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다양한 주제에 대해 자유롭게 글을 작성하는 게시판입니다.
Date | 16/01/22 08:49:55 |
Name | S |
Subject | 연구 윤리와 관련해서.. |
뉴스 기사를 보다 궁금한 점이 있어서 질문에 남길까하다가.. 질문이라고 하기에는 각자의 의견을 묻는 게 나은 것 같아서요. http://www.hani.co.kr/arti/society/health/698729.html " 2일 <한겨레> 취재 결과, 경기도감염병관리본부(관리본부) 소속 의료인들은 평택성모병원에서 발생한 37명의 메르스 환자 역학조사 자료를 바탕으로 논문을 작성해 <유로서베일런스> 6월25일치에 실었다. 이 저널은 유럽질병통제예방센터(ECDC)가 펴낸다. 논문에는 경기도 역학조사관 2명이 공동저자로 등재돼 있다. 그러나 이들 역학조사관은 자신들을 공동저자로 등재하는 문제와 관련해 사전에 동의를 구하는 절차가 없었으며 역학조사 자료도 허가 없이 사용했다며 <유로서베일런스> 편집진에 논문 철회를 요구했다. <유로서베일런스>는 <한겨레>의 관련 문의에 “(논문 철회 여부를) 논의 중이다. 일부 저자들이 논문 내용에 대해 사전 고지를 받지 못했으며 데이터의 사용 권한에 문제가 있다고 주장해 편집진이 조사 중이다”라고 답변했다. " 이 기사가 조금 오래 된 것이긴 하지만.. 혹시 기사처럼 연구윤리에 어긋났다 라고 한다면. 그냥 끝인가요? 그냥 욕 먹고 끝? 논문도 철회는 되지 않았구요. http://www.eurosurveillance.org/ViewArticle.aspx?ArticleId=21169 대학원 이상 분들 혹시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0
|
2저자 중에 일부에게 고지가 안됬다는게 그냥 별 백그라운드 없는 사실이라면 잘못된건 맞지만 죄질이 아주 나쁘다고는 볼 수 없습니다. (물론 저 2저자들이 다른 논문을 준비하고 있었는데 뒤통수 맞고 뺏기고 그랬다면야 큰 문제지만.. 저 역학조사관 어짜피 공보의 아닌가요? 논문이 딱히 필요 없는 시츄에이션이라 그럴 가능성은 적어 보입니다만.. 보통 이런 일들은 그냥 넘어가는데 (2저자 자신의 불이익이 없거든요) 에디터한테 이야기했다면 뭔가 감정적인 뒷배경이 있을 순 있어요. )
다른 분야는 몰라도 의학저널에서 저자관련으로 가장 나... 더 보기
다른 분야는 몰라도 의학저널에서 저자관련으로 가장 나... 더 보기
2저자 중에 일부에게 고지가 안됬다는게 그냥 별 백그라운드 없는 사실이라면 잘못된건 맞지만 죄질이 아주 나쁘다고는 볼 수 없습니다. (물론 저 2저자들이 다른 논문을 준비하고 있었는데 뒤통수 맞고 뺏기고 그랬다면야 큰 문제지만.. 저 역학조사관 어짜피 공보의 아닌가요? 논문이 딱히 필요 없는 시츄에이션이라 그럴 가능성은 적어 보입니다만.. 보통 이런 일들은 그냥 넘어가는데 (2저자 자신의 불이익이 없거든요) 에디터한테 이야기했다면 뭔가 감정적인 뒷배경이 있을 순 있어요. )
다른 분야는 몰라도 의학저널에서 저자관련으로 가장 나쁜 짓이라면 타인이 쓴 논문의 1저자 가로채는게 되겠고요, 두 번째로 나쁜건 교신저자가 아무것도 안하고 논문 내용도 모른 채 메일 포워딩만 해주는건데..사실 이도 비일 비재 합니다. (원칙적으로 교신 저자는 논문 전체에 대한 guarantee를 확실하게 해 줘야 합니다.) 그리고 2저자는 대략 10년전까지만 해도 그냥 제삿상에 젓가락 하나 더 올리는 정도(?)의 취급을 받았고 이는 국내/외가 크게 다르지는 않았습니다. 하지만 요즘은 확실히 전체적인 분위기는 많이 바뀌고 있어요. 좋은 (높은) 저널들은 2저자의 역할 하나하나를 체크하고 있고, 사인하는 쉬트 한장 보내는게 아니고 개별적으로 동의하는지 메일로 보내고 있습니다. 천상계 저널은 2저자 하나도 엄격한 기준을 요구하기도 하죠.
다른 분야는 몰라도 의학저널에서 저자관련으로 가장 나쁜 짓이라면 타인이 쓴 논문의 1저자 가로채는게 되겠고요, 두 번째로 나쁜건 교신저자가 아무것도 안하고 논문 내용도 모른 채 메일 포워딩만 해주는건데..사실 이도 비일 비재 합니다. (원칙적으로 교신 저자는 논문 전체에 대한 guarantee를 확실하게 해 줘야 합니다.) 그리고 2저자는 대략 10년전까지만 해도 그냥 제삿상에 젓가락 하나 더 올리는 정도(?)의 취급을 받았고 이는 국내/외가 크게 다르지는 않았습니다. 하지만 요즘은 확실히 전체적인 분위기는 많이 바뀌고 있어요. 좋은 (높은) 저널들은 2저자의 역할 하나하나를 체크하고 있고, 사인하는 쉬트 한장 보내는게 아니고 개별적으로 동의하는지 메일로 보내고 있습니다. 천상계 저널은 2저자 하나도 엄격한 기준을 요구하기도 하죠.
예 사실 2저자야 문제 되면 빼 버리면 되는거고, 그 저자가 없어서 논문이 성립이 안된다면 논문철회를 해야할테지만.. 그 저자가 없어서 데이터의 일부를 사용할 수 없다는 것도 좀 일반적이진 않습니다. (어떤 기관의 장급이 아니라 개별 공보의라면 더더욱) 분명 어느 정도의 교신저자에게 불명예 스럽지만 의도적이지 않은 경우에도 종종 생기는 상황이라. 저자간 감정적으로 안좋은 상태에서 물먹으라고 받아 버린 모양새인거 같은데.. (공보의 시절이라면 다들 이런 경험들이 있긴 있습니다.. 워낙 말도 안되는 일들이 비일비재해서..) 데이터 ... 더 보기
예 사실 2저자야 문제 되면 빼 버리면 되는거고, 그 저자가 없어서 논문이 성립이 안된다면 논문철회를 해야할테지만.. 그 저자가 없어서 데이터의 일부를 사용할 수 없다는 것도 좀 일반적이진 않습니다. (어떤 기관의 장급이 아니라 개별 공보의라면 더더욱) 분명 어느 정도의 교신저자에게 불명예 스럽지만 의도적이지 않은 경우에도 종종 생기는 상황이라. 저자간 감정적으로 안좋은 상태에서 물먹으라고 받아 버린 모양새인거 같은데.. (공보의 시절이라면 다들 이런 경험들이 있긴 있습니다.. 워낙 말도 안되는 일들이 비일비재해서..) 데이터 조작이나 표절등등의 \'중죄\'에 비해선 정상참작의 소지가 크다고 보통 인정받는 추세입니다. 물론 저널 자체가 더 임팩트가 높은 저널이라면 영향이 더 커질 수는 있겠지만.. 그런 저널들은 알아서들 자체 검증 시스템을 돌리니 2저자가 몰랐다고 발뺌할 수도 없죠. 여튼 요즘 이런 일들이 종종 일어나고 있어서 2저자 선택에 더 조심하게 되고 가이드라인을 따를려는 움직임들이 많은건 바람직하다고 생각합니다.
목록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