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다양한 주제에 대해 자유롭게 글을 작성하는 게시판입니다.
Date 17/11/24 08:56:43
Name   구밀복검
Subject   2012년으로 돌아가 살펴보는 이국종의 정치성
이국종 교수의 '비정치적' 자세에 대해 설왕설래가 왕왕 있습니다만...제가 보기엔 이분이 초지일관 정치에 관심을 안 두신 것도 아니고 그 중요성을 모를 분도 아니라 봅니다. 그보다는 싹수가 노랗다 싶으니 기대를 안 하는 것에 가깝다 싶네요. 이는 2012년 이른바 이국종법이라 불리우는 응급의료법 개정안 때를 돌이켜보면 알 수 있습니다. 이때 바로 중증 외상 센터 설립이 걸려 있었던지라 꽤 강경하게 자기 주장을 폈지요.

http://www.joongboo.com/news/articleView.html?idxno=785284
"중증외상센터만 설립해주면 옥쇄할 각오"

http://news.donga.com/Society/3/03/20120505/46013562/1
"의사들도 이번에는 죽을 각오로 따내야 합니다. 정말 이번에는…."
"중요한 것은 돈이 아니라 ‘의지’입니다. 2009년 응급의료선진화 기금이 추가로 조성될 때만 해도 곧 중증외상센터가 생길 것으로 기대했습니다. 그러나 달라진 것은 없습니다. 10년 전에는 돈이 없어 중증외상센터를 못 지어준다고 했는데, 돈이 있어도 안 만들어 준 거죠. 이번에는 기대해도 될까요?"

이때 어깃장 놓는 최재천에게 일갈한 적도 있었고요 ㅋㅋ

http://www.joongboo.com/news/articleView.html?idxno=785996
"최 무슨 당선자 분이 하시는게 비아냥 거리면서 '국회에다 그러지 말고 그거 정부에나 가서 따져' 이런 식으로 트위터질을 올리고 있더라고요. 트위터질 한다고 하죠. 나꼼수 그런 애들처럼. 그 사람 개념이 없는 거에요. 저를 다시 일하게 한 것이 지네 민주당 강기정 의원실부터 국회의원 보좌관들 7명이었다는 거 모르고요. 법사위에서 썩어가고 있는 법이 자기네 당 중진인 주승용 의원실에서 발의한 법인지 그것도 몰라요. 개념도 없어요. 그 사람 입법기관 19대 갈거에요. 그리고 선생님들과 제가 내는 세금 20억원 퍼먹을 것이에요. 그 사람은 무슨 생각을 하냐면 석해균 선장이나 저 같은 사람, 이명박 정부에 공을 세운 사람이기 때문에 한나라당(새누리당) 라인인 줄 생각할 거에요. 제 기사 중에서 제일 크게 나갔던 게 한겨레21의 삶과 죽음에 대한 불평등에 관한 보고서다. 심층기획기사로. 그런거 보지 않을 거에요. 난독증이 있어 가지고. 그분이 시정 잡배가 아니잖아요. 19대 가면 그분이 하나가 입법기관이 되잖아요. 대한민국의 입법기관이잖아요. 유지비를 따져야죠. 한 분 유지비가 20억들어간다고 들었어요. 일년에 맞나요? 인건비만 보좌관까지 다해서 10억 들어가고 나머지 여의도의 그 비싼 건물에 상가 임대료 감가삼각 치면은 20억 들어가는데 저희들의 세금으로 유지비를 대는 거에요."

신랄하기도 신랄한데, 그걸 떠나서 이국종 교수가 정치권의 역학관계에 눈이 어두운 사람이 아니란 것을 잘 알 수 있는 대목이죠. '한나라당 라인인 줄 생각할 거'라는 표현 같은 것도 그렇고요.

이 즈음의 총체적인 시각을 잘 보여준 기사로는 다음과 같은 것이 있습니다. 너무 길어 인용은 생략합니다.
http://www.joongboo.com/news/articleView.html?idxno=786161

여하간 우여곡절 끝에 법안은 통과가 됩니다만, 정작 이국종 교수가 재직하고 있던 아주대는 메이저 병원들과의 경쟁에서 패배하여 권역 외상 센터 설립 대상에서 제외되죠. 내부자도 아니고 의료 행정 지식도 없는지라 이게 합리적인 조처였는지 어떤지는 모르겠지만 여하간 여러가지 '정치적' 문제가 걸려 있었다는 것은 쉬 짐작할 수 있죠.

http://news.chosun.com/site/data/html_dir/2012/11/02/2012110200792.html?Dep0=twitter&d=2012110200792
"선정된 5개 병원은 권역외상센터 지정요건과 기준을 충족하면 내년 말쯤 최종적으로 권역외상센터로 지정받게 된다. 이 병원들은 또 외상전용 중환자실·수술실·입원병상 확충 등 외상전용 시설장비 도입에 80억원, 외상전담 전문의를 최대한 23명까지 충원할 수 있게 매년 7억~27억원을 지원받게 된다."

이때 숟가락 깨나 얹었던 것이 김문수입니다. 경기도지사로서 아주대를 밀고 있던 김문수는 이국종 교수를 앞세워 대대적으로 선정 결과를 비난했죠. 그리고 이게 뜬금없는 것도 아니었고, 사실 김문수는 경기도지사로서 이국종 교수와 꾸준히 연계해온 바가 있죠. 양쪽 모두 상호가 목적에 부합했을 테니까요. 김문수 입장에선 그럴 듯한 업적거리였을 것이고, 이국종 교수 입장에선 행정적 지원을 확보할 수 있는 연대 대상이었겠죠. 예산도 어차피 다 경기도에서 나오는 거니까.

http://www.newdaily.co.kr/news/article.html?no=75595
"최근 경기도와 아주대병원이 도입한 중증외상환자 살리기 프로젝트..이 사업을 처음 제안한 사람은 석해균 선장을 치료한 이국종 박사. 그래서 '석해균 프로젝트'로 불린다...이 박사의 간곡한 요청에 김문수 경기지사는 두 팔을 걷고 지원을 약속했다. 석 선장이 되살아나는 모습을 보고 대형병원이 부족한 경기도에 꼭 필요한 사업이라고 생각해 적극 지원을 지시했다고 한다."

http://news.chosun.com/site/data/html_dir/2012/11/02/2012110202285.html?Dep0=twitter&d=2012110202285
김 지사는 이날 성명서를 통해 "경기도는 2011년 1만9천252명에 이르는 국내 중증외상환자 중 30%를 차지하는 중증외상환자 발생 다발 지역" 이라며, "한 사람의 생명이라도 더 구하고자 지난 2011년부터 석해균 프로젝트를 추진, 현재까지 모두 100여명의 생명을 구했다"고 말했다. 이어 김 지사는 "이런 경기도의 노력과 상황에도 불구하고, 이번 중증외상센터 선정에서 경기도가 제외된 것을 도저히 납득할 수 없다"며 "심사위원의 명단과 평가결과 자료를 국민에게 투명하게 공개할 것"을 촉구 했다.

하지만 모르긴 몰라도 이국종 교수 입맛은 꽤 썼을 겁니다. 이국종 교수답지 않게 '도민 여러분' '경기도'같은 표현을 쓰며 인터뷰로 사정 사정해야 했던 시기죠. 위에서 인용한 '그 사람은 무슨 생각을 하냐면 석해균 선장이나 저 같은 사람, 이명박 정부에 공을 세운 사람이기 때문에 한나라당(새누리당) 라인인 줄 생각할 거에요'라는 발언이 보다 의미심장하게 느껴지지요.

http://www.joongboo.com/news/articleView.html?idxno=817842
"경기도 전체 의료 중증외상환자 치료체계 발전을 위해 나름 처음부터 모든 게 만족스럽지는 않지만 굉장히 노력을 많이 했다고 생각하는 데, 10년이 지나고 나니까 조금 조금씩 뿌리가 내려가고 있었는 데 그런 것에 대해서 별로 고려가 안된 점이 있는 것 같아서 굉장히 아쉽게 생각합니다. 경기도와 경기도의회에서는 사립의료기관이지만 많은 지원을 해주셨는데… 도민 여러분께 큰 심려를 끼쳐드리게 되어서 진심으로 죄송스럽게 생각합니다."

공교롭게도 김문수는 어제 기회는 찬스다 싶었는지 김종대를 두들겼지요 ㅎㅎ
http://www.bluetoday.net/news/articleView.html?idxno=17168

여하간 시간이 지난 뒤 아주대 병원에도 결국 권역 외상 센터가 들어가긴 합니다만, 이때 있었던 일련의 건들을 겪으며 이국종 교수가 한층 더 냉담해지지 않았나 합니다. 꽤나 쌓인 것도 많았을 테고요.

http://www.hani.co.kr/arti/society/health/813121.html
"정부에서 재정 지원한다니까 당장 자기네 지역에 외상센터 안 지어주면 수많은 환자가 피 흘리고 죽어갈 거라고 사업계획서 거창하게 만들어 올렸단 말이에요. 그런데 막상 외상센터 지정되고 지원금 받으면서부터는 환자가 없다고 배 째라 해요. 하루 한 명이 오든 100명이 오든 받는 지원금은 똑같으니."

"선생님, 말씀 중에 죄송한데요. 저한테 잘못 오신 것 같아요...생명을 살리네 어쩌네 하는 생각을 하고 있으면 오히려 이 일을 하루도 못 하죠. ‘내가 이렇게 위대한 일을 하는데 세상이 나한테 왜 이러지?’ 그런 생각이 들 거 아녜요? 의사가 헬기 동승하는 거, 의료보험 수가 10원도 안 잡혀요. 저희는 성과급도 거의 없어요. 의료보험 적자 난다고 월급이 깎이기도 하고요. 전 그냥 일로 생각하고 하는 거예요. 선생님은 저를 잘 모르시는군요...제가 이 정도인 걸 모르시고, 너무 좋게 생각하시는 것 같아요. 저 이거밖에 안 되는 사람이에요. 밖에서도 쓰레기, 안에서도 쓰레기. 다들 절 싫어해요....시끄럽다고. 나만 없으면 ‘에브리바디 해피’한데 자꾸 시끄럽게 한다고요."

끝으로 6년 전 석해균 선장 건 직후의 조선일보 인터뷰. 하지만 마치 어제 인터뷰한 것마냥 앞날을 예고하는 듯 하죠.

http://news.chosun.com/site/data/html_dir/2011/03/11/2011031101859.html?Dep0=twitter&d=2011031101859
"[중증외상·응급센터에 대한 정부나 사회 관심이 4~5년 주기로 왔다가 사그라지더라. 이젠 좀 지쳤다. 변하는 게 별로 없으니까.] 의욕적이던 보건복지부 담당자들도 자주 바뀌어 어렵다. 게다가 사회취약층인 외상환자들을 위해 정부지원이 있을 예정이라고 하면 이익집단이 끼어든다...너무 힘들어 한때 해외취업난만 계속 찾아보던 때가 있었다. 심지어 블랙워터(세계 최대 용병회사·현재 XE)에 취직할까 생각한 적도 있었다니까. 최소한 외상외과에 대한 수요와 존중이 있는 곳에서 일하고 싶었다."

이미 6년 전에 기대를 접었던 사람이 다음 해에 우연히 찾아온, 혹시나 싶은 기회에 발을 들여놓았다가 여론과 정치에 시달리고 본인 스스로도 휘둘리고, 어울리지 않는 옷을 입게 되고...그런 경험을 한 이상 과거보다 더 세상에 대해서나 스스로에 대해서나 회의적이지 않을까 싶습니다. 말이 말을 낳으며 허상이 실상을 지워버리고 본인의 언행과 의도와 목적이 모조리 굴절되는 허무함을 더 겪고 싶지 않겠죠.

http://www.asiae.co.kr/news/view.htm?idxno=2012082209584703059
격분한 이국종 교수 "내가 리베이트 의사인가"



8


    유리소년
    입장을 대변할 전문가가 국회에서 드라이브를 걸지 않는이상 정치권의 정책이야 국민정서 따라가는건데
    인터넷 여론이 아니라 오프라인 여론 보면 아직 기상천외한 반응이 많죠

    '저렇게 사명감 갖고 열심히 일하는 훌륭한 명의 선생님들이 더 많아져야 되는데..'
    아니 더 많아지면 안되지!
    구밀복검
    이번 건에서 이국종 교수가 특별히 언급했던 허윤정 아주대 교수가 이국종 교수와 연이 깊죠. 문케어에 들어가 있던데 정책 진척 상황이 어떤지는 의알못이라 잘 모르겠네요.
    http://www.rapportian.com/news/articleView.html?idxno=105723

    ... 더 보기
    이번 건에서 이국종 교수가 특별히 언급했던 허윤정 아주대 교수가 이국종 교수와 연이 깊죠. 문케어에 들어가 있던데 정책 진척 상황이 어떤지는 의알못이라 잘 모르겠네요.
    http://www.rapportian.com/news/articleView.html?idxno=105723

    http://shindonga.donga.com/3/all/13/728135/2
    "석 선장을 한국으로 이송해야 하는데 에어 앰뷸런스(응급의료 전용기)를 구할 수가 없었습니다. 오만에 함께 간 김지영 간호사가 스위스 업체에다 ‘대통령 특사’라고 거짓말을 해서 간신히 에어 앰뷸런스를 확보했습니다. 사람부터 살려야 하니 대통령 지시를 받았다고 속인 거죠. 그런데 에어 앰뷸런스를 이용할지 말지를 1시간 내에 확정하라는 겁니다. 그때 5개 정부 부처가 오만에 나와 있었는데 서울 시각이 오전 3시라면서 우왕좌왕하는 거예요. 비용이 37만 달러였는데 제멋대로 에어 앰뷸런스를 보내라고 했습니다. 김 간호사는 ‘4억 원 넘는 돈을 우리가 어떻게 책임지냐’며 전전긍긍하다 그 시각에 허윤정 당시 야당 소속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전문위원에게 전화했어요. 야당이 아덴만 작전이 성급했다면서 국정조사를 하겠다고 벼를 때인데, 허 위원은 ‘야당이고 여당이고 사람부터 살려야 한다’면서 여당의 원희목 의원에게 전화했고, 원 의원이 청와대와 우리 쪽을 연결해 핫라인이 구축됐습니다. 대통령 정무수석이던 정진석 의원이 저한테 전화를 걸어왔을 때를 또렷하게 기억해요. ‘청와대 정진석 정무수석입니다. 지금부터 상황을 제가 통제합니다’라던 음성까지 떠오릅니다."
    Beer Inside
    기본적으로 외상이라는 것이 전 세계적으로 돈이 되지 않아서 발생하는 문제입니다.

    인력은 많이 들어가고, 언제 발생할지 모르니 대기 인력 및 야근 수당 까지 생각하면 얼마나 돈을 쌓아 놓아야 할지 알수 없는 분야이기도 하구요.

    그래서 외국에는 평상시에는 아예 야간에는 수술을 하지 않는 병원도 존재합니다.

    밤중에 발생하는 응급은 모두 응급센터 또는 외상센터로 보내 버리는 것이지요.

    일을 많이 하면 돈이 벌리는 것 같으면 너도 나도 사람을 뽑아서 24시간 돌리겠지만 그렇지 못하니까요.

    거기에 외상센터는... 더 보기
    기본적으로 외상이라는 것이 전 세계적으로 돈이 되지 않아서 발생하는 문제입니다.

    인력은 많이 들어가고, 언제 발생할지 모르니 대기 인력 및 야근 수당 까지 생각하면 얼마나 돈을 쌓아 놓아야 할지 알수 없는 분야이기도 하구요.

    그래서 외국에는 평상시에는 아예 야간에는 수술을 하지 않는 병원도 존재합니다.

    밤중에 발생하는 응급은 모두 응급센터 또는 외상센터로 보내 버리는 것이지요.

    일을 많이 하면 돈이 벌리는 것 같으면 너도 나도 사람을 뽑아서 24시간 돌리겠지만 그렇지 못하니까요.

    거기에 외상센터는 대부분의 종합병원에서는 찬밥입니다.

    정부의 지원이라고 해도 실제로 기계 몇개 사고 사람 몇명 월급 주면 끝인데, 지원은 한시적입니다.

    한시적 지원을 바탕으로 문을 여는 순간 적자가 되는 시설을 아무도 반기지는 않습니다.

    결국 외상센터는 이러한 분위기 속에서 대부분의 국립대병원에 만들어지고 있지요.
    구밀복검
    ㅎㅎ 뭐 냉소적으로 접근하는 사람들은 '외상에 들일 자원을 다른 데에 들이면 그게 더 효용 높고 사람 더 많이 살린다'고 하겠죠. 그게 일면 맞기도 하고..
    Beer Inside
    냉소적 접근이라기 보다는 자본주의적인 접근이지요.

    미국도 외상은 각종 지원과 제약회사 및 의료기구 개발사들의 연구비로 먹고 사는 것 같으니까요.

    외상이 제대로 되려면 중환자실이 돈을 버는 곳이 되어야하는데, 지금의 중환자실 제도는 그냥 족쇄라서 저는 중환자를 빠져나왔습니다.
    저희 지역도 지난번에 보니 카운티 병원이라고 지역의 국립/정부병원 같은 곳이 외상센터 역할을 하더라구요. 의외로 보험 문제 때문에 쉽게 일반 병원에서 할 수 있는 것이 아닌것 같아요.
    레지엔
    실물정치에 발 들이지 않는 점에서 비정치적인 것이지 미디어 활용 등에서 탈정치적인 분은 아니죠. 놀라울 정도의 자제력이 아닌가 싶을 때도 있지만 그냥 피로감에 휩싸인채로 대응하는 것 아닌가 싶기도 하고...
    1
    CONTAXS2
    정책은 결국 정치를 통해 구현되니까.. 정책에 휘둘린 사람은 어떤 형태로든 정치적 행위를 해야만 하겠죠.
    건설업도 임원들은 전부 정치탓을 ..ㅋㅋㅋ
    절름발이이리
    그런듯
    레지엔
    이국종 교수 브리핑과 질답 적어놓은 기사가 있는데 흥미로운 지점이 있습니다.

    http://m.news.naver.com/read.nhn?mode=LSD&mid=sec&sid1=100&oid=020&aid=0003110074

    (문) 청와대 7만 청원 어떻게 생각하시나? 응원한다는 내용이다.
    (답) 예산 생겨도 중간에 다 빼갈텐데 뭐.

    (문) 병원장에게 스트레스 받은 ... 더 보기
    이국종 교수 브리핑과 질답 적어놓은 기사가 있는데 흥미로운 지점이 있습니다.

    http://m.news.naver.com/read.nhn?mode=LSD&mid=sec&sid1=100&oid=020&aid=0003110074

    (문) 청와대 7만 청원 어떻게 생각하시나? 응원한다는 내용이다.
    (답) 예산 생겨도 중간에 다 빼갈텐데 뭐.

    (문) 병원장에게 스트레스 받은 이유가 뭔가.
    (답) 환자 정보가 전혀 새나가지 않게 하기로 했는데 주의하라고 화를 좀 냈다. 병원장 순환기내과다. 신장동맥에 인텐트 넣는 사람. 하지 말라고 했으면 하지 말아야 한다. 의사들은 모두 목적 지향적 사람. “왜 언론에 나가느냐, 언론에 나가면 니 잘못이다”는 게 병원장 입장. 제 잘못 인정한다.

    (답) 낯을 못 들겠다. 나는 빨리 잘려야 한다. 살기가 싫을 때가 많다. 죽고 싶다. 오늘 기상 어땠나? 좋았나? 출동했다. 비행시간 1만 시간 넘는 분들이 하나같이 하는 말이 죽는 건 두렵지 않다는 것. 불구가 돼서 비굴하게 살까봐. 그게 제일 두렵다. 어차피 한번 사는 거 해본다는 생각. 왜 이렇게 상황이 안 좋으냐면, 허윤정 전문위원에게 외상센터만 세워주시면 다 살릴 수 있다고 했는데. 얼굴을 못 들겠다. 외상센터 15, 16개 있다. 환자 안 받는다. 전용했다. 계속 터져 나온다. 언론에서 다뤄주면 좋은 것. 자정 작용이 돼야 하는데, 그게 쉽지가 않다. 안 들여다보기 시작한 지가 오래됐다. 더 가면 안 된다. 제가 아니라 언론인이 해주셔야 할 일.

    이 분이 빨리 현업을 떠나셔야 차라리 시스템 개선에 대한 요구치가 올라갈 수도 있다는 생각을 매번 합니다.
    그리고 YTN은 이국종 엿을 먹였죠.
    레지엔님이 요약해서 쓰신건가 했더니 기사가 저렇게 써있군요.
    기사를 퇴고하다 만거 같은 느낌...
    1
    뒷짐진강아지
    정치적으로 되더라도 그것도 한시적/일시적 이고,
    이런 제대로 굴러가지 않는 상황만 반복반복반복 되다보니
    현실에 지친것을 넘어서 빡친거네요,
    그래서 제가 이교수님이 미디어에서 말을 하는걸 들으면 어느정도 체념한 느낌과
    그래도 해달라는(이교수님 입장에서 어파치 한시적/일시적이겠지만) 느낌이 공존하는 느낌을 받았을지도 모르겠네요...
    1
    내가 따내야할 거대 예산을 생각하면 수단은 중요하지 않습니다. 정치하는 이들의 속성은 합종연횡이고 이합집산이니, 여도 야도, 심지어 김문수와도 목적을 위해서라면 결탁(이용)할 수 있는 거죠.
    머리 좋은 사람입니다. 정치,정치인,언론 다 잘알아요.
    천하의 김종대가 나가떨어졌잖아요
    Erzenico
    본문에서 분석하신 부분은 엄밀히 말하면 정치성이라기엔 부족한 부분이 아닐까 싶습니다.
    자신이 처한 상황을 정치쟁점화하는 데에는 뛰어난 능력과 또 그만큼의 화제성을 보유하고 있지만
    그 이상으로 나아가지 않고 또 자신이 이루는 바를 위해 수단을 강구할 시간도 또 그런 의지도 없기 때문에
    개인적으로는 그를 비정치적인 인물로 분류하는 것입니다.
    자기나름의 정치를 하죠. 그러면서 큰 판을 아니깐 한계도 알고. 그래도 그 정치가 중증외상을 위한 무브라는걸 알기 때문에 존경되는 부분이 있지요.
    목록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7788 의료/건강리피오돌 사태는 어디로 가는가 35 Zel 18/07/04 5986 10
    7741 의료/건강전공의 특별법의 이면 21 Zel 18/06/24 6355 7
    7704 의료/건강의사쌤이 시킨 한달간의 금주+다이어트 후기 27 tannenbaum 18/06/17 9509 26
    7618 의료/건강애착을 부탁해 16 호라타래 18/06/03 8096 25
    7526 의료/건강술을 마시면 문제를 더 창의적으로 풀 수 있다?!!!! 60 소맥술사 18/05/15 6471 20
    7518 의료/건강26개월 남아 압빼수술(a.k.a 충수절제술, 맹장수술) 후기 17 SCV 18/05/14 7364 14
    7447 의료/건강만성 기침은 무엇인가요? 14 세상의빛 18/04/27 5814 6
    7360 의료/건강[인용] 인간은 언제 죽는가 20 April_fool 18/04/10 6807 3
    7332 의료/건강환자의 순응도 23 세상의빛 18/04/04 6850 5
    7251 의료/건강고도비만 자의식과잉맨을 위한 다이어트 팁 8 quip 18/03/18 6485 9
    7244 의료/건강비만약에 관한 잡상 21 맥주만땅 18/03/16 7844 5
    7152 의료/건강굳어진 근육을 풀어주는 폼롤러 이틀 체험기 6 기쁨평안 18/02/23 5441 2
    7123 의료/건강백신과 antibody dependent enhancement 1 moneyghost 18/02/16 6813 9
    7069 의료/건강간이정신검사를 해보았습니다. 9 Homo_Skeptic 18/02/08 6108 0
    6950 의료/건강한국과 미국의 독감 리포트가 나왔습니다. 13 맥주만땅 18/01/16 4406 4
    6882 의료/건강타 커뮤에서 상처받은 이들이 홍차넷 탐라를 찾는 이유 27 소맥술사 18/01/03 6356 14
    6849 의료/건강관절염 및 요통환자의 병원방문은 비가 오는 것과 상관이 없다. 12 Beer Inside 17/12/29 4530 2
    6831 의료/건강완벽한 보건의료제도는 없다 ('완벽한 보건의료제도를 찾아서'를 읽고) 17 Erzenico 17/12/26 7091 25
    6769 의료/건강펌) 문케어의 미래를 알수 있는 치과 사랑니 발치 32 tannenbaum 17/12/15 6519 5
    6727 의료/건강제목은 못 정하겠음 32 mmOmm 17/12/07 5501 19
    6669 의료/건강언론 기사 시비 걸어보기. 10 tannenbaum 17/11/28 4454 0
    6643 의료/건강2012년으로 돌아가 살펴보는 이국종의 정치성 16 구밀복검 17/11/24 6651 8
    6469 의료/건강오늘 새로운 형태의 대상포진 백신이 미국 FDA의 허가를 받았습니다. 13 Beer Inside 17/10/26 5063 8
    6324 의료/건강의료기관 잠복결핵에 대한 추가 기사 30 Zel 17/09/23 5524 2
    6315 의료/건강의료 소모품 수액줄에 벌레가 발견된 것에 즈음하여 3 Beer Inside 17/09/21 4608 9
    목록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4시간내에 달린 댓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