성장한 시대, 세대의 영향만은 아닌 것 같아요. 봉감독이 성장한 시대는 어찌보면 그런 어거지의 시대였을 텐데, '로컬' 발언 하나로 오스카를 들었다 놨던 걸 보면 말이죠.
근데 그런 태도가 꼭 성장한 시대, 세대의 영향만은 아닌 것 같아요. 봉감독이 성장한 시대는 어찌보면 그런 어거지의 시대였을 텐데, '로컬' 발언 하나로 오스카를 들었다 놨던 걸 보면 말이죠.
저는 애매하게 걸쳐있다(고 주장하고 싶은) 세대입니다만, 확실히 어렸을 적 - 2002년이라던가 - 에 비하면 요즘은 여유로워진 것 같아요
예전에는 우리것도 좋아!봐봐! 하고 억지로 노력하다보니 '국뽕'이 되었다면 요즘은 어차피 우리거 좋은 거 나도 알고 너도 알고 인도도 알고 미국도 아는데 애써 자랑하지 않는 느낌이랄까요 쟤네가 인정하든말든~의 느낌 물론 지금도 그런게 없는 건 아니지만 예전에 비한다면 훨씬 적죠 :)
예전에는 우리것도 좋아!봐봐! 하고 억지로 노력하다보니 '국뽕'이 되었다면 요즘은 어차피 우리거 좋은 거 나도 알고 너도 알고 인도도 알고 미국도 아는데 애써 자랑하지 않는 느낌이랄까요 쟤네가 인정하든말든~의 느낌 물론 지금도 그런게 없는 건 아니지만 예전에 비한다면 훨씬 적죠 :)
지금 자라라는 세대는 문화의 구김살이 적은거죠. 이전 세대까지는 미국을 선망하고 일본에 질순 없다는 것을 사회적으로 주입, 재생산해서 완전히 설명하지는 못할지라도 어쨌든 국가적 정체성의 한국적인것에 대한 것을 인정받고자 발버둥쳤고요.
그래선지 어째선지 이전 세대에서는 잘 모르겠는, 의도하고자 만든것이 아닌 무언가의 묶음들이 우리가 인정받고자 했던 세계에서 인정해주는 한국적인 것들로 어느새 다가와버렸죠. 한창 자나랄 아이들을 데려다 비인간적인 강도의 연습량을 때려넣는 한류의 어두운면이 가슴속에 응어리진 사람은 지금와서 BTS나 블랙핑크의 인기를 보면 인지부조화가 올 수 밖에요.
그래선지 어째선지 이전 세대에서는 잘 모르겠는, 의도하고자 만든것이 아닌 무언가의 묶음들이 우리가 인정받고자 했던 세계에서 인정해주는 한국적인 것들로 어느새 다가와버렸죠. 한창 자나랄 아이들을 데려다 비인간적인 강도의 연습량을 때려넣는 한류의 어두운면이 가슴속에 응어리진 사람은 지금와서 BTS나 블랙핑크의 인기를 보면 인지부조화가 올 수 밖에요.
목록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