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다양한 주제에 대해 자유롭게 글을 작성하는 게시판입니다.
Date 17/08/17 14:32:05
Name   구밀복검
Subject   할리웃을 지배했던 여배우들 간단하게 살펴보기
1932년부터 2013년까지, 극장주들이 선정한 연도별 흥행 파워 1순위로 꼽힌 성인 여배우 명단을 정리해보면 다음과 같습니다. 괄호 안은 해당 연도 대표작.
레퍼런스 : https://en.wikipedia.org/wiki/Top_Ten_Money_Making_Stars_Poll


32 : 마리 드레슬러(엠마)
33 : 마리 드레슬러(8시 석찬)

43 : 베티 그레이블(코니 아일랜드/스윗 로지 오그래디)

50s x

60 : 도리스 데이(플리즈 돈 잇 더 데이지)
61 : 엘리자베스 테일러(버터필드8-전년 개봉작)
62 : 도리스 데이(터치 오브 밍크)
63 : 도리스 데이(무브 오버 달링/스릴 오브 잇 올)
64 : 도리스 데이(샌드 미 노 플라워)
66 : 줄리 앤드루스(메리 포핀스/사운드 오브 뮤직-전년 개봉작, 톤 커튼/하와이)
67 : 줄리 앤드루스(모던 밀리)

70s x

80s x

99 : 줄리아 로버츠(노팅 힐)

09 : 샌드라 불럭(블라인드 사이드)

13 : 제니퍼 로렌스(헝거 게임)



아깝게 2위에 그친 사례는 다음과 같습니다.

32 : 재닛 게이너(테스 오브 스톰 컨트리)

46 : 잉그리드 버그만(오명)
47 : 베티 그레이블(마더 워 타이츠)
48 : 베티 그레이블(나에게 미소 지을 때)

55 : 그레이스 켈리(이창/다이얼 M을 돌려라-전년도 개봉작, 나는 결백하다)
58 : 엘리자베스 테일러(뜨거운 양철 지붕 위의 고양이)

60s x

75 : 바브라 스트라이샌드(퍼니 레이디)
77 : 바브라 스트라이샌드(스타 탄생)

80s x

90 : 줄리아 로버츠(프리티 우먼)
97 : 줄리아 로버츠(내 남자 친구의 결혼식)

00 : 줄리아 로버츠(에린 브로코비치)
03 : 니콜 키드먼(콜드 마운틴)

10 : 안젤리나 졸리(투어 리스트)
12 : 앤 해서웨이(다크 나이트 라이즈/레 미제라블)
13 : 샌드라 불럭(그래비티)


- 마리 드레슬러, 베티 그레이블, 도리스 데이, 줄리 앤드루스, 줄리아 로버츠 정도가 눈에 띄죠. <바람과 함께 사라지다>의 비비안 리가 차트에 없는 게 의외...흥행은 상대역인 클라크 게이블 빨이었던 걸까요.

- 시기적으로 놓고 보면, 할리우드 골든 에이지 시작점인 30년대에는 여배우 파워가 외려 더 쎘죠. 그러다가 클라크 게이블이나 게리 쿠퍼 등등 남배우들이 발굴되고 자리가 잡히면서 역전은 됩니다만, 그래도 상위 랭크에서 여배우를 쉽게 찾아볼 수 있었죠. 그러다가 50년대 쯤 되니 여배우는 소수 정예가 되고, 70년대/80년대엔 여배우 = 들러리 수준으로 전락하게 됩니다. 이 트렌드를 깬 게 줄리아 로버츠고요. 비유적으로 말하자면, 헐리웃 골든 에이지는 성적으로 평등했던 구석기 시대, 골든 에이지 직후 뉴 할리우드 시네마 시절은 성간 권력 격차가 생긴 신석기 시대라 할 수 있겠죠. 이걸 보면 스튜디오 시스템이 착취적이었을지언정 산업적 측면에서 여배우를 육성/보호하는 측면이 있었음을 암시하지 않나 싶습니다. 줄리아 로버츠는 고추강점기를 끊어낸 할리웃의 버지니아 울프 급이고...줄리아 로버츠 없었다 치면 68년부터 08년까지 40년 연속으로 남배우가 1위를 가져가는 거였죠. 그 점에서 줄리아 로버츠의 등장은 김택용의 3.3혁명 이상의 의미..

- 여튼 고리짝 할리웃이라고 여배우 무시하는 건 아니었단 것을 알 수 있습니다. 되려 여배우가 무시 당하기 시작한 건 영화 및 문화 산업이 '현대화' 되면서부터고, 특히 히피와 베이비부머들과 신좌파들이 득세할 때란 점이 흥미롭죠. 여배우의 위상이나 극적 역할, 직업적 진취성 측면에서 요즘보다 훨 재미있는 시기가 40년대인데 이건 다음 기회에..



3


    레지엔
    일본연예인 중에 재일조선인과 오키나와 출신이 많았고 21세기에 들어서 줄어드는 추세인가와 거의 맞물리는 얘기라고 본 기억이 납니다. 교사 여초화 현상하고도 맥락이 닿고...
    코리몬테아스
    재일조선인이 줄어드는 맥락은 이해가 가는데 오키나와 출신이 줄어드는 건 왜 그런가요?
    레지엔
    걍 같은 맥락인데, 사회 총체적으로 봤을 때 마이너리티인 집단이 특정한 영역에서는 메이저리티가 되고 보통 그 특정한 영역은 사회 표준에서 좀 멀어진 특수성이 있습니다. 예컨대 연예인의 경우에는 돈에 비해 천대받던 직업이고, 교사의 경우는 남성 고학력층에게 매력을 잃은 직장이었죠. 근데 이런 직업들이 사회변화에 의해서 매력적인 직장이 되면 자연스레 그 마이너리티의 비율이 줄어듭니다. 오키나와의 경우는 좀 더 특수한 사정이 있는데, 오키나와 액터즈 스쿨이라는 연예인 사관학교라고 해야되나 학원이라고 해야되나... 암튼 이게 상당히 좋은 커리큘럼으로 연습생들을 뽑아냈었는데, 동경과 오사카 등의 대도시에서 더 강력한 자본으로 따라잡기를 시작하면서 붐이 좀 꺾였죠.
    사나남편
    제가 좋아하는 배우는 없군요...ㅜ.ㅜ
    구밀복검
    뭐 한 해라도 1위는 진짜 하기 힘들다보니..1위 할 배우면 원래부터 국민배우든가 거진 그 해의 인물 수준이죠. 그리고 2014부터는 집계를 안 해서 최근 눈에 두고 계신 배우들은 반영이 안 되었을 겁니다. 상품으로서의 '스타'와 예인으로서의 '배우'의 차이도 있고요. 박정현 좋아하는 사람보다 IOI 팬이 50배는 많은 것처럼.
    사나남편
    우리 블랙위도우가 그해의 인물이 아니라니요...ㅜ.ㅜ
    우주최강워리어
    나홀로 집에서의 열연!
    구밀복검
    저때만 해도 조핸슨 티켓 파워가 그렇게 강하진 않았으니까요 ㅎㅎ 주연으로 캐리해서 빅 히트 일궈낸 상업영화도 딱히 없었고. 블랙 위도우도 따져보면 결국 조연..어벤저스 레귤러로 꾸준히 시간 보내고, 사이사이 찍은 영화들 비평적으로 성공 거두고 하면서 근년 동안 쑥 올라왔다 싶네요. 사실 그 전까지만 해도 세계구는 몰라도 북미에서는 닥 제니퍼 로렌스 원탑 분위기였는데, 헝거 게임 끝나고 제니퍼 로렌스가 주연 맡은 영화들이 줄줄히 흥행 실패하면서 스칼렛 조핸슨이 그 자리를 꿰찬 듯..결국 마블에 합류하는 게 이찌방인 거겠죠.
    Beer Inside
    공각기동대에서.........
    사나남편
    그말싫...
    시커멍
    사진 엄스면 무효
    구밀복검
    생각은 했는데 다 써놓고 일일히 첨부하려니 귀찮더라고요 ㅎㅎ
    Danial Plainview
    먼로가 없네요. 당연히 있을 줄 크크
    구밀복검
    5위까지 올라가긴 하니까 낮은 건 아니긴 한데 ㅎㅎ 마릴린 먼로 작품들이 대부분 흥행하긴 했지만 공전의 히트를 친 건 59년의 <뜨거운 것이 좋아> 정도라서 그런 게 아닌가 합니다. 저때 대표적인 국민 영화라고 하면 <벤허>, <십계>, <쿼바디스>, <성의> 같은 성서/역사물이나 <콰이강의 다리>, <지상 최대의 쇼> 같은 전쟁물 등 블록버스터스러운 작품들이 메인스트림을 이룰 땐데, 뭐...자연히 남배우 중심으로 판이 돌아갔죠. 물론 그 와중에 <이창> 같은 히치콕 영화가 상업적으로 대성공을 거두면서 그레이스 켈리처럼 깜짝 스타가 발굴되기도 했지만요.
    Darwin4078
    조디 포스터-미셸 파이퍼 라인을 참 좋아했지만, 있을거 같지는 않았습니다.
    구밀복검
    그 분들은 스타성이 없는 건 아니지만 기본적으로 배우라 ㅎㅎ
    벤젠 C6H6
    오드리 햅번이 없네요
    구밀복검
    최고 순위는 4위입니다.
    도리스 데이와 줄리 앤드루스 지분이 많은 걸 보니 60년대 여배우는 가창력 빨을 좀 받아야 했다는 생각도 들고... 저 시기 제외하면 그냥 다 가뭄에 콩나듯이라 60년대가 좀 특이한 케이스가 아닌가 싶기도 하네요.
    구밀복검
    뮤지컬에 기반을 둔 코메디 영화가 많이 나올 때죠. 극에서 음악이 중심이 되면 여성의 비중이 올라가는 게 아닌가 싶기도. 그러고보니 필명이..
    다시갑시다
    매리 포핀스랑 사운드 오브 뮤직 주연배우가 같다는걸 지금 알았네요...
    구밀복검
    당시엔 내는 영화마다 국민영화였죠 ㅎㅎ
    제니퍼 로렌스도 없네요 ㄷㄷ
    앤 해서웨이는 약간 뜬금포 같고 ㅋㅋㅋ;;
    다크나이트나 레미제라블이나 다 조연일텐데 해서웨이가 포함된 것은
    두 영화가 한 해에 같이 개봉한 덕인 것 같은 느낌 ㅋㅋㅋ;;
    구밀복검
    제니퍼 로렌스는 13에 있어요 ㅎㅎ 앤 해서웨이에 대해서는 비슷하게 생각합니다.
    엥.. 산드라 블럭... 은 2위 리스트이고
    1위들은 따로 있었군요 ㅋㅋㅋ;;;;
    구밀복검
    뭐 사실 배우로서의 위상이나 업계에서의 대우는 또 저것들과는 별개긴 하죠 ㅎㅎ
    커피최고
    이건 elo 레이팅 없나요 ㅋㅋㅋ
    구밀복검
    ㅋㅋㅋㅋㅋㅋ 영화엔 승도 패도 없죠
    켈로그김
    성인여배우.. 라는 말에 엄한 기대를 했네요...
    구밀복검
    ㅋㅋㅋㅋㅋ 제가 그 어휘에 좀 둔감했네요. 아역배우를 제외하려고 일부러 강조한 건데 낚시가 될 줄은 ㅋㅋ
    코리몬테아스
    순위가 좀 이상하게 느껴지는게 투어리스트는 100mil 들여서 270mil쯤 벌어들인 영화인데 당장 같은 해의 로버트 다우니 주니어가 200mil들여서 600mil 벌은 아이언맨 2를 찍었단 말이에요.
    근데 10년도의 1,2위가 조니뎁,안젤리나 졸리고 3위가 로버트 다우니 주니어인게 이상하네요. 출연료대비 흥행률로 뽑아낸건 확실히 아닐텐데.. 출연료 + 예산대비 보정을 어느정도 넣은건지..
    느낌이 좀... 단순하고 러프한 계산식을 쓰고 있는 냄새가 풀풀나는데 믿을만한 순위인가요?
    구밀복검
    특정한 계량지표가 아니라 극장주들의 '투표'입니다. 명칭부터가 The Top Ten Money Making Stars [Poll]이죠. 링크의 소개를 인용합니다.

    The Top Ten Money Making Stars Poll was published from a questionnaire given to movie exhibitors every year between 1932 and 2013 by Quigley Publishing Company.

    [The... 더 보기
    특정한 계량지표가 아니라 극장주들의 '투표'입니다. 명칭부터가 The Top Ten Money Making Stars [Poll]이죠. 링크의 소개를 인용합니다.

    The Top Ten Money Making Stars Poll was published from a questionnaire given to movie exhibitors every year between 1932 and 2013 by Quigley Publishing Company.

    [The list was based on a poll of movie theater owners], who were asked to name who [they felt were the previous year's top 10 moneymaking stars]. The Top 10 Poll which appeared annually in Quigley's International Motion Picture Almanac has long been regarded as one of the most reliable barometers of a movie star's box-office power, as film exhibitors base their decisions on one economic criterion: those stars who will bring patrons into their theaters.

    사실 배우가 개별 작품의 흥행에 끼친 영향을 계량화하긴 어렵죠. 주연인지 주연'급'인지 조연인지 등등도 항상 정확하게 판별할 수 있는 것도 아니고, 흥행에 영향을 끼치는 요소는 배우의 개성 외에도 여러가지 요소가 있으니까요. 특정 배우가 해당 출연작에 대해 얹혀간 것인지 캐리한 것인지를 정확히 알 수 없죠. 따라서 영화의 수익성을 판단하여 자신의 극장에서 상영할지 말지를 최종적으로 결정하는 극장주들의 판단 같은 것이 정성적인 차원에서 신뢰도가 높다고 봅니다. 누가 가장 돈 되는 배우인지는 극장주들이 가장 잘 알겟죠 아마도.
    코리몬테아스
    극장주를 기준으로하면 더 이상한게 투어리스트는 전체 매출 중 국내의 비율이 24%(60mil)밖에 안되고 아이언맨2는 50%(300mil)이나 되거든요.. 게다가 극장주 투표 기준이면 더더욱 출연료 등은 고려사항이 아닐꺼고요. 조니 뎁이야 2010년에 아이언맨2 이상으로 흥행한 앨리스도 있으니 두 영화가 합산되었으리라고 보면 이해는 가는데 안젤리나 졸리는 동해 개봉한 '솔트'의 국내 매출 + '투어리스트'의 국내매출까지 합쳐도 로버트 다우니 주니어가 아이언맨2로 벌어들인 국내매출보다 낮고요.
    실제 전국적인 매출과 다른 결과... 더 보기
    극장주를 기준으로하면 더 이상한게 투어리스트는 전체 매출 중 국내의 비율이 24%(60mil)밖에 안되고 아이언맨2는 50%(300mil)이나 되거든요.. 게다가 극장주 투표 기준이면 더더욱 출연료 등은 고려사항이 아닐꺼고요. 조니 뎁이야 2010년에 아이언맨2 이상으로 흥행한 앨리스도 있으니 두 영화가 합산되었으리라고 보면 이해는 가는데 안젤리나 졸리는 동해 개봉한 '솔트'의 국내 매출 + '투어리스트'의 국내매출까지 합쳐도 로버트 다우니 주니어가 아이언맨2로 벌어들인 국내매출보다 낮고요.
    실제 전국적인 매출과 다른 결과라서 왜 저런 식으로 나왔는 지가 궁금하네요. 아이언맨2가 극장주들한테 share가 아주 불리하게 되어있는건가? 싶기도 하고요. 인용된 표현에도 box office power에 대한 가장 신뢰할 수 있는 지표라고 나와있어서 특히 중요한건 국내 박스오피스 매출일텐데.. 극장주들의 판단에 따른 결과일 뿐이다 하면 할 말은 없지만 그냥 받아들이기엔 겸연쩍은 부분이 있어서요. 말씀하신대로 극장주가 매출+배우 이름 값+캐리력등을 자율적으로 판단해서 낸 결과가 저거겠지만.. 또 개인적으로는 2010년은 조니뎁이나 안젤리나 졸리나 커리어의 쇠퇴기라고 느낄 때라서..
    구밀복검
    뭐 극장주들이 당해의 성적을 '평가'하는 투표가 아니니까요. 그런 식이었으면 <타이타닉> 나왔을 때는 디카프리오나 케이트 윈슬렛이 1위를 먹었을 테고, <아바타> 나왔을 때는 시고니 위버나 샘 워딩턴이 1위를 먹었겠지요. 그냥 그 시점에 가장 가치 있다 싶은 배우 꼽은 것이고, 그러다보니 냉정하게 당해 1월 1일부터 12월 31일까지의 박스 오피스를 산출해서 표를 던지기보다는 그냥 최근 몇 개월/몇 년 폼 보고서 잘 나간다 싶은, 작품의 흥행 결과나 브랜드나 홍보 등과 무관하게 자력적인 티켓 파워가 쎄다 싶은 ... 더 보기
    뭐 극장주들이 당해의 성적을 '평가'하는 투표가 아니니까요. 그런 식이었으면 <타이타닉> 나왔을 때는 디카프리오나 케이트 윈슬렛이 1위를 먹었을 테고, <아바타> 나왔을 때는 시고니 위버나 샘 워딩턴이 1위를 먹었겠지요. 그냥 그 시점에 가장 가치 있다 싶은 배우 꼽은 것이고, 그러다보니 냉정하게 당해 1월 1일부터 12월 31일까지의 박스 오피스를 산출해서 표를 던지기보다는 그냥 최근 몇 개월/몇 년 폼 보고서 잘 나간다 싶은, 작품의 흥행 결과나 브랜드나 홍보 등과 무관하게 자력적인 티켓 파워가 쎄다 싶은 배우를 어림잡아 골랐을 겁니다. 자연히 관성적인 경향도 있을 테고, 그렇게 생각하면 이해 못할 결과는 아니겠죠. 아 뭐 로비 같은 것도 아마 있었겠지만 그런 건 접어두고...

    안젤리나 졸리 같은 경우에는 말씀대로 그 해에 <투어리스트> 외에도 <솔트>도 있었고, <체인질링>이나 <원티드>로 성공을 거둔 이후 시간이 많이 흐르지 않았을 때이긴 합니다. 조니 뎁 같은 경우도 마찬가지로 <투어리스트> 같이 나왔고 <앨리스 인 원더랜드>가 비평적으로는 많이 까였지만 어쨌든 무지 잘 팔렸고, 다음 해에 나올 <캐리비안의 해적> 신작에 대한 기대도 반영되지 않았을까 싶고.. 그리고 로다주가 영화판 최고 스타가 된 건 <아이언 맨> 때문이긴 하지만, 당시만 해도 아이언 맨 시리즈가 MCEU 전체로 이어지는 장기 프로젝트로 이어지면서 영화판 전체를 잠식할 거라고 상상한 이들은 거의 없었으며, 과거의 히어로 무비들이 그러했듯 시간 지나면 자연스럽게 흘러갈 시리즈 정도로 여겨졌죠. 예컨대 <스파이더 맨 시리즈>는 당시 기준 기록적인 흥행을 기록한 작품이지만, 해당 영화의 주인공인 토비 맥과이어가 당시 할리웃의 탑 오브 탑이라고 여겨지진 않았지요. 그런 식의 관성적/보수적인 판단들이 투표에도 반영되었을 거라 생각합니다.
    NorthbyNorthwest
    조디포스터, 메릴스트립이 제일 먼저 떠올랐는데 순위에는 없군요. 4~5년 전 제시카 차스테인이 떠오를 때도 있던 것 같은데 지금은 어떠련지..
    구밀복검
    트리 오브 라이프-헬프-테이크 셸터-제로 다크 서티-마마-인터스텔라-마션까지 행보는 어마어마했죠. 최근은 크림슨피크와 헌츠맨 등이 성공을 거두지 못하면서 주춤..
    WisperingRain
    기네스펠트로 , 멕 라이언... 좋아했었는데 둘다 없네요 ㅋㅋㅋ
    구밀복검
    멕 라이언은 최고 5위까진 찍어봤네요(98년). 팰트로는 차트 인 한 적은 없고...금발 좋아하시는군요.
    WisperingRain
    앜ㅋㅋㅋㅋㅋ 그말듣고 생각해보니...
    좋아했던 헐리웃 여배우들이 대부분 금발이네요?

    샤를리즈 테론에 카메론 디아즈까지

    내 취향이 금발이었군요. 나도 몰랐던 취향을 찾아버렸어요 ㅋㅋㅋ
    목록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6389 영화남한산성을 보고(우리 역사 스포) 3 제주감귤 17/10/08 3878 0
    6371 영화이번 주 CGV 흥행 순위 AI홍차봇 17/10/05 3470 0
    6356 영화킹스맨 : 골든 서클 짧은 후기. (스포일러) 10 프렉 17/09/29 7159 3
    6353 영화이번 주 CGV 흥행 순위 5 AI홍차봇 17/09/28 4131 0
    6313 영화이번 주 CGV 흥행 순위 2 AI홍차봇 17/09/21 4263 0
    6279 영화이번 주 CGV 흥행 순위 3 AI홍차봇 17/09/14 4168 0
    6256 영화몇몇 퀴어 독립영화 단상. 7 tannenbaum 17/09/10 4179 2
    6242 영화이번 주 CGV 흥행 순위 AI홍차봇 17/09/07 4370 0
    6239 영화그녀(elle)의 독고구검 11 우리아버 17/09/06 4993 1
    6235 영화'애나벨-인형의 주인' 을 보고. 14 제주감귤 17/09/06 5592 0
    6219 영화홍상수 영화 주요 배우 출연표 11 구밀복검 17/09/03 6744 5
    6203 영화이번 주 CGV 흥행 순위 1 AI홍차봇 17/08/31 4093 0
    6186 영화[후기] 킬러의 보디가드 14 CathedralWolf 17/08/28 5333 0
    6156 영화이번 주 CGV 흥행 순위 AI홍차봇 17/08/24 3612 0
    6131 영화그레이스 켈리를 찾아서 15 구밀복검 17/08/20 5842 8
    6121 영화할리웃을 지배했던 여배우들 간단하게 살펴보기 39 구밀복검 17/08/17 5877 3
    6120 영화이번 주 CGV 흥행 순위 1 AI홍차봇 17/08/17 3764 0
    6107 영화덩케르크(Dunkirk)를 보고 (스포O) 6 집정관 17/08/14 5397 3
    6087 영화이번 주 CGV 흥행 순위 AI홍차봇 17/08/10 3296 0
    6053 영화오랜만에 더 씽(1982)를 봤습니다(아주짧게) 1 제천대성 17/08/03 5486 0
    6048 영화이번 주 CGV 흥행 순위 AI홍차봇 17/08/03 2753 0
    6015 영화이번 주 CGV 흥행 순위 AI홍차봇 17/07/27 2877 0
    5979 영화이번 주 CGV 흥행 순위 1 AI홍차봇 17/07/20 3728 0
    5964 영화왓챠 300개인 영린이가 쓰는 5점영화 추천글 9 이슬먹고살죠 17/07/17 5297 2
    5934 영화박열을 보고 나서(스포없음/반말주의) 3 야바래 17/07/13 4078 0
    목록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4시간내에 달린 댓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