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다양한 주제에 대해 자유롭게 글을 작성하는 게시판입니다.
Date | 22/05/16 23:53:39수정됨 |
Name | 여우아빠 |
File #1 | INFOGRAPHICS_1_English_01_1024x807.jpg (123.1 KB), Download : 40 |
File #2 | KakaoTalk_20220402_075918847.jpg (94.8 KB), Download : 35 |
Subject | 어떻게 관리할 것인가 - 치아 |
친구네 집에 놀러갔는데 고불소 치약을 사용하고 있더군요. 불소가 치아 관리에 가장 중요한 녀석 중 하나임은 알고 있었으나, 전 생활건강 회사들을 믿었기에 치약을 의심한 적은 없었습니다. 그런데 찾아보다 보니 좀 놀랍더군요. 심지어 아이 치약에 대한 것도 일반적인 상식에서 잘못 알려진게 있어서, 이것 저것 찾아본 김에 내용을 공유하고자 합니다. *** 치아에 대한 전문적 지식은 없는 일반인이 인터넷 서핑으로 찾은 결과이니 맹신하지 말아 주세요. 나름대로 근거를 확인하고 쓰는 글이지만 전문적 지식이 없다보니 틀릴 수 있습니다. 1. 성인의 양치질 1.1 치약, 불소 현재 한국 시중에 있는 치약들은 대부분 불소함량이 1000ppm 미만입니다. 그러나 충치예방을 위한 치약의 불소는 1500ppm이 더 좋다는 연구결과들이 여럿 있고, 치과학계의 주류의견으로 보입니다. 그러나 고불소치약으로 찾아보면 생각보다 너무 비싸더군요. 시중에 불소량이 충분한(1500ppm인근) 치약 중 적절한 가격의 치약은 colgate치약으로, 세계적으로 가장 많이 팔리는 브랜드라고 하여, 개인적으로는 현재 치약을 다 쓰는대로 colgate만 사용할 계획입니다. 참고 기사 : http://www.dentalnews.or.kr/news/article.html?no=31890 유튜브 영상(나는의사다) : https://youtu.be/WtjyKLdq3x4?t=743 고불소 치약 사용은 몇 살부터? - 나는의사다 732회 1.2 칫솔 선택 이제까지 했던 치약이 성능이 부족한 치약이었다는 점에 놀라서 칫솔에 관해서도 찾아보았습니다. 근데 칫솔에 대해서는 딱히 정답이라고 할만한 내용이 없네요. 몇가지 치과 의사 유튜버들을 찾아보고 내용을 정리해 보았습니다. * 치과왕 김태형 : 진동칫솔 추천 / 본인은 필립스 소닉 사용중이나 치주염 등 더 안좋은 사람은 오랄비 진동칫솔 추천. * 치대남_치과의사 고광욱 : 자주 바꾸는게 가장 중요하다! 칫솔 중에서는 이중미세모 추천. CDC guideline에서는 12~16주에 바꾸는 것을 추천하나 한국인은 좀 더 자주 이빨 닦기 때문에 한 달에 한 번 교체를 추천하며, 교체를 편하게 하기 위해서 비싸지 않은 칫솔 추천 * 서울브라운치과 TV : 잘 나가는 칫솔 4가지 리뷰(큐라덴, 조르단, 생활도감, 켄트, 왕타칫솔) 중에서, 본인은 조르단 추천, 가성비적으로 생활도감 추천 이외에 인터넷에서 아개운 칫솔을 추천하는 글을 보았는데(비전문가, 느낌상 좋다고 하심) 칫솔질이 잇몸을 상하게 할 수도 있다고 생각되서 개인적으로는 다음엔 이솔루션 칫솔을 써볼까 합니다. 내가 칫솔질을 세게 하는건 아닌가 해서 조르단 gum protector 칫솔을 사서 써보고 있는데요, 이게 힘을 세게 주면 칫솔이 구부러지는 구조라고 해서 잇몸보호가 된다고 하는데 어지간히 세지 않아서는 굽혀지지 않아서 쓸모있는 기능은 아닌 듯 합니다.(칫솔이나 브랜드 자체는 괜찮은 것 같습니다) 1.3 이 닦는 법 유튜버 '치대남_치과의사 고광욱' 영상 중, 여러가지 도구를 사용할 경우, 순서는 워터픽 > 치실 > 치간칫솔 > 칫솔 순으로 사용을 권하였습니다. 2. 아이의 양치질 IAPD (International Association of Paediatric Dentistry, 주 : 국제 소아치과 연합) 에서는 유치가 난 이후 양치질은 불소 함유 치약을 사용하라고 합니다. 아이 부모라면 쌀알 한알 이런식으로 알고 계실텐데요, 어차피 그정도 양은 다 먹더라도 별 문제가 없을 확률이 굉장히 높고, 만약 아이가 치약을 못뱉고 먹는다면 그때 다른 방법을 강구해도 되겠죠. 전 아이 쓰던게 저불소 치약이라 있던거 당근에 뿌리고 주고 새로 샀습니다. 소비자 선호도 때문인 것 같은데, 한국에선 유아에겐 저불소치약이 대세인 것 같고, 닥터제니 닥터치카 닥터노아 같은 브랜드나 외국계 브랜드(조르단 등) 에서 어린이용 1000ppm불소 치약들이 있는거 같습니다. * 마치며 제가 찾아본 바에 의하면 불소 1000 ppm미만의 치약은 충치 예방 효과가 별로 없다고 하는데, 한국 치약은 다수가 1000ppm 미만입니다. 아이 치약은 말할 것도 없고요. (직접 확인하지 않았으나 듣기로는) 외국의 경우 수돗물에 불소 넣은 경우도 많은데, 우리나라는 예전에 인천에서 수돗물 불소 논쟁이 있었으나 결국 사용하지 않는 것으로 결정하였습니다. 저도 의료계 종사하고 있는데 외국에 비해서 한국에서는 공장에서 만든 것이나 약, 수술 같은 것에 대한 거부감이 강한 편임을 종종 느끼곤 합니다. 그런데 문화적인 거부감으로 합리적인 판단이 되지 않아 충치가 많은것 같아서 안타깝습니다. 이미 학계에서는 결론이 난 이야기인데도 우리나라는 제대로 된 치약을 쓰지 않는 경우가 많았다는게 놀랍네요. - 본문에 언급된 어떠한 업체 및 인물과 이해관계가 없음을 밝힙니다. - 유튜버 '치대남_치과의사 고광욱' 은 전 유디치과 대표로, 공격적인 영업방식 등 치과의사들에게 평이 좋지는 않은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다만 치의학적인 내용에서 문제가 있지는 않을 것으로 생각하였습니다. 0
이 게시판에 등록된 여우아빠님의 최근 게시물 |
어금니 대부분을 신경치료로 보내버린 사람으로서 제 케이스를 말씀 드리자면
평소에 양치질을 괜찮게 했지만 충치가 생기더군요. 정말 중요한 건 치간 음식물 제거라고 봅니다.
제 어금니의 90%는 치아가 보이는 표면 부분이 아닌 치아와 치아 사이의 틈새에 전부 충치가 많이 생겼습니다.
칫솔질로 치아 표면은 잘 닦을 수 있지만 치간의 음식물은 잘 꼈는지 모르고 칫솔질이 끝나는 경우가 많습니다.
저는 현재는 워터픽과 치실을 양치 때 같이 쓰는데 정말 말도 안되게 음식물 찌거기가 쏟아져 나옵니다.
이걸 청소하지 않으면 치간 구석에서... 더 보기
평소에 양치질을 괜찮게 했지만 충치가 생기더군요. 정말 중요한 건 치간 음식물 제거라고 봅니다.
제 어금니의 90%는 치아가 보이는 표면 부분이 아닌 치아와 치아 사이의 틈새에 전부 충치가 많이 생겼습니다.
칫솔질로 치아 표면은 잘 닦을 수 있지만 치간의 음식물은 잘 꼈는지 모르고 칫솔질이 끝나는 경우가 많습니다.
저는 현재는 워터픽과 치실을 양치 때 같이 쓰는데 정말 말도 안되게 음식물 찌거기가 쏟아져 나옵니다.
이걸 청소하지 않으면 치간 구석에서... 더 보기
어금니 대부분을 신경치료로 보내버린 사람으로서 제 케이스를 말씀 드리자면
평소에 양치질을 괜찮게 했지만 충치가 생기더군요. 정말 중요한 건 치간 음식물 제거라고 봅니다.
제 어금니의 90%는 치아가 보이는 표면 부분이 아닌 치아와 치아 사이의 틈새에 전부 충치가 많이 생겼습니다.
칫솔질로 치아 표면은 잘 닦을 수 있지만 치간의 음식물은 잘 꼈는지 모르고 칫솔질이 끝나는 경우가 많습니다.
저는 현재는 워터픽과 치실을 양치 때 같이 쓰는데 정말 말도 안되게 음식물 찌거기가 쏟아져 나옵니다.
이걸 청소하지 않으면 치간 구석에서 충치 생깁니다. 제가 증인이에요 ㅠㅠ
거기다 치간구석에 생긴 충치는 깊이에 따라 제거 하려면 멀쩡한 위쪽을 다 파내고서 치료해야 되는 경우가 많아서 그리고 신경과 가까운 부분이어서 왠만하면 신경치료로 이어질 가능성이 높습니다.
치실은 꼭 쓰시고 워터픽 병행하시는거 추천 드립니다.(치실 쓰고나서 깨끗함 느꼈더라도 워터픽 써보면 또 나옵니다)
평소에 양치질을 괜찮게 했지만 충치가 생기더군요. 정말 중요한 건 치간 음식물 제거라고 봅니다.
제 어금니의 90%는 치아가 보이는 표면 부분이 아닌 치아와 치아 사이의 틈새에 전부 충치가 많이 생겼습니다.
칫솔질로 치아 표면은 잘 닦을 수 있지만 치간의 음식물은 잘 꼈는지 모르고 칫솔질이 끝나는 경우가 많습니다.
저는 현재는 워터픽과 치실을 양치 때 같이 쓰는데 정말 말도 안되게 음식물 찌거기가 쏟아져 나옵니다.
이걸 청소하지 않으면 치간 구석에서 충치 생깁니다. 제가 증인이에요 ㅠㅠ
거기다 치간구석에 생긴 충치는 깊이에 따라 제거 하려면 멀쩡한 위쪽을 다 파내고서 치료해야 되는 경우가 많아서 그리고 신경과 가까운 부분이어서 왠만하면 신경치료로 이어질 가능성이 높습니다.
치실은 꼭 쓰시고 워터픽 병행하시는거 추천 드립니다.(치실 쓰고나서 깨끗함 느꼈더라도 워터픽 써보면 또 나옵니다)
전 집에서 쓰는 것 뿐만 아니라 여행가거나 기타 다른 곳 이동할 때도 쓰려고 휴대용으로 사용하고 있습니다.
잘 모르는 업체 것 쓰다가 고장나고 나서 마지막으로 구입한 제품은 "오아" 라는 회사의 휴대용 워터픽인데 아직까지는 고장 없이 잘 쓰고 있습니다.
전 보통 필요에 따라 전원을 껐다 켰다 하면서 써서 물이 부족한 경우는 없습니다. 계속 키면서 쓰면 입 안에 물 쌓이고 줄줄 새는게 불편하더라구요. 뭐 물이 떨어져도 뒷 뚜껑 열고 잠깐 채우면 또 금방 차서 생각보다 불편하다고 느끼진 않았습니다.
사용하는 수준에 따라 다르... 더 보기
잘 모르는 업체 것 쓰다가 고장나고 나서 마지막으로 구입한 제품은 "오아" 라는 회사의 휴대용 워터픽인데 아직까지는 고장 없이 잘 쓰고 있습니다.
전 보통 필요에 따라 전원을 껐다 켰다 하면서 써서 물이 부족한 경우는 없습니다. 계속 키면서 쓰면 입 안에 물 쌓이고 줄줄 새는게 불편하더라구요. 뭐 물이 떨어져도 뒷 뚜껑 열고 잠깐 채우면 또 금방 차서 생각보다 불편하다고 느끼진 않았습니다.
사용하는 수준에 따라 다르... 더 보기
전 집에서 쓰는 것 뿐만 아니라 여행가거나 기타 다른 곳 이동할 때도 쓰려고 휴대용으로 사용하고 있습니다.
잘 모르는 업체 것 쓰다가 고장나고 나서 마지막으로 구입한 제품은 "오아" 라는 회사의 휴대용 워터픽인데 아직까지는 고장 없이 잘 쓰고 있습니다.
전 보통 필요에 따라 전원을 껐다 켰다 하면서 써서 물이 부족한 경우는 없습니다. 계속 키면서 쓰면 입 안에 물 쌓이고 줄줄 새는게 불편하더라구요. 뭐 물이 떨어져도 뒷 뚜껑 열고 잠깐 채우면 또 금방 차서 생각보다 불편하다고 느끼진 않았습니다.
사용하는 수준에 따라 다르시겠지만 완충하면 보통 1달 남짓 쓰고 있습니다.
휴대용 쓰실거면 사용 후에는 건조한 실내에 두시는 걸 추천 합니다. 잘 모르는 곳에서 산거는 화장실에 오래 두니 습기 때문인지 기기가 맛이 가버리는 경우가 생기더라구요.
본인의 생활패턴에 맞춰서 구입하시면 될 것 같습니다. 두가지 타입 다 사더라도 미래의 충치치료비가 사라지는걸 생각하면 매우 저렴한 가격이라 생각 됩니다. ㅋㅋ
잘 모르는 업체 것 쓰다가 고장나고 나서 마지막으로 구입한 제품은 "오아" 라는 회사의 휴대용 워터픽인데 아직까지는 고장 없이 잘 쓰고 있습니다.
전 보통 필요에 따라 전원을 껐다 켰다 하면서 써서 물이 부족한 경우는 없습니다. 계속 키면서 쓰면 입 안에 물 쌓이고 줄줄 새는게 불편하더라구요. 뭐 물이 떨어져도 뒷 뚜껑 열고 잠깐 채우면 또 금방 차서 생각보다 불편하다고 느끼진 않았습니다.
사용하는 수준에 따라 다르시겠지만 완충하면 보통 1달 남짓 쓰고 있습니다.
휴대용 쓰실거면 사용 후에는 건조한 실내에 두시는 걸 추천 합니다. 잘 모르는 곳에서 산거는 화장실에 오래 두니 습기 때문인지 기기가 맛이 가버리는 경우가 생기더라구요.
본인의 생활패턴에 맞춰서 구입하시면 될 것 같습니다. 두가지 타입 다 사더라도 미래의 충치치료비가 사라지는걸 생각하면 매우 저렴한 가격이라 생각 됩니다. ㅋㅋ
콜게이트 치약을 우리나라 정식수입 안 될 때부터 오래 썼는데, 30대까지 문제가 없었는데, 40대가 되니 이 치약만 쓰면 구순염이 생기더라구요. 그래서 이후로 못 쓰고 있습니다. 아무래도 우리나라 치약들보다 자극적인 것 같습니다. ㅠㅠ
칫솔은 필립스 제품이 주고, 큐라덴 등 일반 칫솔도 쓰는데, 일반 칫솔도 마찬가지지만 소위 음파칫솔은 사용법을 잘 아는 것도 중요한 것 같습니다. 일반칫솔처럼 쓰거나 힘을 과하게 주거나, 꽉 잡고 쓰는 경우도 왕왕 있더군요. 옛날에는 치과선생님들은 전동칫솔 추천 안 하는 경우가 많았던 것 같은데, 요즘은 좀 바뀐 것도 같습니다. 손목, 팔목 등 안 좋은 분은 음파칫솔이 좋은 것 같습니다.
칫솔은 필립스 제품이 주고, 큐라덴 등 일반 칫솔도 쓰는데, 일반 칫솔도 마찬가지지만 소위 음파칫솔은 사용법을 잘 아는 것도 중요한 것 같습니다. 일반칫솔처럼 쓰거나 힘을 과하게 주거나, 꽉 잡고 쓰는 경우도 왕왕 있더군요. 옛날에는 치과선생님들은 전동칫솔 추천 안 하는 경우가 많았던 것 같은데, 요즘은 좀 바뀐 것도 같습니다. 손목, 팔목 등 안 좋은 분은 음파칫솔이 좋은 것 같습니다.
목록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