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다양한 주제에 대해 자유롭게 글을 작성하는 게시판입니다.
Date | 23/04/10 10:57:06 |
Name | 비물리학진 |
Subject | 지능지수(IQ)에 대하여 제가 아는 것들을 써볼까 합니다. |
IQ는 정신의학 및 심리학과 교육학에서 다루는 개념이므로, 의료/건강 카테고리가 적합할 것 같아 그걸 선택했습니다. 제가 나름대로 여러 교양서적과 구글링으로 알아낸 정보를 가감 없이 적어보자면 다음과 같습니다. <1> : 인간의 평균 IQ는 90 이상 110 이하입니다. 전 인류의 절반 정도가 여기에 속합니다. 90 미만은 학습부진 또는 정신지체이며, 110을 초과하는 사람은 평균보다 높은 지능을 가진 사람입니다. <2> : 대한민국에서 대학입시와 사회생활에 가장 유리한 IQ는 116 이상 129 이하입니다. 130이 넘으면 오히려 학업성적이 부진할 우려가 있는데, 이를 발산현상이라 합니다. IQ가 135~140(상위 0.4~1%) 이상이면 학교생활이 어려울 우려가 있고 IQ 145(상위 0.1%) 이상인 경우 부모님조차 멘토가 되어주실 수 없을 가능성이 커진답니다. IQ 160(상위 0.003%) 이상인 경우, 유치원생이 되기 전부터 특별한 관리를 해주는 게 좋다고 합니다. <3> : IQ와 퍼센테이지는 다음과 같습니다. IQ 70 이하 : 하위 2.2%. 지적장애 IQ 71~84 : 하위 3~15%. 경계선지능 - 가벼운 정신지체라고 할 수 있습니다. IQ 85~89 : 하위 15~25%. 학습부진(둔재) IQ 90~110 : 하위 25~상위 25%. 평균(범재) IQ 111~115 : 상위 15~25%. 평균상 IQ 116~129 : 상위 3~15%. 우수(수재) - 사회생활에서 가장 유리한 지적능력 IQ 130 이상 : 상위 2.2%. 최우수(영재 또는 천재) <4> : IQ와 학업성적의 관련도는 16~25% 정도라고 합니다. 130까지는 IQ가 높을수록 학업성적도 우수한 경향이 있지만 정비례하는 건 결코 아닙니다. <5> : 통념과는 달리, 교활하고 지능적으로 판단되는 다수살인범이라고 해서 고지능자란 보장은 없습니다. 연쇄살인범 유영철의 IQ는 112고 아동성폭행범 및 살인범인 정성현의 IQ는 121로 우수한 수준이지만 대한민국 다수살인범의 평균 IQ는 97입니다. 여담으로, 대한민국 다수살인범 중 가장 똑똑한 사람은 부모를 살해한 이은석으로 IQ 138(상위 0.6%)의 고지능자라고 합니다. <6> : 대한민국에서 법적인 효력을 가진 유일한 지능검사는 정신건강의학과 전문의 또는 임상심리전문가(대학원 졸업)가 1대 1로 치르는 <웩슬러 지능검사>뿐입니다. 의료기관의 정신건강의학과 또는 심리상담센터에서 받을 수 있습니다. <7> : 인류 역사상 최고의 고지능자로 추정되는 사람은 <윌리엄 제임스 시디스>로, IQ 190 이상으로 추정되는 사람입니다. 이 사람은 10대 초반에 하버드대 교수가 쓴 논리학, 수학 논문에서 오류를 찾아내기도 했습니다. <8> : 제대로 측정한 IQ는 상당히 믿을 만합니다. IQ는 현재 심리학, 정신의학 분야의 측정치 중 꽤 믿을 만하다고 합니다. 나무위키도 많이 참고했습니다 헤헤헤 0
|
저기의 iq 숫자는 sd 15 기준인가요 24 기준인가요?
130 이 2.2% 라는거 봐서는 sd 15 기준인거 같습니다만.. (웩슬러 지능검사)
윌리엄 제임스 시디스 라는 사람은 처음 알게 되었는데 생애를 읽어보니 슬프네요..
저는 인류 역사상 가장 천재면서 그 이름에 걸맞은 업적을 후세에 남긴 사람은 세 사람이라고 생각합니다.
레오나르도 다 빈치, 코트프리트 빌헬름 라이프니츠, 존 폰 노이만.
130 이 2.2% 라는거 봐서는 sd 15 기준인거 같습니다만.. (웩슬러 지능검사)
윌리엄 제임스 시디스 라는 사람은 처음 알게 되었는데 생애를 읽어보니 슬프네요..
저는 인류 역사상 가장 천재면서 그 이름에 걸맞은 업적을 후세에 남긴 사람은 세 사람이라고 생각합니다.
레오나르도 다 빈치, 코트프리트 빌헬름 라이프니츠, 존 폰 노이만.
전부터 계속 지능 이야기를 해주시는데 지능의 어떤 부분에 관심이 있으시고 어떤 이야기를 하고 싶으신지 궁금합니다!
저도 관심이 많은 분야라서요.
저도 관심이 많은 분야라서요.
중딩때 받았던 걸 친구들이 몰래 보고 알려준걸로는 + 과학쌤이(담임쌤 아님) 이야기한걸로는 제 IQ가 160 이라는 이야기가 있었는데... 제가 지나온 제 인생 패쓰를 봐도 그렇고 하는 짓도 보면 절대 그 수치는 아닌지라 ㅋㅋㅋ;;; 그 이후에는 해본적이 없어요. 다만 요샌 바보가 되가는 걸 느낍니다.. 흑 ㅠ
ㅋㅋㅋ 제가 그래서 절대 그건 아니라고 ㅎㅎㅎ 적은겁니다요 ㅎㅎㅎㅎㅎㅎ 나중에 한번 받아볼까도 했는데 이젠 바보가 되서 ㅋㅋ ㅠㅠㅠ
좋은 정보 감사합니다.
나이가 들 수록 IQ가 높아지거나 낮아지는 경향에 대한 정보도 있을까요?
만약 나이에 따라 변동이 있다면 아기일 때는 당연히 낮고, 노인이 되어도 낮을 것 같은데, 언제가 가장 높은 시기일까요?
나이가 들 수록 IQ가 높아지거나 낮아지는 경향에 대한 정보도 있을까요?
만약 나이에 따라 변동이 있다면 아기일 때는 당연히 낮고, 노인이 되어도 낮을 것 같은데, 언제가 가장 높은 시기일까요?
지능은 여러 가지로 구성되어 있으므로(어휘력, 기억력, 수리력 등등)... 어떤 능력은 나이가 들수록 좋아지고 어떤 능력은 10대 후반에 피크를 달리다가 40대만 되어도 급격히 쇠퇴하고... 이런 식이라고 합니다.
지각추론이나 작업기억(암산 등), 처리속도 등 '유동성 지능'은 만 14세에서 22세 사이가 피크고 30대만 되어도 쇠퇴한다고 하더군요. 어휘력이나 기본지식 등 '결정성 지능'은 환갑이 넘어도 계속 좋아질 수 있고...
지각추론이나 작업기억(암산 등), 처리속도 등 '유동성 지능'은 만 14세에서 22세 사이가 피크고 30대만 되어도 쇠퇴한다고 하더군요. 어휘력이나 기본지식 등 '결정성 지능'은 환갑이 넘어도 계속 좋아질 수 있고...
저희 형이 그래서 학교에 적응을 못했나....ㅋㅋㅋㅋㅋ
공부 하나도 안하고도 지거국 들어간거 보면 머리는 좋은 것 같은데 말이죠..ㅎㅎ
공부 하나도 안하고도 지거국 들어간거 보면 머리는 좋은 것 같은데 말이죠..ㅎㅎ
목록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