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다양한 주제에 대해 자유롭게 글을 작성하는 게시판입니다.
Date 23/07/14 21:45:16
Name   희루
Subject   공부에 대하여...
이전 글 보고 갑자기 여러가지 생각이 들어서 다른분들 생각은 어떤지 궁금하네요...

정말 개인적인 의견입니다만 전 30대까지 살아오면서
공부가 삶에 있어서 그리 중요하지는 않다는 생각이 더욱 확고해지고 있어요..
제가 중요하지 않다고생각하는 공부의 분야는 배움이라는 의미와는 좀 다른
학업? 대학을 가기위한, 취업을 하기위한 그런 종류의 공부의 의미입니다.

'취업을 하고 먹고 살려면 중요하지 왜 중요하지 않아?' 라고 말씀하신다면,,,
맞아요... 중요하죠...

하지만 비록 저만의 경험이긴 하지만 '공부'라는 것 때문에
'배움'과 '경험'을 놓친 시간이 돌아보니 너무 많더라구요.

'공부를 무조건 안하고 놀아도된다' 라는 말은 아니지만,
공부에 매몰되어서 나머지를 좀 많이 놓치게 될 수도 있겠다는 생각이 드네요...
제가 부모가 되어도 그 생각은 변하지 않을 것 같긴 하지만 뭐 변할 수도 있겠죠...? ㅎㅎ
그래도 지금의 생각은 그러네요

개인적으로 지금의 사회가 공부만 했다간
미래에 허탈감과 허망함을 많이 느끼게 될 방향으로 가고있다고 생각하기도 하구요

제가 생각이 너무 짧아 이렇게 느끼는 걸까요..?ㅎㅎ
다른 분들의 생각은 어떠신지 궁금해지네요



0


    스톤위키
    직접 경험 속에는 시행착오가 포함되어있죠.
    공부는 그런 시행착오를 경험한 사람들의 노하우가 녹아있는 것이고,
    직접 몸으로 부딪히고 싶으시면 부딪히면 되죠. 뭐.

    저는 당구를 못치지만 당구 배울때 그냥 실전으로 배우는 것도 있지만 교본 하나 사서 외우면 200까지는 쉽게 간다고 하더라고요
    위키님 말씀도 맞다고 생각해요
    하지만 저는 위키님께서 당구교본예시를 들어주신건 제가 글에서 적은 배움과 좀 더 맞닿아있다고 생각이 드네요
    저는 배움은 거의 필수라고 생각해요
    본글에 언급한 '공부'는
    개인적으로 세상을 보는 시각을 너무 단편적으로 만드는 경향이 있다고 생각해서
    '배움'과는 거리가 조금 있다고 생각해요 저는
    물론 이것도 그저 저의 생각일 뿐이죠
    감사해요 ㅎㅎ
    소맥왕승키
    당구 모르는 상태에서 200까지 올리는거 전혀쉽지 않습니다
    스톤위키
    큐걸이랑 힘조절 같은 부분은 분명 시간이 걸리죠.
    제가 말하고싶었던 부분은 길 보는 것들을 당구장에서 잘하는 사람이랑 치면서 배울 땐 항상 물어보면서 해야하는데 일단 교본으로 관련 코스를 외우고 시작하면 편하다는 뜻이었습니다.
    카리나남편
    솔직히 가진게 없으면 없을수록 공부=성적이 단거 같습니다.
    그런가요... 저는 운좋게도 가진게 없었는데 성공한 분들을 몇 분 만나볼 기회가 있었어서 이렇게 생각한 걸지도 모르겠네요...
    전투용밀감
    공부 뿐만 아니라 어떤 분야라도 거기에만 매몰되면 문제가 생긴다고 봅니다

    다만 우리 사회는 공부에 매몰되는 걸 그나마 긍정적으로 보기 때문에 반작용도 큰 것 같아요
    저는 개인적으로 어떤 개인이 진심으로 스스로 원해서 깊이 매몰될 수 있는 분야가 있다는건,
    (이것도 경우에 따라 다르겠지만 대부분) 운이 정말 좋은 게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드네요...ㅎㅎ
    근데 보통 그런 분야를 찾을 기회도 없이 사고력과 상상력이 가장 뛰어날 시기에 공부에만 매몰시키는게 아닌가 싶네요...
    이과 식으로 말하자면, 공부의 정의부터 논해야 할 것 같아요ㅋ 학교에서 가르치는 교과로서의 공부만이 공부가 아니며, 선생님께서 적으신 배움과 경험도 공부라 느끼는 저는 뭐가 다른지 잘 모르겠습니다ㅋㅋㅋ
    갈수록 학문의 틀, 대략적인 아웃라인만 잡혀 있으면 검색으로 뭐든지 알 수 있는 시대라서요. 대강 어떤 키워드로 검색하면 된다는 최소한의 기초지식, 제대로 검색하는 힘과 무지성으로 검색 결과를 따르는게 아니라 그게 옳은지 그른지 구분하는 판단력, 이걸 삶과 자신이 알고 있었던 다른 무언가에 연결하는 연결하는 힘(융합도 비슷한 개념일... 더 보기
    이과 식으로 말하자면, 공부의 정의부터 논해야 할 것 같아요ㅋ 학교에서 가르치는 교과로서의 공부만이 공부가 아니며, 선생님께서 적으신 배움과 경험도 공부라 느끼는 저는 뭐가 다른지 잘 모르겠습니다ㅋㅋㅋ
    갈수록 학문의 틀, 대략적인 아웃라인만 잡혀 있으면 검색으로 뭐든지 알 수 있는 시대라서요. 대강 어떤 키워드로 검색하면 된다는 최소한의 기초지식, 제대로 검색하는 힘과 무지성으로 검색 결과를 따르는게 아니라 그게 옳은지 그른지 구분하는 판단력, 이걸 삶과 자신이 알고 있었던 다른 무언가에 연결하는 연결하는 힘(융합도 비슷한 개념일 거구요), 그리고 이 모든 걸 해내려는 선한 의지가 바탕이 되어야 어떤 분야든, 어떤 방식으로든 살아남을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딱히 시험 점수로 대우 받거나 살아남는 세상은 아니라고 생각해요.
    문제는 아직도 사람을 평가하는데 대다수의 사람들과 평가자들이 시험점수를 받아 살아왔고, 평가에 직관적=효율적=공정성이 확보되며, 다른 대안이 제시되지 못하다보니 이게 사회적으로 효력을 발휘하고 있다는 점이겠죠. 그러니 시험 점수 이외의 공부로 살아남는 사람은 이레귤러로서 취급 받을 뿐 사회적 변화를 이끌어내지 못하고 있구요.
    이 부분을 얼른 교육계에서 대안을 제시해야하는데, 지난 정권에선 공정성 논란만 나오다 끝났고, 이번 정권은 뭘 할까봐 무서워서 저는 그냥 침묵을 택하겠습니다.
    1
    켈로그김
    학교 공부가 기틀이 될지언정
    삶의 디테일은 살면서 배워야한다.. 정도로 생각합니다.
    2
    헬리제의우울
    현재 교육제도하에서의 학업에 대한 이야기 같네요

    제가 대학 다 폭파시키고 스무살부터 취업전선 뛰어들게 하자고 주장하는 사람이긴 한데
    현재의 교육제도가 그나마 성인 근처까지는 비슷한 성장을 시켜주는 장점이 있습니다
    결국 누군가는 사짜직업을 갖고 누군가는 물건을 나르겠지만
    무의미해보이는 공교육 기간이 짧아질수록 공공에서 제공하는 성장의 기회가 줄어들고
    가붕게메타는 확고해지겠죠
    1
    대학까지는 적어도 이 고도로 복잡해지는 세상에 적어도 세상이 어떻게 구성되고 돌아가는지에 대한 사고를 할 수있게 하는거라고봅니다.

    배울때는 이거 어디다가 쓰냐고 하는 복잡하고 어려운 수학도 사실 그 수학이 이 세상을 지탱하는 물건이라는걸 알면 어느정도 경외심이 드는것 처럼..

    그와는 다른 이야기지만 그래서 영어 따위보다는 국어 국사 도덕이 제일 중요한 과목같은데.
    1
    저는 고등학교때도 대학교때도 나름 열심히 한 편인데, 많이 도움이 됐다고 생각합니다.
    컴공에 개발자 하고 있어서 그런지도 모르지만요.. 고등학교 수학, 과학이나 대학교 일반 과학 과목들은 일상적으로도 유익하다 생각해요. 그런 것들은 현대 문명 기초의 일부이다 보니..
    매몰되면 다른걸 놓친다는 말씀도 맞습니다만 저의 경우 공부를 열심히 했던 경험이 다른 것을 할 때도 참고가 되었던..
    목록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223 기타최근 재미있게 보고 있는 예능(?) 한식대첩 이야기 9 힙합아부지 15/06/05 8995 0
    12007 역사서양 사학자 평가한 촉한 12 히하홓 21/08/24 4954 2
    7724 과학/기술다수의 출구조사로 대통령의 지지율을 보는게 맞을까? 7 히하홓 18/06/21 5113 0
    7628 과학/기술[진짜 통계의 오류] 설계의 오류 1 히하홓 18/06/06 5733 0
    7462 과학/기술[통계의 오류] 흑인이 백인보다 사형 판결을 잘 받는가? (심슨의 역설.) 20 히하홓 18/05/01 9381 3
    7252 일상/생각고증을 지키지 않는게 고증이 아닐까? 3 히하홓 18/03/18 5952 1
    7225 일상/생각미국여행 2달간 갔다왔습니다. + 미국인이 좋아할 한국 관광? 2 히하홓 18/03/12 5304 0
    14697 경제부산은행 카드 추천합니다. 4 흰긴수염고래 24/05/22 2101 1
    14534 육아/가정부산가족사랑 신한카드 S-choice 체크카드 흰긴수염고래 24/03/14 1967 0
    14058 의료/건강지루성 두피염에 샴푸도 아주 중요하군요... 15 희루 23/07/22 2932 0
    14044 일상/생각공부에 대하여... 13 희루 23/07/14 3218 0
    14025 음악타고타고 들어보다가 희루 23/07/09 2580 0
    14023 음악편안하고 잔잔한 재즈 아시나요? 13 희루 23/07/08 2455 0
    15355 꿀팁/강좌2. 인스타툰을 위한 초보적인 기초를 해보자! 6 흑마법사 25/04/02 212 10
    15312 꿀팁/강좌1. 만화란 뭘까? 인스타툰은 어떻게 시작해야할까? 11 흑마법사 25/03/12 754 23
    14662 창작와우에서 고마운 분 그리기 7 흑마법사 24/05/09 1670 2
    14338 기타스몰웨딩 하고싶은 티백들에게-2 4 흑마법사 23/12/16 2530 7
    14298 꿀팁/강좌스몰웨딩 하고싶은 티백들에게-1 27 흑마법사 23/11/30 3243 23
    12587 경제음식진공밀폐기 팝니다 20 흑마법사 22/03/07 4396 0
    12521 창작혐주의(?)/ 두개골 리페인팅+장난감장식 28 흑마법사 22/02/17 5448 5
    12490 기타김부겸 총리 "확산 일으키는 분들이 20대 청년층이란 사실 한번더 말씀드린다" 70 흑마법사 22/02/04 7072 2
    12445 창작스코오오오오오온 16 흑마법사 22/01/15 4624 20
    12298 기타무료나눔]상자3개-그외나눔끝 10 흑마법사 21/11/22 5406 5
    12214 일상/생각그만둔다고 말한지 어언 두달 62 흑마법사 21/10/28 6748 10
    12189 창작와클 클래스 계급 그려보기 18 흑마법사 21/10/19 4974 8
    목록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4시간내에 달린 댓글

    댓글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