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다양한 주제에 대해 자유롭게 글을 작성하는 게시판입니다.
Date 15/06/01 13:19:47
Name   세상의빛
File #1   일차_진료.png (19.7 KB), Download : 8
Subject   일차진료에 대해서 조금 말씀드려볼까 합니다.


위의 조악한 그림은 제가 그린 것인데 원래는 아래 그림1에 삽입되어야 합니다. ㅠㅠ 컴알못이라 힘드네요


저는 대학병원에서 근무하는 가정의학과 전문의입니다.
주로 하는 일은 외래 진료, 건강 검진, 시민 강좌입니다.
전문의가 된지 얼마 되지 않아 경험이 일천하지만, 한번 키보드를 잡아보겠습니다.

1. 일차의료가 나온 배경
레지엔님의 글에도 나와있지만, 옛날의 의사는 모든 질환을 다 진료했습니다. 그러나 생화학, 생리학, 미생물학 같은 과학의 발전을 의학이 수용함에
따라 의사 일인이 흡수해야하는 지식의 양은 늘어만 갔고, 그 결과 전문의 제도가 생겨났습니다. 특정 질환 군을 묶어서 진료과의 진료 영역을 정하고
해당 전문과목의 의사를 양성하게 되었죠.

<미국의 전문의 개설 역사>
1917 안과
1924 이비인후과
1930 산부인과
1932 피부과
1933 소아청소년과
1934 정형외과, 정신건강의학과, 영상의학과
1935 비뇨기과
1936 내과, 병리학과
1937 일반외과
1938 마취통증의학과
등등등

지금도 세부 전공은 계속 생기고 있습니다. -_-;; 사실 의사들도 동료 의사의 업무를 모르는 경우가 많습니다. 환자가 자신의 증상을 토대로 올바른
진료과를 찾아가기란 불가능합니다. 그래서 대두한 것이 일차의료입니다. 흔한 질환에 대한 진료를 담당하면서 의학적 필요에 따라 세부 분과 전문의에 매칭시켜줄 수 있는 의사가 필요해진 것이죠. 아래 그림을 보시면

[그림1]


대충 이렇습니다. 일종의 관문이나 버퍼의 개념이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2. 일차의료의의 진료
등장한 배경때문에 일차진료의는 다양한 질환을 진료할 수 있어야 합니다. 주로 유병율이 어느 정도 있는 흔한 질환이 해당합니다. 예를 들면 고혈압,
당뇨병, 이상지질혈증 등 심뇌혈관 질환의 위험인자가 되는 성인병부터 흔한 피부과 질환, 관절염이나 근근막통증증후군 같은 근골격계 질환까지 다
룹니다. 환자의 연령도 제약이 없어야 하구요. 소아도 노인도 봐야합니다. 여기에서 중요한 것은 이 환자를 언제 분과 전문의에게 보낼 것인가를 판단
하는 것입니다. 이 부분이 쉽지가 않습니다. 지식도 경험도 많이 요구됩니다. 일차의료의에게 수련이 필요한 이유입니다.



많이 팔리는 책인데요. 이 책의 각 단원의 마지막 부분의 주제는 모든 단원에서 동일합니다. 'when to refer' 언제 의뢰할 것이냐에 대한 것입니다.

이 책은 매년 발행되구요. 바뀐 내용을 계속 공부해야 합니다. 곧 2016년 판이 발행되겠네요.


3. 우리나라의 현실에서 일차진료의
그러나 위에서 언급한 내용들을 우리나라에서 적용하기는 어렵습니다. 대부분의 의사가 전문의이고 그 중 상당수가 개업을 하는 시점에서 일차진료
를 대부분의 세부 진료과 전문의가 담당하고 있지요. 그리고 대학병원에서 수련받았던 내용과는 상관없는 질환도 진료합니다.  얼마 전 일차진료 워크
샵에 갔었는데, 같이 강의듣던 의사 분들의 전문과목은 다양했습니다. 내과, 산부인과, 외과, 병리과(!)까지... 왜곡된 의료현실에 대해  할말이 정말 많지만,

이 글의 주제를 벗어나기 때문에 더는 적지 않겠습니다.

4. 맺음말
예전부터 생각했던 컨텐츠인데 부족한 지식과 필력 때문에 많이 망설여왔습니다. 쓰다 보니 더욱 부족함이 느껴지네요. 다른 회원 분들이 부족함을
채워주시길 부탁드리겠습니다. 부정기적이겠지만 다음에는 건강검진에 대해서 써보겠습니다. (어쩐지 무덤을 파는 듯하네요)




0


    대중을 위한 본격 종합 의학 커뮤니티 사이트로 홍차넷의 정체성이 정해지나요.. 잘 읽었습니다.
    건강검진쪽 내용도 기대합니다. 저도 할 이야기가 좀 있긴 하네요.
    22 글 보면서 이 댓글 달려고했는데 크크 본격 의학커뮤니티라니, 기존에 없던 커뮤니티이긴 하군요. 글은 정말 잘봤습니다. 의외로 안과가 가장 먼저 생겼네요. 당연히 정형외과가 아닐까 생각했는데..
    damianhwang
    건의 게시판에 올려볼까요? ;-)
    홍차한잔과 함께 즐기는 의료상담? ;;
    ....쓰고보니 왠지 홍대에 어느 의사 친구가 커피집에 의원 차린 기억이 나네요;;;;
    가정의학 하시던 분인거 같았는데.. 아직 돌아가나요? 망했을텐데..
    damianhwang
    일반의 였고요; 지금은 뭐....좀 복잡하게 되었는데;
    결론만 말하면 연남동으로 옮겼습니다. 원장 둘이는 찢어졌구요;
    의료협동조합 하고 있죠.
    둘이랑 다 아는 사이...에 더해..그 둘을 서로 소개시켜준게 저라서 ..;;;;;;
    음 키워드만 들어도 대략 그림이 나오네요.
    damianhwang
    더 이상의 자세한 설명은 자체 생략하겠습니다 ^%^;
    그런 연유로 인해 저도 한쪽과 관계가 크게 악회되어서 말입져;;;
    다른 한쪽이야 둘 다 의사, 약사 면허 따기도 전 20살때부터 친구였기에 지금도 만나지만요;
    세상의빛
    zel님 좋게 봐주셔서 감사합니다
    홍차 한잔 마시면서 보는 대중의학 커뮤니티도 재밌겠네요
    해외에 살고 있는데 여긴 1차적으로 가정의한테 무조건 가야 해서, 맨 처음에는 그게 싫었더랍니다.
    뭐 사실 한국이 의료 서비스 하나 만큼은 편리하고, 또 상대적으로 비용 면에서도 저렴해서 비교 자체가 미안한 수준이네요.
    세상의빛님의 글을 통해 가정의의 필요성은 잘 알게 되었습니다.
    하지만, 한국에서 자라왔던 배경 때문인지 여전히 불편한 건 어쩔 수 없네요.
    요샌 한국도 1, 2차 병원식으로 나눈다고 하더군요.
    세상의빛
    살고 계신 쪽이 혹시 유럽이신가요? 유럽의 일부 국가는 진료 진행이 매우 느립니다 한국 사람은 적응하기 쉽지 않다고 하더군요
    캐나다와 미국입니다.
    현재는 미국에 있네요!
    아나키
    안녕하세요 1차진료와 4차진료를 담당하고있는 한의원에 오신 것을 환영합니다

    환자 : 원장~ 어제밤부터 갑자기 머리가 너무 아파. 제대로 걷지도 못하겠어~
    원장 : 어머님 소견서 써드릴테니까 일단 지금바로 저기 옆에 OO병원 가셔서 사진 좀 찍어보고 오실게요.

    -2개월 뒤-

    환자 : 원장~ 내가 그거 때문에 서울대병원까지 갔다왔는데, 다들 아무이상 없대~
    원장 : 이상 없으시다니 다행이네요. 근데 아직도 아프세요?
    환자 : 어~ 아퍼~ 나 좀 낫게 해줘봐~
    원장 : 어.... 네....
    진짜로 의학을 정체성으로 하는 것도 나쁘지 않다 싶긴 한데... 그걸로는 역시 유입인원의 한계까 있을수 밖에 없으니...
    세상의빛
    주제 중 하나는 될 수 있겠죠
    정기적으로 컨텐츠가 나오면 가능할 수 있을 겁니다
    레지엔
    오오 드디어...! 잘봤습니다.
    목록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132 일상/생각요구르트 하나 정도의 배려만 있다면. 10 Credit 15/05/31 10868 0
    133 기타요즘 피시방의 이야기 55 하드코어 15/05/31 16286 0
    134 기타영화를 보면서 딴생각을 했습니다. 39 Toby 15/05/31 13015 1
    136 기타[직장] 바쁜 지구대 경찰관의 몇가지 이야기 12 관중 15/05/31 11376 0
    137 기타[불판] 히오스 ASD(한국팀) VS eStar(중국팀) 골드리그 3경기 6 Leeka 15/05/31 15054 0
    138 기타저는 환자입니다. 35 레지엔 15/05/31 12226 0
    139 기타메르스 환자 2명 위독·3명은 불안정 치료에 총력 28 이서준팬바이브 15/06/01 12399 0
    141 기타4년만에 출장으로 일본을 갔다 온 뒤 느낀점 26 Leeka 15/06/01 12983 0
    142 기타[과학철학] 과학이란 과학자들이 하는 것이다 6 삼공파일 15/06/01 11573 1
    143 기타[과학철학] 칼 포퍼에 대하여 11 삼공파일 15/06/01 15469 1
    144 기타[과학철학] 콰인 "존재하는 것은 변항의 값이다" 2 삼공파일 15/06/01 16464 0
    145 기타[과학철학] “H₂O는 물이 아니다” 13 삼공파일 15/06/01 14448 0
    148 기타홍차넷 게시판 24 김치찌개 15/06/01 13845 0
    150 기타치킨넷이어야했다.... 8 아저씨 15/06/01 11552 0
    151 기타인사드립니다... 11 표절작곡가 15/06/01 9704 0
    152 기타안녕하세요~^^ 6 삼성그룹 15/06/01 9384 0
    154 기타어느 병원으로 가야 하오 65 레지엔 15/06/01 12463 1
    155 기타메르스에 대한 잡설.. 그냥 잡담입니다. 17 Zel 15/06/01 9683 0
    156 기타도와줘요! 스피드왜건! 8 Yato_Kagura 15/06/01 10397 0
    157 기타[계층] 프라탑이 쌓여가면서 5 BLUE_P 15/06/01 8342 0
    158 기타안녕하세요. 6 기쁨평안 15/06/01 8612 0
    159 기타메르스 격리대상 680명, 감염자 18명 5 Leeka 15/06/01 9745 0
    160 기타일차진료에 대해서 조금 말씀드려볼까 합니다. 15 세상의빛 15/06/01 11106 0
    161 기타웹드라마 편집실에서 일하게 되었습니다. 27 한아 15/06/01 10503 0
    162 기타메르스 사건이 또 정부의 총체적 난국을 알렸습니다. 38 Leeka 15/06/01 11212 0
    목록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4시간내에 달린 댓글

    댓글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