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다양한 주제에 대해 자유롭게 글을 작성하는 게시판입니다.
Date 17/09/12 12:04:21
Name   켈로그김
Subject   유리할땐 두괄식 불리할땐 미괄식.

언젠가부터 입에 붙은 일종의 습관 내지는 방어스킬입니다.

예를 들어 '이놈은 좀 까야겠다' 싶은 경우엔
"일단 당신 요구는 택도없구요.. 블라블라... 그렇지만, 딱 이정도까지는 괜찮습니다."
반대로, 상대방의 요구를 들어줘야만 하는 경우.. 그러니까 멱살잡힌 경우엔,
"요구사항 잘 알겠습니다... 블라블라.. 하지만, 사회통념 및 법률상 다 들어드리긴 어려운 점은 양해해주시길 바랍니다."

이런 식으로 이야기를 풀어나가게 됩니다.
태도나 늬앙스에 비교적 덜 영향을 받고, 상대방의 발언을 해체해서 볼 수 있는 온라인에서야 굳이 필요하거나, 그리 효과적이지 않을 수도 있지만,
일단은 이빨이 박혀야 뭐라도 할 수 있는 대면상황에서는 본능적으로 저 순서를 밟게 되더군요.

-----------------------------------------------------

두드려맞은걸로 치면 이쪽 직군도 나름 약간의 경험은 있습니다.

그 때, 저는 저희 직군을 대표하는 약사회를 보면서... 주유소에서 보일러유를 사서 약사회관에 불질러버리고 싶었;;;
...까지는 아니지만, 나름 머리도 좋고 사회경험도 있을 양반들이 왜 저러고 있는지를 당최 이해할 수가 없었습니다.

어떤 느낌이냐면.. 대략 원전 찬/반 논란에서 속칭 '원전마피아' 라는게 존재한다면, 딱 그 입장과 비슷했을거에요.
"원전은 안전합니다 여러분" 을 아무리 외쳐봤자 의미가 없는게,
"아니아니. 사람들은 원전이 아니라 니들을 못믿는거라고" 라는 핀잔만 듣는거죠.

무슨 앵무새도 아니고 "저희는 약의 전문가입니다" 이거만 반복하고 있으니..
차라리 그 자리엔 약사회 임원이 아니라 CD플레이어를 앉혀놨으면 더 잘했지 싶습니다.

-------------------------------------------------------

특정 직군에 대한 압력, 공격, 비난 등이 발생할 때,
제 기억으로는 대부분 그 직군의 대표자들의 화법은 두괄식이었습니다.
변명 및 자신에게 유리한 당위와 명분을 주구장창 떠드는거죠. 두괄식이 아니라 답정너라고 해야할까요...

"우리는 ~~한 전문성과 역사적 사명을 띠고 어쩌구저쩌구..."

사람들은 이런 말을 듣고싶은게 아니라는게 문제죠. 몰라서 욕하는 것도 아니고.
이 세대에 그걸로 밥을 벌어먹고 있는 니들이 그 FM을 안지키고 있다고 욕하는거 아니겠습니까.
저는 그렇게 이해합니다.

이번 교대 일에 갖다대보면,
"임용양극화라는 상황을 만든 한 축으로서 막지못한 것에 책임을 느낍니다... ~~~ 하지만, 저희 역시 행복을 추구할 권리가 있는 개인에 불과하고, 개개인이 가진 교육에의 전문성 및 사명만으로는 거시적인 정책만큼의 효과를 가지지 못합니다. 정부도 함께 노력해주길 바랍니다" 이런 식이 되겠죠.

진짜로 하고싶은 말 - 나쁘게 말하면 변명 - 을 말하기 이전에 먼저 책임과 한계에 대하여 어차피 두드려맞을만큼은 자진납세를 하는 것이
저는 정치적으로 효과적이라고 생각합니다.
저 개인의 자영업 경험도 그러하지만, 동아리, 동호회, 커뮤니티를 짧게나마 운영해 본 경험에서도 그러합니다.

요즘은요 엘리베이터에서 똥을 싸도 전국민이 한마디씩 욕하는 세상입니다.
학우 책상서랍에 똥을 싸고도 어디서나 당당하게 걸어다녔던 예전이 아니에요.
눈 앞의 상대에게 한 수 접는게 문제가 아니라는거죠.
점수를 따려면 자진납세를 미리 하는 것도 전략적으로 충분히 의미가 있다고 생각합니다.

-----------------------------------------------------------

뭐.. 제가 디테일한 실상을 모르는 것도 있고,
나이에 맞게 순진한 생각을 갖고 사는걸지도 모르고..
일반화시켜 통용될만큼 설득력 있는 이야기가 아니라는건 저도 잘 알고 있습니다.

다만, 그냥 평소에 하던 생각을 나눠보고 싶었습니다.



5
  • 강추


벤젠 C6H6
공감이 가요. 상대방의 입장과 생각을 먼저 경청하고 / 이해하려는 성의를 보이고 그 후에야 내 의견을 말하겠다-라는 느낌("나도 내가 이렇다는 점은 알고 있어!")을 준달까요?

불리할 때는 내 약점을 미리 자진납세(?)하는 편이 좋아요. 제가 저를 스스로 먼저 때리는 꼴을 보이면 대화하는 상대방은 그런 저를 굳이 또 때리고 싶지는 않아하더군요 대체로.. 물론 그래도 사정없이 저를 때릴 수도 있겠지만 흑흑
켈로그김
결과적으로는 강점-약점에 대한 언급을 다 하게 되더라도,
대화 자체가 성립이 되느냐/않느냐를 고려를 하는게 필요하죠.
특히 여러명의 밥줄이 달린 정치가 되어버리면, 내부보호에 너무 몰두하여 외부를 적으로 돌리는 경우가 많이 보이는데,

...안타깝게 생각합니다.
물론, 반대로 제가 지나치게 순진해서 모르는 부분이 있을 가능성도 반쯤은 되겠지만..
벤젠 C6H6
사람의 감정 교환 및 공감의 성립 조건만큼 delicate한 것이 없고, 일단 그 어떤 대화라도 그 담화 당사자들의 마음이 상한 상태라면 좋은 생산적인 방향으로 그 말이 진행될 수 없다고 생각해요.

어찌보면, 전공 지식이나 현상파악을 위한 팩트 그 자체보다 그 지식과 팩트의 교환 양태(커뮤니케이션 관련)에 대한 학습이 더 중요해보일 때도 있는데, 우리나라 교육이 진중하게 토론하는 자세라든지 함께 모여서 연구하는 자세라든지 등등에 대해서 잘 가르치는 것 같지가 않은데 그것이 이에 관련되지 않나 싶고..
켈로그김
외판원을 3개월씩 시켜보면 전문직의 커뮤니케이션 능력이 상승할겁니다 ㅋㅋㅋ
우주최강워리어
사실 관련자분도 계시고 해서 굳이 더 얘기 안 하려고 했습니다만, 발제가 되어서 다같이 의견을 공유해보자는 심정으로 저도 뭐 제 생각을 말해보자면 Beer Inside 님이 말씀하신대로 교대생들의 사회화가 아직 안 되었다는 의견에 공감합니다. 현실감각이 없다고 해야 할까요. 물론 이 부분은 교대 안이라는 특수한 환경에서 기인하는 면이 크겠지요. 켈로그김님이 말씀하신대로 현재 지역간의 교육격차가 사회문제로 부각되는 시점입니다만, 이에 대한 반성의 목소리는 크지 않다는 점, 그리고 그 해결책을 제시하는 게 1순위가 아니라는 점이... 더 보기
사실 관련자분도 계시고 해서 굳이 더 얘기 안 하려고 했습니다만, 발제가 되어서 다같이 의견을 공유해보자는 심정으로 저도 뭐 제 생각을 말해보자면 Beer Inside 님이 말씀하신대로 교대생들의 사회화가 아직 안 되었다는 의견에 공감합니다. 현실감각이 없다고 해야 할까요. 물론 이 부분은 교대 안이라는 특수한 환경에서 기인하는 면이 크겠지요. 켈로그김님이 말씀하신대로 현재 지역간의 교육격차가 사회문제로 부각되는 시점입니다만, 이에 대한 반성의 목소리는 크지 않다는 점, 그리고 그 해결책을 제시하는 게 1순위가 아니라는 점이 교대생들의 주장에 공감을 받지 못하는 것 같습니다. 결국 인원 맞춰서 교대생 뽑아놨더니 다 도시로만 가려고 한다. 그럼 이 격차와 불균형은 어떻게 해소해야 하냐? 라는 점에 대한 대답이 없다는 거죠.(물론 제가 모르는 사이 있었을 수도 있습니다만 적어도 주류 의견이 아니라는거죠.)

그리고 이 상황을 해결함에 있어 국가직 공무원에서 시행되는 것 처럼 통합선발후 순환근무가 그렇게 당위성이 떨어진다고 생각하진 않습니다. 시골이라면 뭐 어디 산골짜기나 도서 생각하시는 분들이 많은 것 같은데 대부분 읍, 면 소재지 학교이고 이런 곳은 젊은 분들도 많고 사람도 많이 삽니다. 그것도 아니라면 아예 지방직으로 돌려서 교육청 내에서 자체적인 기준으로 선발하도록 하는 게 맞겠죠.
켈로그김
저도 사회화 의견에는 동의합니다.
그리고 동종업계에서 비슷한 경우를 본 기시감에 반갑기까지 합니다(...)
말씀하신 해결방법은 저도 무난하다고 생각합니다. 당사자들은 어떻게 받아들일지 모르니.. 제가 어떻게 느끼는가는 상관이 없겠지만;;

저는 단체를 대표하는 사람, 혹은 공식적인 성명이라고 한다면
근본적인 레벨에서 최대한 겸손한 시각으로 한 번 사안을 돌아보는 것이 좋다고 생각합니다.
옳고/그름 이런걸 다 떠나서 정치적으로 효과적이라고 생각하기 때문에..
Beer Inside
식약처장을 배출한 약사회를 불지르고 싶어하신다니......
켈로그김
그 식약처장은 특별히 오래 타는 나무에 높이 메달아둬야 할 것입니다..
Erzenico
약사회는 일을 나름대로 열심히 하는 곳이라고 생각했는데...
켈로그김
부실경영같은거죠.
계속적으로 적을 만들고 약점을 노출시키고 부실한 부분에 대해서 보수작업을 등한시하고 매출만 올리면 장땡이다 마인드로..
중간에 똥 이야기는 자진납세에 대한 자기인용을 하는 명문이네요.
켈로그김
역시 생활화가 되어있다는 것입니다 ㅋ
2막4장
아버지가 실질적인 경영, 누님이 약사 노동자?로 아버지 밑에서 근무한 세월이 10년이 넘었는데
아버지가 약사회는 전투력이 부족하다며 늘 까십니다
특히 저 [위풍당당]한 의사회를 보라며..
저는 그냥 일개 회사원일 뿐이지만ㅎㅎ
얘기 들어보면 잼있는게 종종 있어요~
목록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11353 일상/생각술도 못먹고.. 2 켈로그김 21/01/19 3951 6
11275 정치정치 스트레스에서 벗어나고픈 이기심 99 켈로그김 20/12/25 7335 27
10920 일상/생각술 쫌 취했어요. 27 켈로그김 20/09/03 5498 22
10821 일상/생각2차를 앞두고 서둘러 남기는 생각;;;; 4 켈로그김 20/07/27 4659 9
10556 일상/생각나는 내가 바라는 사람이 되어가고 있는가. 9 켈로그김 20/05/06 4562 31
9447 의료/건강문득 생각난 약국 이야기 6 켈로그김 19/07/17 5661 5
9428 의료/건강문득 생각난 파스 고르는 팁 18 켈로그김 19/07/11 6182 19
7487 육아/가정어린이날 맞이 육아이야기 3 켈로그김 18/05/05 5937 5
7410 육아/가정아내가 내게 해준 말. 15 켈로그김 18/04/19 6524 29
6915 일상/생각타미플루의 추억;; 14 켈로그김 18/01/08 4297 2
6349 일상/생각삐딱했었구나... 싶습니다. 20 켈로그김 17/09/27 4666 7
6265 일상/생각유리할땐 두괄식 불리할땐 미괄식. 13 켈로그김 17/09/12 6037 5
6091 일상/생각하루의 재구성 6 켈로그김 17/08/10 4185 6
5988 일상/생각타 사이트 무단전제로 게시물 삭제 35 켈로그김 17/07/21 7444 19
5819 일상/생각나는 영재였던가..? 30 켈로그김 17/06/21 5205 10
4404 일상/생각노래로 얻는 교훈.. 그리고 근황;; 5 켈로그김 16/12/17 4079 0
3625 일상/생각손 한번 잡아보자. 54 켈로그김 16/09/01 4963 3
3511 문화/예술내 생에 최고의 한 곡 7 켈로그김 16/08/14 4748 3
3279 생활체육누구한테 배웠냐면.. 31 켈로그김 16/07/16 7677 0
3121 일상/생각3600마리의 닭, 360개의 엔진, 30명의 사람. 2 켈로그김 16/06/25 4303 11
2696 일상/생각약국에서 환자 심신의 안정을 위해 듣는 음악. 9 켈로그김 16/04/27 4372 1
2520 의료/건강약국 3대. 39 켈로그김 16/04/01 5007 0
2115 일상/생각등가교환의 법칙 7 켈로그김 16/01/25 4597 0
1838 요리/음식냉장고를 부탁해. 18 켈로그김 15/12/22 7007 4
861 일상/생각여러분께 좋은 사업모델을 소개해드리려 합니다. 31 켈로그김 15/08/28 4578 0
목록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4시간내에 달린 댓글

댓글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