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다양한 주제에 대해 자유롭게 글을 작성하는 게시판입니다.
Date 21/03/25 11:32:23수정됨
Name   늘쩡
Subject   그냥 아이 키우는 얘기.
어떤 어머님께서 타임라인에 쓰신 얘기를 보고 지난 2년을 회상하게 됐어요.
저도 타임라인에 쓰기 시작했는데 쓰다 보니 너무 길어져서 지워버릴까 하다가 티타임으로 옮겨요. 헤헤.


저희 큰아이는 학교 가길 힘들어했어요.
심할 때는, 자기 전부터 다음 날 학교 갈 일을 걱정하며 울다 잠들고, 아침에 눈 뜨자마자 첫 마디가 학교 가기 무섭다는 거였죠.
교문 앞에서 도저히 못 들어가겠다고 우는 아이를 한참 달래서 느지막이 들여보낸 적도 몇 번 있었어요. 한 번은, 포기하고 그냥 집으로 데려오기도 했고요.

보통 학기 초에는 부모가 아이를 학교까지 데려다주는데, 그 기간은 아이마다 달라요. 일 주일 만에 씩씩하게 혼자 등교하는 아이가 있는가 하면, 1학기 내내 부모와 함께 등교하는 아이도 있죠. 하교도 마찬가지고요.

저희 큰 애는, 학교 가길 워낙 힘들어했기 때문에, 1년 내내 학교에 데려다줘야 했어요. 끝나는 시간에 맞춰 학교 앞에서 기다렸다가 함께 집으로 왔고요.
집에 올 때는 작은 아이가 어린이집에 있어서 좀 여유로웠지만, 아침에 등교할 땐 작은 아이까지 챙겨서 데리고 다니느라 더 힘들었죠.

잠이 안 깨서 아이가 못 일어나면 침대에 누워있는 채로 옷을 갈아입히고 번쩍 안아 식탁으로 데려와 아침을 먹이고 부랴부랴 등굣길에 나서요.
그 사이에 첫째는 계속 학교 안 가면 안 되냐며 흐느끼고, 둘째는 둘째 대로 온갖 떼를 씁니다.
옷 갈아입히는 손이 차갑다고 짜증 부리고, 입혀준 옷이 불편하다고 트집 잡으며 억지로 벗으려고 하고, 아침밥이 마음에 안 든다고 입 꾹 다물고, 바쁜 상황은 아랑곳하지 않고 어제 만들던 레고 만들러 가기도 하고..

두 아이를 달래느라 아침 내내 진이 빠져요.
집에서 학교까지 걸어서 10분 정도 거린데, 가는 길에도 작은 아이는 힘들다고 떼쓰며 업어 달라고 조르고, 큰아이는 또 학교 가기 무섭다고 울고..
아이들이 조금이나마 즐겁게 하루를 시작했으면 좋겠다는 바람으로 아침 내내 웃으면서 말하려 애써요.
열불이 나고 타들어 갈 정도로 초조해서 내면적으로 평정심을 유지하긴 어렵지만, 겉모습이나마 최선을 다해 온화함을 유지해보는 거죠. 물론 최선을 다한다고 항상 성공하는 건 아니지만요.

그렇게 1년을 보내고, 2학년이 되니까, 어라, 코로나 때문에 학교에 안 가네요.
그 사이 큰아이는 어려움을 많이 이겨낸 것 같아요.
이제 3학년이 됐고, 학교생활이 좀 수월해졌어요.
놀이 치료의 효과인지, 시간이 지나며 자연스럽게 내면적으로 성장해서인지, 같이 학교 다닐 친구가 한 명 생겨서인지, 그 모두인지 알 수 없지만, 아무려면 어때요. 이제 울지 않고 학교에 잘 다니는데.

그리고 아빠 힘든 것도 모르고 떼만 쓰던 둘째도 학교에 다니기 시작했습니다.
물론 지금도 아빠 힘든 건 모르지만요.
첫째와 판이하게 다른 기질을 가진 둘째는 학교가 너무 재미있나 봐요.
다행이에요.
아직은 아침마다 두 아이를 데리고 함께 등교하고 있지만, 4월 어느 날부터는 문 앞까지만 두 아이를 배웅할 거예요.
서로 의지하며 학교에 가는 모습을 응원하면서.


육아 관련 서적(사실 거의 읽지 않았지만)이나 인터넷에 돌아다니는 육아팁들을 보면 "아니(디폴트 문두어), 이런 건 애가 하나일 때나 할 수 있는 거잖아!" 싶을 때가 많아요.

아이가 둘이면(혹은 그 이상이면) 같은 일을 곱하기 2 해서 하면 되는 게 아니라 아예 새로운 방식을 활용해야 합니다. 옷을 입히든, 밥시중을 들든, 목욕을 시키든, 흘러가는 컨베이어 벨트 앞에서 눈앞에 있는 작업 하나씩 착착 처리하듯 할 순 없는 노릇이죠. 동시적이고 복합적인 상황을 능수능란하게 다루기 위해서는 유연하고도 창의적인 접근이 필요해요.

절망스러운 건, 제가 별로 유연하고 창의적인 사람이 아니라는 거죠. 흑흑.

물론 어렵기만 한 건 아니에요. 두 아이를 포함한 다각적인 상호작용이 행복과 웃음을 동반 상승시키거든요. 어려움과 마찬가지로 기쁨도 단지 양적으로 확대될 뿐 아니라 질적으로도 새로워요.
게다가, 아이가 클수록 둘이어서 힘든 점보다 둘이어서 편해지는 부분이 더 많아지고요.

좀 지나면 각자의 세계에 깊이 뿌리내리고 지금처럼 서로를 의지하지 않게 되겠죠.
그 전까지 더 많은 시간을 함께하며... 쌓아 둬야겠어요.



18
  • 모든 부모님들, 화이팅!


목록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11967 스포츠여자배구 준결승 배민 이벤트 결과 발표!!! 14 Regenbogen 21/08/06 3928 18
11521 일상/생각그냥 아이 키우는 얘기. 4 늘쩡 21/03/25 3515 18
11439 사회섹슈얼리티 시리즈 (10) - 성노동에는 기쁨이 없는가? 36 소요 21/02/21 4965 18
11315 요리/음식평생 가본 고오급 맛집들 19 그저그런 21/01/03 4429 18
11191 게임체스에 대해 배워봅시다! [행마와 규칙] 33 Velma Kelly 20/12/02 4958 18
12245 창작개통령 3화 26 흑마법사 21/11/05 3893 18
10793 일상/생각자기 객관화라는 덫 8 necessary evil 20/07/17 3832 18
10638 문화/예술간송미술관 두 보물 불상의 경매 유찰, 그리고 아무 소리 13 메존일각 20/06/01 4125 18
10559 일상/생각아버지 4 호라타래 20/05/07 3293 18
10379 역사인도에 대하여 6 Fate 20/03/13 5197 18
10062 일상/생각집문제로 스트레스 받아서 넋두리 남깁니다. 35 미스터주 19/12/09 5633 18
9989 일상/생각4C - 글을 쓸 때 이것만은 기억해 두자 17 호타루 19/11/15 4769 18
9970 일상/생각반기문 전 유엔사무총장 강연 소감 4 치리아 19/11/10 4547 18
9846 역사조선시대 향교의 교육적 위상이 서원보다 낮았던 이유? 26 메존일각 19/10/16 4696 18
9772 영화[조커 감상문?] 웃음의 시소 9 호미밭의 파스꾼 19/10/04 4844 18
9449 일상/생각우울함 직시하기 11 Xayide 19/07/17 4948 18
9368 일상/생각오늘 5년 전에 헤어진 여친에게 연락했습니다 18 Jerry 19/06/30 6639 18
9299 경제바뀌지 않는 국책사업의 이면 5 쿠쿠z 19/06/11 5098 18
9086 사회차라리 그 악독한 자들이, 슬퍼하고 분노하도록 내버려 두었다면. 2 The xian 19/04/17 3886 18
8823 오프모임[결렬,망함] 2/3-2/4 슈퍼볼벙 (대책x 지금부터 계획해야 됨) 57 엘라 19/01/31 5682 18
8774 사회국가유공자등록거부처분취소 소송의 경험 3 제로스 19/01/18 3286 18
8555 역사1592년 4월 부산 - 흑의장군 6 눈시 18/11/22 5673 18
8024 스포츠복싱을 잘해봅시다! #3 : 펀치학개론 15 Danial Plainview 18/08/09 5886 18
7960 여행(스압, 데이터 주의) 오키나와 여행기 ~첫째 날~ 8 소라게 18/07/27 4394 18
7762 스포츠간단하게 복기해보는 한국 2:0 독일 23 Raute 18/06/28 5406 18
목록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4시간내에 달린 댓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