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다양한 주제에 대해 자유롭게 글을 작성하는 게시판입니다.
Date 21/03/25 11:32:23수정됨
Name   늘쩡
Subject   그냥 아이 키우는 얘기.
어떤 어머님께서 타임라인에 쓰신 얘기를 보고 지난 2년을 회상하게 됐어요.
저도 타임라인에 쓰기 시작했는데 쓰다 보니 너무 길어져서 지워버릴까 하다가 티타임으로 옮겨요. 헤헤.


저희 큰아이는 학교 가길 힘들어했어요.
심할 때는, 자기 전부터 다음 날 학교 갈 일을 걱정하며 울다 잠들고, 아침에 눈 뜨자마자 첫 마디가 학교 가기 무섭다는 거였죠.
교문 앞에서 도저히 못 들어가겠다고 우는 아이를 한참 달래서 느지막이 들여보낸 적도 몇 번 있었어요. 한 번은, 포기하고 그냥 집으로 데려오기도 했고요.

보통 학기 초에는 부모가 아이를 학교까지 데려다주는데, 그 기간은 아이마다 달라요. 일 주일 만에 씩씩하게 혼자 등교하는 아이가 있는가 하면, 1학기 내내 부모와 함께 등교하는 아이도 있죠. 하교도 마찬가지고요.

저희 큰 애는, 학교 가길 워낙 힘들어했기 때문에, 1년 내내 학교에 데려다줘야 했어요. 끝나는 시간에 맞춰 학교 앞에서 기다렸다가 함께 집으로 왔고요.
집에 올 때는 작은 아이가 어린이집에 있어서 좀 여유로웠지만, 아침에 등교할 땐 작은 아이까지 챙겨서 데리고 다니느라 더 힘들었죠.

잠이 안 깨서 아이가 못 일어나면 침대에 누워있는 채로 옷을 갈아입히고 번쩍 안아 식탁으로 데려와 아침을 먹이고 부랴부랴 등굣길에 나서요.
그 사이에 첫째는 계속 학교 안 가면 안 되냐며 흐느끼고, 둘째는 둘째 대로 온갖 떼를 씁니다.
옷 갈아입히는 손이 차갑다고 짜증 부리고, 입혀준 옷이 불편하다고 트집 잡으며 억지로 벗으려고 하고, 아침밥이 마음에 안 든다고 입 꾹 다물고, 바쁜 상황은 아랑곳하지 않고 어제 만들던 레고 만들러 가기도 하고..

두 아이를 달래느라 아침 내내 진이 빠져요.
집에서 학교까지 걸어서 10분 정도 거린데, 가는 길에도 작은 아이는 힘들다고 떼쓰며 업어 달라고 조르고, 큰아이는 또 학교 가기 무섭다고 울고..
아이들이 조금이나마 즐겁게 하루를 시작했으면 좋겠다는 바람으로 아침 내내 웃으면서 말하려 애써요.
열불이 나고 타들어 갈 정도로 초조해서 내면적으로 평정심을 유지하긴 어렵지만, 겉모습이나마 최선을 다해 온화함을 유지해보는 거죠. 물론 최선을 다한다고 항상 성공하는 건 아니지만요.

그렇게 1년을 보내고, 2학년이 되니까, 어라, 코로나 때문에 학교에 안 가네요.
그 사이 큰아이는 어려움을 많이 이겨낸 것 같아요.
이제 3학년이 됐고, 학교생활이 좀 수월해졌어요.
놀이 치료의 효과인지, 시간이 지나며 자연스럽게 내면적으로 성장해서인지, 같이 학교 다닐 친구가 한 명 생겨서인지, 그 모두인지 알 수 없지만, 아무려면 어때요. 이제 울지 않고 학교에 잘 다니는데.

그리고 아빠 힘든 것도 모르고 떼만 쓰던 둘째도 학교에 다니기 시작했습니다.
물론 지금도 아빠 힘든 건 모르지만요.
첫째와 판이하게 다른 기질을 가진 둘째는 학교가 너무 재미있나 봐요.
다행이에요.
아직은 아침마다 두 아이를 데리고 함께 등교하고 있지만, 4월 어느 날부터는 문 앞까지만 두 아이를 배웅할 거예요.
서로 의지하며 학교에 가는 모습을 응원하면서.


육아 관련 서적(사실 거의 읽지 않았지만)이나 인터넷에 돌아다니는 육아팁들을 보면 "아니(디폴트 문두어), 이런 건 애가 하나일 때나 할 수 있는 거잖아!" 싶을 때가 많아요.

아이가 둘이면(혹은 그 이상이면) 같은 일을 곱하기 2 해서 하면 되는 게 아니라 아예 새로운 방식을 활용해야 합니다. 옷을 입히든, 밥시중을 들든, 목욕을 시키든, 흘러가는 컨베이어 벨트 앞에서 눈앞에 있는 작업 하나씩 착착 처리하듯 할 순 없는 노릇이죠. 동시적이고 복합적인 상황을 능수능란하게 다루기 위해서는 유연하고도 창의적인 접근이 필요해요.

절망스러운 건, 제가 별로 유연하고 창의적인 사람이 아니라는 거죠. 흑흑.

물론 어렵기만 한 건 아니에요. 두 아이를 포함한 다각적인 상호작용이 행복과 웃음을 동반 상승시키거든요. 어려움과 마찬가지로 기쁨도 단지 양적으로 확대될 뿐 아니라 질적으로도 새로워요.
게다가, 아이가 클수록 둘이어서 힘든 점보다 둘이어서 편해지는 부분이 더 많아지고요.

좀 지나면 각자의 세계에 깊이 뿌리내리고 지금처럼 서로를 의지하지 않게 되겠죠.
그 전까지 더 많은 시간을 함께하며... 쌓아 둬야겠어요.



18
  • 모든 부모님들, 화이팅!


하우두유두
아 학부형이 될때의 미래네요.
1
엄마곰도 귀엽다
맞아요. 아침에 정말 진빠지죠
시간 리밋이 있는데 아이들이 말을 안들으면 정말 부글부글부글 ㅎㅎㅎㅎ

그리고 하나 있는거랑 둘 있는거랑은 정말 다르긴하더라고요
첫째만 있을때는 기다려주고 설득하고 그랬는데
지금은 되게 강압적이에요.

"엄마간다!!" 하고 진짜로 10미터쯤 가버린다니까요
예전엔 내가 불안해서 못 그랬는데 말이에요
2
저희 애는 어제 '야 1학년이다' 끝냈던데, 비슷하겠죠?
첫째는 이제부터 시작하는 본격적인 학교 생활을, 둘째는 형아 없는 집을 잘 즐기게 되길 바라요. ㅎㅎ
hellopa
아침에 출근해야하는데 아이가 그렇게 학교가는길 힘들어하면 어떻게해야할지..
대단하십니다..
점점 더 대체 부모라는 보통의 사람들은 어떻게 정상적인 일상을 꾸려오고 계셨던건가 .. 생각이듭니다
존경를 보냅니다 늘 건강하시길 기원합니다
1
목록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공지 티타임 게시판 이용 규정 2 Toby 15/06/19 32926 7
15407 일상/생각토요일의 홀로서기 큐리스 25/04/26 244 1
15406 일상/생각사진 그리고 와이프 1 큐리스 25/04/25 412 4
15405 게임마비노기 모바일 유감 10 dolmusa 25/04/25 587 5
15404 일상/생각인생 시뮬레이션??ㅋㅋㅋ 1 큐리스 25/04/25 440 0
15403 의료/건강긴장완화를 위한 소마틱스 운동 테크닉 소개 4 바쿠 25/04/24 502 10
15402 도서/문학사학처럼 문학하기: 『눈물을 마시는 새』 시점 보론 meson 25/04/23 309 6
15401 일상/생각아이는 부모를 어른으로 만듭니다. 3 큐리스 25/04/23 476 10
15400 꿀팁/강좌4. 좀 더 그림의 기초를 쌓아볼까? 6 흑마법사 25/04/22 370 18
15399 일상/생각처음으로 챗GPT를 인정했습니다 2 Merrlen 25/04/22 779 2
15398 일상/생각초6 딸과의 3년 약속, 닌텐도 OLED로 보답했습니다. 13 큐리스 25/04/21 870 28
15397 일상/생각시간이 지나 생각이 달라지는것 2 3 닭장군 25/04/20 763 6
15396 IT/컴퓨터AI 코딩 어시스트를 통한 IDE의 새로운 단계 14 kaestro 25/04/20 638 1
15395 게임이게 이 시대의 캐쥬얼게임 상술인가.... 4 당근매니아 25/04/19 634 0
15394 꿀팁/강좌소개해주신 AI 툴로 본 "불안세대" 비디오 정리 2 풀잎 25/04/19 615 3
15393 IT/컴퓨터요즘 일상적으로 사용하는 AI툴들 12 kaestro 25/04/19 784 18
15392 도서/문학명청시대의 수호전 매니아는 현대의 일베충이 아닐까? 구밀복검 25/04/18 490 8
15391 정치세대에 대한 냉소 21 닭장군 25/04/18 1228 15
15389 게임두 문법의 경계에서 싸우다 - 퍼스트 버서커 카잔의 전투 kaestro 25/04/17 391 2
15388 일상/생각AI한테 위로를 받을 줄이야.ㅠㅠㅠ 4 큐리스 25/04/16 697 2
15387 기타스피커를 만들어보자 - 번외. 챗가를 활용한 스피커 설계 Beemo 25/04/16 293 1
15386 일상/생각일 헤는 밤 2 SCV 25/04/16 393 9
15385 게임퍼스트 버서커 카잔에는 기연이 없다 - 던파의 시선에서 본 소울라이크(1) 5 kaestro 25/04/16 308 2
15384 일상/생각코로나세대의 심리특성>>을 개인연구햇읍니다 16 흑마법사 25/04/15 711 10
15383 일상/생각평범하지 않은 평범한 사람들 1 큐리스 25/04/15 626 8
목록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4시간내에 달린 댓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