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다양한 주제에 대해 자유롭게 글을 작성하는 게시판입니다.
Date 25/02/09 17:48:34
Name   meson
Link #1   https://www.ipsos.com/ko-kr/culture-wars-in-south-korea
Subject   무엇이 한국을 분열시킬 수 있는가?
한국 사회에는 갈등이 만연하지 않았던 적이 없고 현재도 그러합니다.

그러나 희망적인 관측을 내놓자면, 적어도 현재 불거진 갈등의 대마(大馬)는 촉발도 필연적이지만 한계도 필연적이라고 여겨집니다. 왜냐하면 작금의 한국은 종교, 인종, 민족, 이민자, 학력, 계급, 도농 등을 골자로 갈등하고 있는 것이 아니기 때문입니다.

사회나 국가를 결정적으로 분절시킬 수 있는 뇌관은 저런 변수들, 다시 말해 인구를 종으로 가르고 국토를 횡으로 가르는 변수들입니다. 오늘날 한국에서 그런 치명적인 분열을 가시화할 수 있는 유일한 요인은 지역 갈등이지만, 지역 갈등조차 예전보다는 줄어들었으며 더이상 갈등의 중심에 위치해 있지 않습니다.

오히려, 2020년대 한국에서 사회 갈등을 유발하는 동력이 되는 것은 세대(Generation)입니다. 더 정확히 표현하자면 [ 4050과 6070 사이의 주도권 다툼 ]입니다. 인터넷상에서 유독 두드러지는 2030 내부의 성별 갈등은 사회 전체적으로는 이 4050과 6070의 전선을 구성하는 한 축에 불과합니다. 그렇게 되는 이유는 사회 주류 세력으로서 전성기를 맞이한 4050이 이 갈등에서 대체로 유리하며, 이 때문에 4050과 대립하는지의 여부를 기준으로 세대 갈등의 구도가 짜여지고 또 파악되기 때문입니다.

그리고 세대 갈등은 그 속성상 (성별 갈등만큼이나) 사회를 분절시키기 어렵습니다. 종교나 민족이나 지역을 기준으로는 집단끼리 갈라설 수 있지만, 세대를 기준으로는 그렇게 할 수 없습니다. 첫째로는 가족 단위가 여러 세대를 포괄하기 때문에 분리되기 힘들고, 둘째로는 후속세대의 양성이 불가능하기 때문에 분리되더라도 오래갈 수 없으며, 셋째로는 생산가능인구의 연령대가 정해져 있기 때문에 분절되는 순간 자립할 수 없는 세대가 존재합니다. 사실 굳이 이렇게 이유를 찾지 않더라도, 세대를 기준으로 분리주의가 일어날 수 있다고 생각하기란 어렵습니다.

바로 그렇기에 한국의 사회 갈등은 기본적으로 [ 사회를 깨뜨리지 않는 선에서 ] 이루어질 수밖에 없습니다. 실제로도 세대 갈등은 그 자체가 아니라 각 세대의 성향에 기반한 부수적인 의제들을 매개로 분출되곤 합니다. 그렇기에 때로는 국제정세에 대한 입장이나 정치적 올바름에 대한 수용성 등이 갈등의 주요 전선으로 인식되기도 하죠. 하지만 이런 분쟁에서 대립하는 양측은 거의 언제나 세대에 기반하여 파생됩니다. 세대는 집단적 경험을 공유하며, 그것이 사회의 변화 방향에 대한 입장을 같이하도록 이끌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오늘날 한국 사회에 갈등이 만연하다고 말할 수 있더라도, 그것이 세대에 기반한 것임을 인정한다면 갈등의 대두만큼이나 그 한계도 뚜렷하다고 생각할 수 있을 것입니다. 막스 플랑크가 이야기한, ‘새로운 과학적 진실은 자신의 반대자들을 설득해 계몽시키면서 승리하기보다는, 그 반대자들이 결국 죽고 그것에 친숙한 새로운 세대가 성장하면서 비로소 승리한다[A new scientific truth does not triumph by convincing its opponents and making them see the light, but rather because its opponents eventually die and a new generation grows up that is familiar with it]’는 통찰이 여기서도 유효하리라 본다면 말이죠.

물론 이것은 언뜻 보기에는 별로 고무적이지도 않은 이야기입니다. 예컨대 4050을 싫어하는 입장에서는 대체 언제까지 기다려야 반대자들이 다 사라질지에 대해 가늠조차 하기 싫을지 모릅니다.

그러나 만일 세대가 아니라 다른 요인으로, 특히 [ 사회를 분절시킬 수 있는 변수를 동력으로 갈등이 불거졌다면 ] 오늘날 한국인들이 느끼는 위기감은 지금과는 비교할 수조차 없었을 것입니다. 그리고 실제로 종교, 인종, 민족, 이민자, 학력, 계급, 도농 등을 뇌관으로 한 갈등이 불거지고 있는 나라들이 존재한다는 것을 고려한다면, 한국이 그에 비해서는 훨씬 통합적이고 동질적이라는 것을 커다란 이점으로 바라볼 수도 있습니다. 비록 한국인들은 갈등에 대한 민감도가 아주 높아서, 2021년 입소스 조사에서는 심지어 인도보다도 종교 갈등이 극심하다고 응답할 지경이지만 말이지요.

설문조사가 그렇다 보니 희망적인 관측이라는 게 어째 뇌피셜밖에 없습니다만, 그래도 관점을 제기할 수는 있다고 생각하기에 이렇게 몇 자 적어 봅니다.



6


    목록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공지 티타임 게시판 이용 규정 2 Toby 15/06/19 32662 7
    15342 정치2심 무죄가 나온 내용 (1) 3 + 명동의밤 25/03/26 287 6
    15341 기타트랙터 잡썰 4 + 잔고부자(전문가) 25/03/26 220 3
    15340 정치연금 문제-결국 답은 소득주도성장에 있다. 8 kien 25/03/25 822 0
    15339 일상/생각알중고백 6 당근매니아 25/03/25 540 5
    15338 오프모임3/27(목) 신촌서 봅시다아 22 나단 25/03/25 639 0
    15337 일상/생각평범한 동네 이야기 4 nm막장 25/03/24 401 7
    15336 도서/문학[서평] 행복에 걸려 비틀거리다 - 대니얼 길버트, 2006 化神 25/03/24 267 7
    15335 일상/생각와이프한테 보낼 보고서 써달라고 했습니다. 클로드한테 ㅋㅋㅋㅋ 6 큐리스 25/03/24 644 2
    15334 정치국민연금 개혁안에 대한 여야합의에 대해 이해가 가지 않는 부분 9 파로돈탁스 25/03/24 869 1
    15332 일상/생각감자와 당근의 이야기입니다~~ 7 큐리스 25/03/24 399 0
    15331 일상/생각기분 좋은 하루를 기록하기 3 골든햄스 25/03/22 453 11
    15330 일상/생각국민연금 내기 싫다, 고갈되면 나는 헛돈 낸 게 아니냐는 친구의 말을 듣고.. 15 타치코마 25/03/21 1586 5
    15329 여행그간 다녀본 리조트 간단 정리 : 푸켓, 나트랑, 안탈리아 8 당근매니아 25/03/21 729 23
    15328 기타한화에어로 이것들이 유증을 하는군요. 이참에 유상증자 관련 몇가지 아는 것들 이야기 해봅니다. 17 동네주방장 25/03/21 1070 2
    15327 정치헌재 선고 시점, 인용/기각 인원에 따른 짧은 생각 9 kien 25/03/21 868 0
    15326 일상/생각평범한 남편의 투정^^ 큐리스 25/03/20 459 3
    15325 사회한국 시민의 일원으로 연금개혁을 환영하며 30 카르스 25/03/20 1435 8
    15324 음악[팝송] 알레시아 카라 새 앨범 "Love & Hyperbole" 김치찌개 25/03/20 117 1
    15323 문화/예술천사소녀 네티 덕질 백서 - 8. 문화적 다양성 2 허락해주세요 25/03/17 378 6
    15322 꿀팁/강좌스피커를 만들어보자 - 4. 재질과 가공 (완) 10 Beemo 25/03/17 462 11
    15320 음악[팝송] 레이디 가가 새 앨범 "MAYHEM" 1 김치찌개 25/03/17 245 2
    15319 정치3월 15일, 미국 연방정부 셧다운의 가능성 13 코리몬테아스 25/03/13 1484 9
    15318 기타남의 인생 멋대로 판단하는 이야기 10 바닷가의 제로스 25/03/13 1479 48
    15317 음악Realslow 형님 평안한 안식에 이르시길.. 8 swear 25/03/13 872 11
    목록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4시간내에 달린 댓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