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다양한 주제에 대해 자유롭게 글을 작성하는 게시판입니다.
Date 15/06/30 12:17:32수정됨
Name   레지엔
Subject   간합의 변화로 본 mma 발전 양상
작성자가 본문을 삭제한 글입니다.



0


    darwin4078
    mma 자체가 전체적인 능력의 밸런스가 좋아야 하기 때문 아닐까 싶습니다.

    스타일리쉬한 파이터는 갈수록 생존하기 힘들게 되는데...
    사실 다른 여타 종목들도 스타일리쉬한 선수들은 사라지고 못하는거 없이 다 잘하는 선수가 결국 살아남으니깐...

    이러다 그래플링 능력 쩌는 절권도 스타일 나오는거 아닌가 몰라요. ;;;
    레지엔
    절권도 스타일은 거의 뭐 킥복싱 하위호환이라... 어떤 정신나간 천재가 다른 파이터를 농락하기 위해 이소룡 흉내를 낼 것 같긴 합니다. 료토도 실제로 했었고(..)

    그리고 이게 아직 mma가 발전 도상 단계인게, 발전이 너무 빠르다보니 재능있는 선수랑 아닌 선수의 차이가 나면서 역으로 개성이 확보된 드문 상황입니다 지금이. 지금을 즐겨야 됩니다(..)
    구밀복검
    여러 모로 스1과 MMA는 관찰하기 좋은 진화실험장이라고 생각합니다. 직관성이 좋고, 필드가 어느 정도 한정되어 있고, 다른 스포츠에서는 수십 년에 걸쳐 점진적으로 일어날만한 변화와 발전이 단기간에 급속하게 일어나므로, 많은 개체들이 자연적으로 선택되고 도태되는 것이 한 눈에 들어오죠. 그러면서 팬들이 플레이어에 대해 가지는 종교적인 신성함이라고 해봐야 결국은 혁신을 거치면서 탈주술화 될 수밖에 없다는 것이 거듭 증명되고, 그 결과로 유물론을 거부하는 판타지나 낭만 같은 것이 얼마나 비물질적이고 현실초월적이며 허구적인지 낱낱히 깨닫... 더 보기
    여러 모로 스1과 MMA는 관찰하기 좋은 진화실험장이라고 생각합니다. 직관성이 좋고, 필드가 어느 정도 한정되어 있고, 다른 스포츠에서는 수십 년에 걸쳐 점진적으로 일어날만한 변화와 발전이 단기간에 급속하게 일어나므로, 많은 개체들이 자연적으로 선택되고 도태되는 것이 한 눈에 들어오죠. 그러면서 팬들이 플레이어에 대해 가지는 종교적인 신성함이라고 해봐야 결국은 혁신을 거치면서 탈주술화 될 수밖에 없다는 것이 거듭 증명되고, 그 결과로 유물론을 거부하는 판타지나 낭만 같은 것이 얼마나 비물질적이고 현실초월적이며 허구적인지 낱낱히 깨닫게 해주죠. 여기서 진행된 발전도상의 양상이 다른 스포츠에도 일어났거나 혹은 일어날 것임을 예상할 수 있다는 점에서도 매우 유용하고요. 뭐 MMA의 다음 단계는 다른 스포츠들이 그러했듯 선수풀이 좀 더 증가하고 상향평준화 정도가 올라가면서 루즈해지는...그런 단계가 아닐까 싶네요.

    분야는 다르지만 축구 같은 경우도 최근이 참 보기 좋은 때죠. 90년대 들어 현지 팬들에 대한 티켓 판매가 아닌 해외 팬들에 대한 TV 중계권 중심으로 마케팅 전략이 바뀌었고, 이는 타대륙, 특히 남미에 대한 유럽의 경제적 우위로 이어졌으며, 남미를 비롯한 세계 각지의 유수 선수들이 대거 유럽으로 상륙했지요. 당연히 스카우터 시스템도 함께 발달했고요. 동시에 유러피언 컵이 챔피언스리그로 확대 개편되면서 경쟁 무대가 일원화되어 국가별/리그별 쇄국 상황이 해체되고 진정한 의미의 <세계 축구>가 태동했죠. 자연히 트레이닝과 전술과 노하우의 혁신 속도가 증가하고, 피지컬적 혁신이 발생하고, 인습적인 방식들은 도태되고. 이러한 세계화/상업화가 진행되어 클럽 간 경제적 격차가 커지면서 빅클럽으로 인재가 집중되고, 이는 최상위 레벨의 경기 수준을 향상시켰으며 전술 혁신 속도를 한층 배가시켰죠. 동시에 전세계적으로 유소년 선수에 대한 투자도 확대되고, 이것이 인재풀의 증가로 이어지고.... 여기에 92년에 골키퍼에 대한 수비수의 고의 백패스에 페널티를 가하는 룰이 제정되면서 골키퍼를 중심으로 한 후방 볼 돌리기/시간 끌기에 철퇴를 내리고 전진과 중원 싸움이 장려되면서 빌드업과 주도권 운용이 중요한 화두가 되었고요. 여기에 인터넷의 등장으로 인한 정보 교환의 증대까지....MMA 정도까지는 아니지만 축구 역시 90년대 이후 진행된 종합적인 변화를 따져보면 그 이전과 같은 종목이라고 할 수 있을지 의문이 들 정도입니다.

    그러한 변화의 결실을 지금 따먹고 있고요. 90년대 후반까지만 하더라도 각 리그/클럽들은 각각의 전통적인 경기 양식에 천착하는 경향이 강했고, 그리하여 시선은 다른 데에 돌리지 않고 한 우물만 파면서 개성을 고수하고 있던 자의식 없는 여러 팀들이 그때그때 확보한 발전 수준에 따라 각 클럽 간/리그 간 우열이 결정되었던 반면(마치 이종격투기 시절처럼), 00년대를 거치면서 트렌드가 갈리고 전술이 모방되고 경쟁 클럽들 사이의 유사성이 증가하면서 해당 시즌의 전술에 대해 다음 시즌에는 정면 파해가 가능하게 되었죠. 예컨대 00년대 중반에는 맨유나 빅4를 중심으로 한 EPL 클럽들이 경기 운영 스피드의 혁신을 통해 대륙팀들을 학살하다가, 얼마 지나지 않아 바르셀로나가 경기 내내 볼을 소유하고 라인을 올리고 주도권을 틀어쥐며 동시에 템포를 죽이는 축구를 하면서 EPL 클럽들의 스피드를 고사시키고, 이러한 볼소유 중심의 운영을 분데스리가 팀들이 다이나믹한 무브먼트를 기반으로 한 타이트한 압박을 통해 최전방에서부터 적극적으로 방해한 다음 스피디하게 강공을 취하며 박살내고, 다시 레알 같은 팀이 마치 전통적인 브라질리언 축구처럼 10명의 플레이메이커를 동원하면서 후방에서부터 안정적으로 볼을 운반하여 분데스리가 클럽들을 도장깨듯 하나하나 깨버리고, 이번 시즌에는 스타일의 다종교배가 일정 수준 이상 진행되면서 적당히 볼 소유하고 적당히 라인 내리며 주도권과 실리 사이의 균형을 신경쓰고, 상대방을 완벽하게 제어하기보다는 자신들이 볼을 소유하는 턴이 왔을 때 자신들의 플레이를 하는 데에 집중하는 팀들이 판을 주도했고. 인재가 집중되고 노하우가 상향 평준화된 작금의 빅클럽들을 상대한다고 했을 때, 00년대 팀이라면 어찌어찌 임기응변의 여지가 있을지 몰라도 90년대 팀이라면 제 아무리 강하다고 한들 피지컬/전술적 격차가 결합된 카운터가 가능할 것입니다. 참 UEFA가 여러 모로 까일 거리가 많기는 하지만 어쨌거나 혁혁한 공을 세우기는 했어요. 특히 챔피언스리그 확대 개편은 뭐...잉글랜드 FA의 중계권 시장 공략도 칭찬할만하고요. 축구판의 흐름을 바꾼 신의 한 수들이죠. FIFA의 인습적 행보와 비교하면 칭찬할만하다 싶습니다.
    Neandertal
    입식 타격 처음 보면서 참 잔인하다고 느꼈던 때도 있었는 데 이제는 피투성이의 종합격투기를 보면서도 아무렇지도 않으니 인간의 적응력이라는게 참 무섭다는 생각도 해봅니다.
    노무현
    전 때리는건 그냥 그저 그런데
    앤더슨 실바와 크리스 와이드먼 2차전에서 실바의 정강이가 앞쪽으로 부러져서 너덜너덜해진거랑
    팔꿈치로 얼굴 커팅해서 그 찢어진 부위가 점점 벌려지며 출혈이 매우 심각해서 피가 철철 흐르는건 좀 잔인해보이더라구요

    그래서 결론은 그라운드 주짓수 싸움이 좋습니다
    王天君
    오예. 격투 이야기하면 요즘은 점점 간합이 짧아지고 있지 하며 아는 척 해야겠어요.
    레지엔
    바로 이런 목적으로 쓴 글입니다?!
    기아트윈스
    음.. 간합이 무슨 뜻인지 설명이 있었으면 더 이해가 잘 되었을 것 같아요.

    사이 간에 합할 합인가요? 사이를 두거나 혹은 붙거나 하는 거리?
    레지엔
    間合이라고 쓰는데, 일본어로는 \'마아이\'라고 읽는 격투기 용어입니다. 상대와 나의 물리적 거리를 제어하는 시도와 여기에서 발생하는 인터랙션, 그리고 전술적인 움직임을 총칭하는 말입니다.
    좀 더 이해하기 편하게 이야기한다면, 단도와 봉이 서로 겨룰 때 봉을 든 쪽은 창처럼 봉을 써서 상대를 찔러서 밀어내고 장거리를 유지하고, 반대로 단도를 든 쪽은 봉을 쳐내거나 페이크를 통해 봉을 엉뚱한 곳으로 향하게 한 후에 옆으로 돌아서 상대에게 달라붙는데 이러한 시도를 간합, 혹은 간합 조절이라고 표현하죠. 생각해보니 간합이라는 표현이 한국어가 아니네요.
    켈로그김
    천상계 유행은 그렇군요.
    우리 브실골의 싸움은 서로의 주소지로 소환장을 우편으로 보내는 초 원거리 싸움입니다;
    Anakin Skywalker
    포킹보단 개싸움이죠
    그라운드는 별로지만..
    노무현
    제가 좋아하는 베우둠이 오래오래 챔피언하면 좋겠습니다. 타격도 이젠 최강급인데 그래플링은 역대 최강자급이니 케인보다도 훨씬 강한게 맞는데 아쉬운건 나이가 많아서 몇해밖에 못해먹을것같네요

    전 원래부터 타격보다 그래플링 좋아해서 이런 유형의 선수가 더 늘어나면 좋겠네요. 베우둠의 모습중에 제일 좋아하는 모습은 누워서 들어오라고 솤짓하는 것입니다. 케인도 쫄아서 못들어갔죠. 과연 과감하게 들어가서 베우둠을 이길자가 있을지 앞으로가 더 궁금하네요
    레지엔
    전 베우둠을 좋아하진 않지만 이 선수 데뷔때부터 봐온 입장에서 박수를 안 보낼 수가 없더군요. 개손에 개발이라고 욕했던게 얼마 전인데 갑자기 저 나이에 타격에 대오각성하다니(..)
    헤비급이라는 특성을 생각하면 베우둠 상대로 그라운드 파이트를 좋다고 들어갈 선수는 거의 안나오지 싶습니다. 처음부터 클린치에서 갈아버리면서 들어간다면 모를까...
    노무현
    전 예전 경기는 잘 못봤는데 그냥 눕기만 하는 노잼 선수라서 인기 전혀 없다고 들었는데 타격을 꾸준히 연마하더니 케인 벨라스케즈를 타격으로 압도하는 수준이 되었더라구요 재능도 대단한데 노력도 엄청난 것 같네요
    wish burn
    최강의 그래플러가 K-1 챔피언출신을 플라잉 니킥으로 관광보냈죠. 이게 MMA구나 싶더군요
    노무현
    k-1 챔피언 출신이 누구죠? 마크 헌트인가요?
    목록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공지 티타임 게시판 이용 규정 2 Toby 15/06/19 32928 7
    15408 도서/문학'야성의부름' 감상 에메트셀크 25/04/27 43 2
    15407 일상/생각토요일의 홀로서기 큐리스 25/04/26 263 1
    15406 일상/생각사진 그리고 와이프 1 큐리스 25/04/25 427 4
    15405 게임마비노기 모바일 유감 10 dolmusa 25/04/25 606 5
    15404 일상/생각인생 시뮬레이션??ㅋㅋㅋ 1 큐리스 25/04/25 449 0
    15403 의료/건강긴장완화를 위한 소마틱스 운동 테크닉 소개 4 바쿠 25/04/24 514 10
    15402 도서/문학사학처럼 문학하기: 『눈물을 마시는 새』 시점 보론 meson 25/04/23 314 6
    15401 일상/생각아이는 부모를 어른으로 만듭니다. 3 큐리스 25/04/23 481 10
    15400 꿀팁/강좌4. 좀 더 그림의 기초를 쌓아볼까? 6 흑마법사 25/04/22 375 18
    15399 일상/생각처음으로 챗GPT를 인정했습니다 2 Merrlen 25/04/22 782 2
    15398 일상/생각초6 딸과의 3년 약속, 닌텐도 OLED로 보답했습니다. 13 큐리스 25/04/21 872 28
    15397 일상/생각시간이 지나 생각이 달라지는것 2 3 닭장군 25/04/20 765 6
    15396 IT/컴퓨터AI 코딩 어시스트를 통한 IDE의 새로운 단계 14 kaestro 25/04/20 642 1
    15395 게임이게 이 시대의 캐쥬얼게임 상술인가.... 4 당근매니아 25/04/19 637 0
    15394 꿀팁/강좌소개해주신 AI 툴로 본 "불안세대" 비디오 정리 2 풀잎 25/04/19 618 3
    15393 IT/컴퓨터요즘 일상적으로 사용하는 AI툴들 12 kaestro 25/04/19 788 18
    15392 도서/문학명청시대의 수호전 매니아는 현대의 일베충이 아닐까? 구밀복검 25/04/18 493 8
    15391 정치세대에 대한 냉소 21 닭장군 25/04/18 1236 15
    15389 게임두 문법의 경계에서 싸우다 - 퍼스트 버서커 카잔의 전투 kaestro 25/04/17 392 2
    15388 일상/생각AI한테 위로를 받을 줄이야.ㅠㅠㅠ 4 큐리스 25/04/16 698 2
    15387 기타스피커를 만들어보자 - 번외. 챗가를 활용한 스피커 설계 Beemo 25/04/16 294 1
    15386 일상/생각일 헤는 밤 2 SCV 25/04/16 395 9
    15385 게임퍼스트 버서커 카잔에는 기연이 없다 - 던파의 시선에서 본 소울라이크(1) 5 kaestro 25/04/16 309 2
    15384 일상/생각코로나세대의 심리특성>>을 개인연구햇읍니다 16 흑마법사 25/04/15 712 10
    목록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4시간내에 달린 댓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