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다양한 주제에 대해 자유롭게 글을 작성하는 게시판입니다.
Date | 17/09/12 12:04:21 |
Name | 켈로그김 |
Subject | 유리할땐 두괄식 불리할땐 미괄식. |
언젠가부터 입에 붙은 일종의 습관 내지는 방어스킬입니다. 예를 들어 '이놈은 좀 까야겠다' 싶은 경우엔 "일단 당신 요구는 택도없구요.. 블라블라... 그렇지만, 딱 이정도까지는 괜찮습니다." 반대로, 상대방의 요구를 들어줘야만 하는 경우.. 그러니까 멱살잡힌 경우엔, "요구사항 잘 알겠습니다... 블라블라.. 하지만, 사회통념 및 법률상 다 들어드리긴 어려운 점은 양해해주시길 바랍니다." 이런 식으로 이야기를 풀어나가게 됩니다. 태도나 늬앙스에 비교적 덜 영향을 받고, 상대방의 발언을 해체해서 볼 수 있는 온라인에서야 굳이 필요하거나, 그리 효과적이지 않을 수도 있지만, 일단은 이빨이 박혀야 뭐라도 할 수 있는 대면상황에서는 본능적으로 저 순서를 밟게 되더군요. ----------------------------------------------------- 두드려맞은걸로 치면 이쪽 직군도 나름 약간의 경험은 있습니다. 그 때, 저는 저희 직군을 대표하는 약사회를 보면서... 주유소에서 보일러유를 사서 약사회관에 불질러버리고 싶었;;; ...까지는 아니지만, 나름 머리도 좋고 사회경험도 있을 양반들이 왜 저러고 있는지를 당최 이해할 수가 없었습니다. 어떤 느낌이냐면.. 대략 원전 찬/반 논란에서 속칭 '원전마피아' 라는게 존재한다면, 딱 그 입장과 비슷했을거에요. "원전은 안전합니다 여러분" 을 아무리 외쳐봤자 의미가 없는게, "아니아니. 사람들은 원전이 아니라 니들을 못믿는거라고" 라는 핀잔만 듣는거죠. 무슨 앵무새도 아니고 "저희는 약의 전문가입니다" 이거만 반복하고 있으니.. 차라리 그 자리엔 약사회 임원이 아니라 CD플레이어를 앉혀놨으면 더 잘했지 싶습니다. ------------------------------------------------------- 특정 직군에 대한 압력, 공격, 비난 등이 발생할 때, 제 기억으로는 대부분 그 직군의 대표자들의 화법은 두괄식이었습니다. 변명 및 자신에게 유리한 당위와 명분을 주구장창 떠드는거죠. 두괄식이 아니라 답정너라고 해야할까요... "우리는 ~~한 전문성과 역사적 사명을 띠고 어쩌구저쩌구..." 사람들은 이런 말을 듣고싶은게 아니라는게 문제죠. 몰라서 욕하는 것도 아니고. 이 세대에 그걸로 밥을 벌어먹고 있는 니들이 그 FM을 안지키고 있다고 욕하는거 아니겠습니까. 저는 그렇게 이해합니다. 이번 교대 일에 갖다대보면, "임용양극화라는 상황을 만든 한 축으로서 막지못한 것에 책임을 느낍니다... ~~~ 하지만, 저희 역시 행복을 추구할 권리가 있는 개인에 불과하고, 개개인이 가진 교육에의 전문성 및 사명만으로는 거시적인 정책만큼의 효과를 가지지 못합니다. 정부도 함께 노력해주길 바랍니다" 이런 식이 되겠죠. 진짜로 하고싶은 말 - 나쁘게 말하면 변명 - 을 말하기 이전에 먼저 책임과 한계에 대하여 어차피 두드려맞을만큼은 자진납세를 하는 것이 저는 정치적으로 효과적이라고 생각합니다. 저 개인의 자영업 경험도 그러하지만, 동아리, 동호회, 커뮤니티를 짧게나마 운영해 본 경험에서도 그러합니다. 요즘은요 엘리베이터에서 똥을 싸도 전국민이 한마디씩 욕하는 세상입니다. 학우 책상서랍에 똥을 싸고도 어디서나 당당하게 걸어다녔던 예전이 아니에요. 눈 앞의 상대에게 한 수 접는게 문제가 아니라는거죠. 점수를 따려면 자진납세를 미리 하는 것도 전략적으로 충분히 의미가 있다고 생각합니다. ----------------------------------------------------------- 뭐.. 제가 디테일한 실상을 모르는 것도 있고, 나이에 맞게 순진한 생각을 갖고 사는걸지도 모르고.. 일반화시켜 통용될만큼 설득력 있는 이야기가 아니라는건 저도 잘 알고 있습니다. 다만, 그냥 평소에 하던 생각을 나눠보고 싶었습니다. 5
이 게시판에 등록된 켈로그김님의 최근 게시물
|
사실 관련자분도 계시고 해서 굳이 더 얘기 안 하려고 했습니다만, 발제가 되어서 다같이 의견을 공유해보자는 심정으로 저도 뭐 제 생각을 말해보자면 Beer Inside 님이 말씀하신대로 교대생들의 사회화가 아직 안 되었다는 의견에 공감합니다. 현실감각이 없다고 해야 할까요. 물론 이 부분은 교대 안이라는 특수한 환경에서 기인하는 면이 크겠지요. 켈로그김님이 말씀하신대로 현재 지역간의 교육격차가 사회문제로 부각되는 시점입니다만, 이에 대한 반성의 목소리는 크지 않다는 점, 그리고 그 해결책을 제시하는 게 1순위가 아니라는 점이... 더 보기
사실 관련자분도 계시고 해서 굳이 더 얘기 안 하려고 했습니다만, 발제가 되어서 다같이 의견을 공유해보자는 심정으로 저도 뭐 제 생각을 말해보자면 Beer Inside 님이 말씀하신대로 교대생들의 사회화가 아직 안 되었다는 의견에 공감합니다. 현실감각이 없다고 해야 할까요. 물론 이 부분은 교대 안이라는 특수한 환경에서 기인하는 면이 크겠지요. 켈로그김님이 말씀하신대로 현재 지역간의 교육격차가 사회문제로 부각되는 시점입니다만, 이에 대한 반성의 목소리는 크지 않다는 점, 그리고 그 해결책을 제시하는 게 1순위가 아니라는 점이 교대생들의 주장에 공감을 받지 못하는 것 같습니다. 결국 인원 맞춰서 교대생 뽑아놨더니 다 도시로만 가려고 한다. 그럼 이 격차와 불균형은 어떻게 해소해야 하냐? 라는 점에 대한 대답이 없다는 거죠.(물론 제가 모르는 사이 있었을 수도 있습니다만 적어도 주류 의견이 아니라는거죠.)
그리고 이 상황을 해결함에 있어 국가직 공무원에서 시행되는 것 처럼 통합선발후 순환근무가 그렇게 당위성이 떨어진다고 생각하진 않습니다. 시골이라면 뭐 어디 산골짜기나 도서 생각하시는 분들이 많은 것 같은데 대부분 읍, 면 소재지 학교이고 이런 곳은 젊은 분들도 많고 사람도 많이 삽니다. 그것도 아니라면 아예 지방직으로 돌려서 교육청 내에서 자체적인 기준으로 선발하도록 하는 게 맞겠죠.
그리고 이 상황을 해결함에 있어 국가직 공무원에서 시행되는 것 처럼 통합선발후 순환근무가 그렇게 당위성이 떨어진다고 생각하진 않습니다. 시골이라면 뭐 어디 산골짜기나 도서 생각하시는 분들이 많은 것 같은데 대부분 읍, 면 소재지 학교이고 이런 곳은 젊은 분들도 많고 사람도 많이 삽니다. 그것도 아니라면 아예 지방직으로 돌려서 교육청 내에서 자체적인 기준으로 선발하도록 하는 게 맞겠죠.
목록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