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다양한 주제에 대해 자유롭게 글을 작성하는 게시판입니다.
Date 23/01/10 14:43:24
Name   Hard Rock Cafe,
File #1   1.png (11.6 KB), Download : 8
Subject   외국 보안 연구자가 분석한 한국 인터넷뱅킹 보안



https://palant.info/2023/01/02/south-koreas-online-security-dead-end/

(들어가면 한국어 번역본 링크 있습니다.)


Wladimir Palant는 크롬 확장프로그램 AdBlocker의 개발자이기도 합니다.

그는 작년 9월, 한국에서 '비정상적으로 높은 사용자 수'를 보유한 프로그램들이 눈에 띄었는데

놀랍게도 전부 보안프로그램이었다고 합니다. 

그런 점에 흥미를 느껴 한국 인터넷뱅킹 프로그램을 분석하기 시작했습니다.


현 상황이 발생하게 된 역사적인 배경과 더불어

프로그램의 수준(Software quality)문제점과 현 상황을 

수준 높은 내용이면서, 읽기 쉽게 작성한 아주 좋은 분석글입니다.


그는 대표적인 문제점으로 몇 가지를 짚었습니다.


1. C++ 대신 복잡한 상호작용에 취약한 C언어를 사용.

2. 언어 환경 때문에 메모리 버퍼 등의 취약점 발생 

3. 최신 컴파일러를 쓰면 해결되는 취약점도 있는데, 구식 컴파일러 쓰는 15년 된 비주얼 스튜디오를 사용

4. 사용하는 오픈소스도 전부 옛날 버전.


뭐 아무튼 분석해봤더니 여러모로 개판이더라, 라는 내용입니다.

그리고 친절하게 취약점을 각 회사에 공지하였고, 90일 뒤에 이를 공개하기로 했습니다.

그 중 하나가 어제 1월 9일입니다.


취약점이 공개된 프로그램은 '라온 시큐어의 TouchEn nxKey' 입니다.


익숙한 이름이죠?

사용처를 찾아봤는데 이름 나열하기 무의미한 정도입니다.

정부 공공기관, 은행에서 사용하지 않는 곳이 없었습니다.


글 말미에 Wladimir는 취약점 공개 전까지도 수정(or 배포)가 되지 않은 곳이 많다고 언급하였습니다.

놀라운 사실은 아니지만, 암담한 환경을 살갗으로 느끼는 듯하여 한숨만 나오네요. 

이 또한 기형적인 현 구조에서 비롯된 것이겠지요. 


아래에서 'TouchEn nxKey' 분석글과 함께 다음 공개 일정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2023-01-09: TouchEn nxKey: The keylogging anti-keylogger solution

2023-01-23 (January 23rd)

2023-02-06 (February 6th)

2023-03-06 (March 6th)




6


    cummings
    야근이다 핫산!
    보안업체 술상무 이름이 핫산이었군요?
    1
    자몽에이드
    원래 사고가 나야 움직이기 시작하는게 한국 아닙니까? ㅋㅋ
    2
    보안업체는 그냥 대기업에서 보안문제 터지면 그 문제를 뒤집어 씌우기 위한 바지입니다. 그리고 보안업체는 그 바지사장 역할 맡는데에 최적화되어있어요. 우리나라에서 보안은 침투/방어보다는 행정에 더 가깝습니다.
    1
    Beer Inside
    요즘 영업은 국정원이 하더군요.
    닭장군
    헬보안
    치킨마요
    vm웨어 개인에겐 공짜입니다! 거 윈도우 하나 더 깔아서 쓰세요~
    애초에 문제가 뭐냐면,
    인증서 자체를 HDD, SDD, USB 할거 없이 '개인의 스토리지 공간'에 받아서 저장한다는 점에 있다고 봅니다.
    그게 공인인증서 다운로드 인데.. 이게 일반 사용자 PC에 버젓하게 있으니 보안에 도움이 될 리가 없습니다.
    (심지어 그 인증서 파일 받는 위치를 사용자 임의로 변경하거나 수정도 못하는 고정위치에 있다는거..)

    RSA 인증 방식 자체야 높은 보안성능을 가지고있다지만, 막상 인증서는 개인사용자 PC에 덩그라니 있는 현실이 문제죠

    근본적인 원인은, 이로 인해 은행 보안이 뚫림으로 인... 더 보기
    애초에 문제가 뭐냐면,
    인증서 자체를 HDD, SDD, USB 할거 없이 '개인의 스토리지 공간'에 받아서 저장한다는 점에 있다고 봅니다.
    그게 공인인증서 다운로드 인데.. 이게 일반 사용자 PC에 버젓하게 있으니 보안에 도움이 될 리가 없습니다.
    (심지어 그 인증서 파일 받는 위치를 사용자 임의로 변경하거나 수정도 못하는 고정위치에 있다는거..)

    RSA 인증 방식 자체야 높은 보안성능을 가지고있다지만, 막상 인증서는 개인사용자 PC에 덩그라니 있는 현실이 문제죠

    근본적인 원인은, 이로 인해 은행 보안이 뚫림으로 인해 사용자가 피해를 보게 되는 경우
    은행의 100% 책임이 아닌 사용자 책임 으로 정책을 잡은 점입니다.

    1차 원인(사용자) > 2차 원인 (하청 보안업체) >>>>>>>>>>>>>> 모기업(대기업) 순서로 책임을 씌우고 있으니
    이게 보안이라고 보는것도 웃기는 일이죠.
    보안 전문가는 아니지만 SW개발쟁이 입장에서는 참.. 씁쓸하죠
    안타까운 것은 그간 많은 한국인 개발자들이 한국 금융 회사들의 IT보안망에 관한 불만을 제기하면서도, 가장 즉각적이며 눈에 띄는 문제 제기는 이제서야, 해외 개발자로부터 이루어졌다는 겁니다. TouchEn nxKey에 관한 설명을 읽어 보면 어렵지 않게 이해할 수 있는 보안 취약점들이더군요. 왜 이러한 문제 제기가 한국 개발자로부터 이루어지지 않았을까요? 많은 한국의 사회 문제가 그러합니다. 전문가 집단은 마치 자신이 그 집단에 속하지 않은 것처럼 댓글 달기에 그칩니다. 그간 이루어진 한국 온라인 뱅킹의 조악한 보안 시스템은 사실 기업 간의 커넥션만의 문제가 아니라는 겁니다.
    1
    1) 본문의 외국 개발자분이 쉽게 풀어써놓아서 잘 읽히지만 그걸 밝히는 과정은 결코 쉽지 않습니다. 이런 종류의 리버스 엔지니어링은 일반적인 개발자들은 잘 못하고 (사실 잘 할 필요도 없고) 주로 보안 회사에서 모의 해킹같은 업무 하시는 실제 해킹 관련 지식이 상당히 많은 분들이 주로 하십니다.

    2) 1 에서 이야기한 모의 해킹, 취약점 분석 같은 업무를 하는 인력이 일반 SW 개발자에 비해 상당히 적습니다. 다른 나라에 비해서 더 적은지는 잘 모르겠지만요. 이런 인력이 적은 이유에 대해서 개인적으로 생각하는 이유는,
    ... 더 보기
    1) 본문의 외국 개발자분이 쉽게 풀어써놓아서 잘 읽히지만 그걸 밝히는 과정은 결코 쉽지 않습니다. 이런 종류의 리버스 엔지니어링은 일반적인 개발자들은 잘 못하고 (사실 잘 할 필요도 없고) 주로 보안 회사에서 모의 해킹같은 업무 하시는 실제 해킹 관련 지식이 상당히 많은 분들이 주로 하십니다.

    2) 1 에서 이야기한 모의 해킹, 취약점 분석 같은 업무를 하는 인력이 일반 SW 개발자에 비해 상당히 적습니다. 다른 나라에 비해서 더 적은지는 잘 모르겠지만요. 이런 인력이 적은 이유에 대해서 개인적으로 생각하는 이유는,
    가) 필요로 하는 지식이 상당히 많습니다. 원래 SW 쪽에서도 공부 양이 제일 많다고 이야기되는 분야 중 하나가 보안입니다.
    나) Job 이 상대적으로 많지 않습니다. 국내 보안회사라고 해봐야 몇개 되지도 않고 그들 대부분도 커봐야 중견 정도 입니다. 그 안에서도 보안 소프트웨어 개발직군이 더 많고 이런 종류의 취약점 분석 업무를 할 수 있는 직군은 정말 소수입니다.

    따라서 이런 종류의 분석을 이 정도의 퀄리티로 정리해낼 수 있는 인력이 그렇게 많지 않다고 알고 있습니다.

    다만 이 정도로 분석을 하지 않아도 금융권에서 사용하는 보안 소프트웨어에 문제가 많다는 것은 다들 알고 있습니다. 동시에 이건 기술의 문제가 아니라 회사 간의 이권의 문제라는 것도 잘 알고 있었지요. 특히나 금융권 쪽은 자체 IT 개발 인력이 많지 않고 SI 와 SI 스러운 솔루션 업체의 인력들에 의해서 만들어지고 있는데요. 이 구조상 의사결정자(갑)와 실제 개발 인력(을)이 나뉘어질 수 밖에 없고 을은 기술적 이슈로 갑을 설득할 수가 없습니다. 애초에 기술적인 요구사항을 만족시키기 위해 사용하는 솔루션이 아니라서요. 결국 기술적인 이슈를 제기한다고 하더라도 개선이 쉬울리 없습니다.

    이번 경우는 오히려 외국인이어서 이런 동기를 잃지 않고 이슈 제기를 하기 쉬웠다고 보입니다. 그리고 그를 뒷받침하기 위한 분석 역량이 뛰어나기도 했구요.

    그리고 내부적으로도 SI 나 솔루션 쪽은 다른 B2C 서비스 분야에 비해서 기술 변화가 느리고 새로운 기술 도입에 보수적인 경향이 있습니다. 따라서 자정 작용이 나올만한 동기가 별로 없었을 것으로 추측합니다.
    8
    상세한 설명 감사합니다. 업계와 기술 특성에 대한 지식이 부족했네요. 그간 제가 읽었던 불특정 다수의 댓글들은 사실상 일반인 수준과 크게 다르지 않은 넘겨 짚기에 불과할 가능성이 높겠군요. 문제가 있다고 지적하지만 그간 큰 문제가 불거지지 않은 이유도 이해가 갑니다.

    말씀 들으니 일리가 있어 보이는데, 사회 구조적 요인으로 기술적 이슈를 제기할 동기가 줄어들었다는 점은 꽤 안타깝네요. 그 사회구조 역시 충분한 분석 대상이고 사회적으로 문제가 노출 될 이유는 더 크지 않습니까? 그런데 오히려 그것이 제한 요소로 작용했다니 한국에서 문제를 없애는 방법은 문제를 더 크게 만드는 것인지, 하는 생각이 듭니다.
    3
    nothing
    재벌집 막내아들에서도 "북쪽에서 정권 상속하는 건 다들 그렇게 욕하면서 남쪽에서 재벌이 회사 상속하는 건 당연하게 생각한다"는 이야기가 나오죠.. 옳지 않다는 건 다 알지만 "세상 일이 다 옳은 방향으로만 흘러가지는 않는다" 정도의 때를 다 묻히고 살아서 반쯤은 그려려니 하는 거라고 봅니다.
    3
    보통 저런짓(?)을 하는 사람들은 말 그대로 자기 하고 싶은거 하고 사는 양덕들일 확률이 높습니다. 저렇게 친절하게 발표해주는 화이트해커들은 양덕밭이구요. 한국에서 보안은 침투테스트 업체들이 그나마 제일 잘하는데, 이분들이 요즘은 돈 잘되는 블록체인 컨트랙트 오딧 업체로 죄다 전환해버려서 진짜 순수 [보안]을 하시는 분들은 얼마 되지 않습니다. 사실 한국에 이런 전문가 분들이 왜 없냐가 아니라 왜 서양에는 저런 양덕들이 계속 생겨나는가가 더 신기한 현상입니다.
    1
    서포트벡터(허락해주세요)
    한번 대형사고 나서 기업에서 수조원 깨졌으면 좋겠군요

    그러지 않으면 바뀌지 않을테니 말이에요
    꿀래디에이터
    미국이었으면 모를까 한국에서는...
    목록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14238 IT/컴퓨터인터넷이 되지 않아도 내 컴퓨터에서 gpt를 쓰는 시대가 왔네요 ㅎㅎ 10 큐리스 23/10/31 4643 1
    14220 IT/컴퓨터힙한 사이드바 브라우저! Arc 브라우저 찍먹 후기 6 아재 23/10/24 2890 3
    14123 IT/컴퓨터개신교 말투봇과 천주교 말투 봇을 만들어보았습니다. 6 큐리스 23/08/29 2684 1
    14088 IT/컴퓨터지난번 시인봇에 이어서 와이프봇도 제작해 봤습니다. 3 큐리스 23/08/02 2517 0
    14068 IT/컴퓨터무선 마우스, 키보드 끊김 해결 4 깨어나기 23/07/26 3403 1
    14029 IT/컴퓨터사랑했지만을 프레디머큐리 버전으로 만들어봤습니다. 1 큐리스 23/07/10 2424 0
    13986 IT/컴퓨터공간컴퓨팅 체험하기(?) 5 큐리스 23/06/16 3133 0
    13731 IT/컴퓨터오늘 아침엔 Flight Simulator로 하늘을 좀 날아보았습니다. 3 큐리스 23/04/08 3214 2
    13723 IT/컴퓨터오늘 같은 날은 방구석 여행도 좋습니다. 1 큐리스 23/04/06 2363 0
    13719 IT/컴퓨터재미있게 한자 공부하기^^ 4 큐리스 23/04/05 2796 2
    13708 IT/컴퓨터chatgpt를 이용해서 노션 AI 처럼 써보기 큐리스 23/04/03 2898 0
    13681 IT/컴퓨터chatgpt 때문에 웹소설을 안보게 되었어요. 4 큐리스 23/03/28 2917 1
    13570 IT/컴퓨터성지에 대해서.... 16 퍼그 23/02/15 2367 0
    13568 IT/컴퓨터ChatGPT 에게 만년필을 묻다 10 SCV 23/02/15 2881 4
    13557 IT/컴퓨터아이폰 c타입 루머 관련해서.. 26 CheesyCheese 23/02/10 2731 1
    13473 IT/컴퓨터외국 보안 연구자가 분석한 한국 인터넷뱅킹 보안 15 Hard Rock Cafe, 23/01/10 3573 6
    13449 IT/컴퓨터아이폰/아이패드/맥북 배터리 교체비용 인상 공지 (3/1일부터) 5 Leeka 23/01/03 2107 0
    13406 IT/컴퓨터(장문주의) 전공자로서 보는 ChatGPT에서의 몇 가지 인상깊은 문답들 및 분석 7 듣보잡 22/12/17 3679 17
    13384 IT/컴퓨터USB-C 유럽 연합 의무탑재 기간 확정 14 Leeka 22/12/09 2525 0
    13326 IT/컴퓨터애플, 아이폰 14 위성통신 서비스 시작 5 Leeka 22/11/16 3165 0
    13320 IT/컴퓨터트위치가 VOD 서비스를 중단하게 된 이유 11 Leeka 22/11/13 3437 0
    13288 IT/컴퓨터나홀로 역행하는 애플의 3분기 실적 4 Leeka 22/10/31 2720 0
    13246 IT/컴퓨터아이패드 프로 신형, 램 16GB 버전 가격 알아보기 6 Leeka 22/10/20 3329 0
    13242 IT/컴퓨터애플tv 4k 신형이 공개되었습니다. 10 Leeka 22/10/19 3453 0
    13240 IT/컴퓨터팀 쿡 형 이거 맞아? 아이패드 10세대 공개 10 Cascade 22/10/19 4285 1
    목록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4시간내에 달린 댓글

    댓글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