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다양한 주제에 대해 자유롭게 글을 작성하는 게시판입니다.
Date 22/04/27 21:48:58
Name   카르스
File #1   f538209187f18388b10d3fdebb7298bed466711852b78d9e44e274a2293c8077.png (207.7 KB), Download : 30
Subject   OECD 지역웰빙 지수로 본 한국의 지역격차


통념과 다르게, 1인당 GRDP(지역별Regional GDP) 차로 측정한 한국의 지역격차는 OECD에서 낮은 편입니다.
인구집중으로 인한 인구분포 격차는 매우 심하지만, 생활수준 격차는 양호한 편에 가깝죠.

하지만 여기서 한국의 지역격차가 작다고 섣불리 결론내릴 수 없습니다.
1인당 GDP는 삶의 질을 '완벽하게' 예측하지 못하고,
수도권에 위치한 본사 등 문제로 소득이 수도권으로 가고 지역 내에서 순환하지 못하는 GRDP 문제도 있습니다.
그래서 OECD에서 내놓은 대안 지표를 활용해서 지역격차를 대리측정 해봤습니다.

OECD에서는 OECD Regional Well-Being (oecdregionalwellbeing.org)
라고 해서 GDP의 한계를 넘어선 지역별(국가단위도 따로 있음) 웰빙지수가 따로 있습니다.
흔히 1인당 GDP로 추론되는 소득을 넘어서 교육, 환경, 치안, 일자리, 보건, 시민참여, 공동체, 주거, 삶의 만족도, 서비스 접근성까지 총 11가지 분야에서 지표를 내서 전반적인 삶의 질/후생을 측정합니다.
세부 항목별로 쓰는 지표는 다음과 같습니다.

소득 - 1인당 가처분소득
교육 - 노동력 중 중등교육 이상 수료자 비율 (쉽게 말해 고졸자 이상 비율)
환경 - PM2.5 농도
치안 - 살인율
일자리 - 고용률 및 실업률
보건 - 기대수명 및 조사망률
시민참여 - 투표율 (한국의 경우 2017년 대선 기준)
공동체 - '위기 상황에 도움받을 사람이 있다'고 응답한 사람 비율
주거 - 1인당 평균 방 수
삶의 만족도 - 개개인의 삶의 만족도 평균(0-10점 사이에서)
서비스 접근성 - 광대역 인터넷이 되는 가구 비율

겨우 지표 한두개로 측정하기 때문에 수치가 좀 이상할 수 있습니다. 한국의 경우 치안지표가 의외로 나쁘게 나옵니다.
국가비교할 때 주의해야 하거나, 특정국가에는 의미가 덜한 지표도 있고.

예1) 서비스 접근성 - 한국은 광대역 인터넷은 거의 모두가 가입했죠.
예2) 교육 - 고졸 '미만'은 한국은 고연령층 빼고 거의 없음. 요즘 청년 세대의 교육수준의 질을 측정하진 못합니다.


OECD는 각국을 TL2 단위로 나누어서
(한국은 7등분됨 - 수도권, 충청, 강원, 경북, 경남, 전라, 제주)
총 440개 하위 행정구역을 선정하고, 세부 지표별로 OECD 전체를 1등부터 꼴등까지 순위매겼습니다.



종합지표는 없지만 전반적으로 삶의 질 수준이 비슷한 지역끼리 짝지은 게 있는데 (세부지표 구성은 편차가 많이 납니다)

서울은 이탈리아의 에밀리야-로마냐, 프랑스의 일드 프랑스, 슬로바키아의 브라티슬라바, 체코의 중앙 보헤미안과 비슷합니다.
강원은 이탈리아의 움브리아, 체코의 중앙 보헤미안, 헝가리의 중앙 헝가리, 이스라엘 북부와 비슷.
충청은 이탈리아의 에밀리야-로마냐, 슬로바키아의 브라티슬라바, 체코의 중앙 보헤미안, 오스트리아 비엔나와 비슷.
경북은 이탈리아의 움브리아, 체코의 중앙 보헤미안, 헝가리의 중앙 헝가리, 이스라엘 북부와 비슷.
경남은 이탈리아의 움브리아, 슬로바키아의 브라티슬라바, 체코의 중앙 보헤미안, 오스트리아 비엔나와 비슷.
전라는 이탈리아 움브리아, 체코의 중앙 보헤미안, 이스라엘 북부. 오스트리아 비엔나와 비슷.
제주는 이탈리아의 움브리아, 체코의 중앙 보헤미안, 슬로베니아의 중앙 슬로베니아, 프랑스의 일드프랑스와 비슷.


(한국의 모든 지역과 매칭되는 체코의 중앙 보헤미안 ㄷㄷ)

전반적으로 한국 지역들은 1인당 GDP 순위와 비슷하거나 조금 낮은 타국 지역과 매칭된 느낌입니다.
그리고 지역별로 매칭되는 타국 지역 수준이 그렇게 크게 다르지 않고.
뭔가 한국의 삶의 질 지역격차가 크지 않을 것 같은 느낌이지만 일단 자료를 봅시다.

View post on imgur.com


출처는 https://www.oecd.org/cfe/oecd-regions-and-cities-at-a-glance-26173212.htm
들어가서 Korea 문서 누르면 나옵니다.

아래 파란색은 OECD 전체 하위 20%, 위의 하늘색은 OECD 전체 상위 20% 지역입니다.
위로 갈수록 상대 순위가 높다는 거에요.

보다시피 환경, 주거, 삶의 질, 서비스 접근성은 지역격차가 낮은데
일자리, 치안, 교육, 공동체 쪽 지역격차가 많이 큽니다.

치안은 지표가 좀 한계가 많아서 빼자면
한국의 삶의 질의 관점에서 지역격차는 일자리, 교육, 공동체에서 두드러집니다.



그렇다면 타국과 비교하면 지역격차가 어떤 편일까요?
이를 알아보기 위해 타국의 지역격차 그래프도 올려봅니다.
공정한 비교를 위해 한국과 지역면적이 3배 내로 차이나는 국가만 올렸습니다.

일본은 흔히 언급되는 국가라 예외로 올렸고,
아일랜드, 벨기에, 아이슬란드는 3-4 지역으로만 나뉜고로 공정한 비교가 어려워 제외했습니다.
우측의 화살표를 눌러가면서 확인해보세요. 순서대로
1) 일본 2) 체코 3) 덴마크 4) 에스토니아 5) 그리스 6) 스위스 7) 포르투갈 8) 슬로바키아 9) 노르웨이 10) 네덜란드 11) 리투아니아 12) 라트비아 
13) 헝가리 14) 뉴질랜드 15) 오스트리아 입니다.



보다시피 한국의 삶의 질 지역격차는 타국대비 특별히 높다고 보기 어렵습니다.
오히려 작은 쪽에 더 가까운 것 같기도...? 스위스와 북유럽 국가들은 상향 평준화되서인지 격차가 작습니다.
1인당 GRDP 격차가 작은 것과 비슷한 트렌드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한국의 지역격차를 이야기할 땐 주의가 필요합니다.

한국은 인구집중 격차가 극심하지만 생활수준, 삶의 질 지역격차는 오히려 약한 쪽에 가깝거든요.
어느쪽에 집중하냐에 따라 한국의 지역격차 심각도에 대한 견해나
지역격차 해소방안이 달라질 수 있습니다.



그렇다고 지역격차 해소를 위해 아무것도 하지 말라는 이야기는 아닙니다.
상대적으로 심각하지 않을 뿐 절대적으로는 심각한 문제니.
글고 제일 심한 지역격차가 일자리, 교육, 공동체라는 건 실제로 비수도권에서 수도권으로 사람이 몰리는 사유들과 겹칩니다.
이쪽 지역격차의 심각성은 통계로도 확인됐습니다.

비수도권이 죽어가는걸 막으려면 일자리, 교육, 공동체쪽을 복원하는데 치중해야 합니다.

그리고 전국을 광역시급까지 포함한 7권역으로 나눠서 차이가 작아보일 뿐,
거기서 또 대도시, 중도시, 소도시, 군읍면리로 나오면 차이는 더 커질 수 있습니다. 
이건 타 국가도 비슷하겠지만.



10
  • 분석글은 춫언


목록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13613 경제사교육 군비경쟁은 분명 출산율을 낮춘다. 그런데... 10 카르스 23/03/02 2887 11
13595 사회한국 인구부양비 악화의 진짜 원인 (부제: 출산율 2.1 찍어도 인구부양비 악화는 피할 수 없다) 27 카르스 23/02/24 3454 9
13588 정치이명박 정권 초기를 보는듯한 2023년 한국정치 25 카르스 23/02/22 3357 4
13583 사회서구와 동아시아에서 추구하는 자유는 다르다 13 카르스 23/02/21 2504 7
13569 사회한국인과 세계인들은 현세대와 다음 세대의 삶을 어떻게 보는가 6 카르스 23/02/15 2304 6
13561 역사수학 잘하는 동아시아인의 역사적 기원 28 카르스 23/02/12 3153 4
13546 사회통계로 본 비수도권 청년 인구유출 추이 7 카르스 23/02/06 3052 9
13538 사회석학의 학술발표가 인터넷 커뮤니티에서 왜곡되어 소비되는 방식 13 카르스 23/02/03 2842 29
13513 경제인구구조 변화가 세계 경제에 미칠 6가지 영향 13 카르스 23/01/27 3615 10
13499 정치윤석열 정부 한미동맹 어젠다의 의외의 걸림돌 14 카르스 23/01/22 2776 2
13457 경제때늦은 2022년의 경제학 (+인접분야) 논문읽기 결산 8 카르스 23/01/04 2384 12
13441 일상/생각내 인생의 전환점, 2022년을 결산하다 7 카르스 23/01/01 2427 22
13420 사회하나의 그래프로 압축해본 한국 일본사회 비교 29 카르스 22/12/22 3233 6
13347 스포츠BBC 월드컵 예측의 놀라운 적중률 6 카르스 22/11/24 3062 0
13336 정치페미니즘-반페미니즘 담론은 정점을 지났는가 100 카르스 22/11/20 5013 2
13308 사회한국 사회의 검열이 완화되지 않는 진짜 이유? 80 카르스 22/11/10 4557 7
13119 사회한국 인구구조의 아이러니 20 카르스 22/09/01 4440 51
13100 일상/생각자폐 스펙트럼과 일반인의 경계에서 살아온 사람의 이야기 14 카르스 22/08/21 6818 71
12996 정치요즘 정치에 대한 세 가지 단상 27 카르스 22/07/13 4785 10
12935 음악유자왕 피아노 연주회 리뷰 (2022.06.19, 예술의전당) 9 카르스 22/06/19 3072 9
12891 일상/생각나머지는 운이니까 16 카르스 22/06/05 4230 30
12814 음악아마추어인 내가 피아노 콘서트를 연다면 13 카르스 22/05/14 3387 5
12790 사회윤석열을 맞이하며: 진보 담론의 시대는 끝났다 76 카르스 22/05/08 5954 47
12757 사회왜 요즘 페미니즘은 성적으로 덜 개방적인가 52 카르스 22/04/28 5599 14
12756 사회OECD 지역웰빙 지수로 본 한국의 지역격차 14 카르스 22/04/27 3577 10
목록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4시간내에 달린 댓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