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다양한 주제에 대해 자유롭게 글을 작성하는 게시판입니다.
Date 23/05/16 21:07:57수정됨
Name   Soul-G
Subject   심심풀이 5월 종합소득세 이야기
세금 관련 업종에서 야근하다 일은 힘들고, 게임 방송이 9시에 시작해서
그 중간에 남의 소득 엿보며 든 생각을 남겨봅니다.


1. 근로소득자들은 정말 세금을 많이 낸다.
최저시급 기준으로 하루 8시간 만근하는 분들과, 그 두배까지도 그럭저럭 괜찮은데,
고연봉으로 갈수록 세금이 정말 기하급수적으로 오르는거 같습니다.

급여 구조도 세전 45백만원까진 15% 공제라도 있는데,
(급여 자체를 %로 줄여주는 효과)
이를 초과하면 5%로 줄어듭니다.

그리고 이분들이 가족들 인적공제나 신용카드나 기타 잡다한거 다 끌어쓰고도
과표 88백만원을 초과한 때 세율구간이 24%> 35%로 점핑하면서 국가에 큰 기여를 시작합니다.
(세전 1억은 넘어야 35%로 세금도 낼 수 있습니다)

참고로 소득세율은 6%> 15> 24> 35> 38> 40%... 이런 순으로 뛰는데,
왜 이렇게 불규칙하고 24~35% 사이는 간격이 큰지도 잘 모르겠습니다...

이중 절정은 급여 받는 의느님으로 보이는데,
병원이랑 세후로 계약하다 보니 얼마나 많은 세금을 내는지 별 신경을 안/못 쓰는거 같습니다.

대학병원에 한분 신고하다 보니 대충 1/4? 본인이 받은거 기준으로 1/3이 세금으로 이미 뗀 상태입니다.
일반적으로 고정%인 4대보험이 급여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보통 더 높은데, 이쯤 되면 4대보험이 한도에 걸려서 오히려 낮아집니다

병원은 사업자인 경우에도 건강보험 적용 때문에 매출이 거의 다 보여서 대체로 모범 납세에 해당합니다.

(*소득세의 세수 비중은 단일 세목 중 가장 큰데,
양도소득세가 들어가 있지만 결국 개인한테 걷는 세금이란건 동일해 보입니다)


2. 사업소득의 편차는 어마어마하다.
매출은 차치하고 세금은 정말 한명의 잘 나가는 사업자가 나머지 몇십명의 세금 이상을 냅니다.

그리고 오래 사업하면 위의 근로소득과 사업소득의 차이를 이해하기 때문에, 해당 사업장의 근로자가 개인사업화 되는 경우가 종종 있습니다.

작년까지 급여 받던 사람이, 1인 사업자 내서 하청업체처럼 되는 거죠.
어떻게 보면 대형 회사들은 이미 잘 사용하는 방법 같습니다.

그렇다고 매출 없는 사업자들이 세금을 안내냐면 또, 본인이 창출한 부가가치의 10%는 부가세를 통해 국가에 부지런히 납부합니다.

최종적으로 부담하는건 소비자이지만, 경쟁이 치열할수록 가격 경쟁을 하다보면 조세의 전가라는 경제적 논리에 따라 실제 부담은 사업자에게도 귀착되기 때문에 소비자의 선택권이 넓은 사업에 종사하는 영세사업자일수록 부가세 기여분은 더 높아 보입니다.
(매입에 대한 차감 등은 편의상 제외하고, 노동으로 창출한 부가가치만 감안하겠습니다 ㅎ 매출의 10%가 아닌 부가가치의 10%! )

이게 마진율이 10%를 못 넘는 사업이라면 사실 본인이 버는 것보다 세금이 더 큰 경우도 있습니다.
다행이 사업이 커지든 작아지든 오래 유지는 못합니다...


3. 아직 과세되지 않는 소득도 많다.
대표적으로 주택임대는 아직도 자진 신고에 많은걸 걸고 있습니다.
임대차계약서 신고제도 23년 5월 말까지 추가 1년 유예를 받아서 의무가 아닙니다. 반대로 신고 전에는 세무서에서 임대소득을 어떻게 알고 있었을까요?

과세권에 들어오기 위해서 몇년간 장기적인 노력을 걸치고 있는데 현재진행형 입니다.

중고거래 사이트를 이용한 사업자도 최근 안전결제/번개페이 등 전자결제가 활성화되면서 노출된 경향이 큽니다.
이외에도 정말 많은거 같지만 애초에 세금을 안내는 분들은 세무사무실로 찾아오지도 않기 때문에... ㅜ



9시 MSI 가 시작해서 G2의 운명을 지켜보려 가야 합니다.
정기적으로 세무서에선 사업자들을 선정하여 모범납세자상 주는데, 모든 근로자분들은 매년 기본으로 받아야 할 상입니다!
TSM 화이팅!!!



3


    목록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14105 경제민간 기업의 평생 금융 서비스는 가능할까 11 구밀복검 23/08/15 2072 6
    14101 경제사업실패에서 배운 교훈, 매출 있는 곳에 비용 있다 9 김비버 23/08/12 2340 26
    14066 경제재벌개혁 관련 법제의 문제점(1) – ‘일감몰아주기’ 증여의제 과세 3 다영이전화영어 23/07/26 2113 6
    13866 경제심심풀이 5월 종합소득세 이야기 10 Soul-G 23/05/16 1562 3
    13613 경제사교육 군비경쟁은 분명 출산율을 낮춘다. 그런데... 10 카르스 23/03/02 2650 11
    13513 경제인구구조 변화가 세계 경제에 미칠 6가지 영향 13 카르스 23/01/27 3104 10
    13457 경제때늦은 2022년의 경제학 (+인접분야) 논문읽기 결산 8 카르스 23/01/04 2179 12
    13436 경제정규직보다 계약직 월급이 많아야하고, 전세는 집값보다 비싸야 한다. 19 cummings 22/12/29 2873 3
    13411 경제인플레이션이 뭘까요? 2 realwealth 22/12/19 2200 3
    13402 경제이 사건의 시작은 질게의 한 댓글이었습니다. 11 아비치 22/12/17 2496 25
    13353 경제위즈덤 칼리지 7강 Review 모임 특별편 (?) - 주간 수익률 게임! 16 Mariage Frères 22/11/26 1870 2
    13350 경제부동산에 대한 잡썰 15 Leeka 22/11/25 2796 0
    13087 경제중국경제에 대해서 드는 잡생각들 9 인석3 22/08/16 2921 0
    13062 경제멀리 가버리는 유럽의 전력가격 5 Folcwine 22/08/06 2804 0
    13015 경제가계부채에서 고정금리와 변동금리 비율은? Leeka 22/07/23 2405 0
    13008 경제코인·투자 손실금까지 변제해주는 게 맞냐? 30 Wolf 22/07/20 3650 22
    13001 경제에너지 얼마나 올랐나? 4 Folcwine 22/07/16 2757 1
    12987 경제작년까지 나왔던 실거주 1채에 대한 잡설 37 Leeka 22/07/11 4171 0
    12941 경제노무사 업계 도시전설 16 당근매니아 22/06/23 3528 5
    12928 경제OECD 경제전망 - 한국 (2022. 6. 8) 소요 22/06/18 2793 16
    12918 경제천연가스 쇼크 5 Folcwine 22/06/15 2590 5
    12903 경제신세계/쓱닷컴/CGV 용으로 사용할 서브 카드 추천 22 Leeka 22/06/09 3198 4
    12896 경제누구를 위한 ESG 인가 7 Folcwine 22/06/07 3227 4
    12880 경제폭염에 러시아의 가스관은 잠길 것인가 5 Folcwine 22/06/01 2985 1
    12837 경제집을 안사본 분들에게 적는 여러가지 이야기 10 Leeka 22/05/19 3693 12
    목록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4시간내에 달린 댓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