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다양한 주제에 대해 자유롭게 글을 작성하는 게시판입니다.
Date 18/04/04 01:37:21
Name   풀잎
Subject   기득권의 권력 유지를 저항하려면...
http://www.slate.com/articles/podcasts/the_good_fight_podcast/2018/03/why_rich_people_do_harm_even_when_they_think_they_re_doing_good.html

슬레이트 잡지의 팟캐스트 입니다.
https://drive.google.com/open?id=1TZSprhsYjV69ID8quylnwtk-Qmtnfj1D

재밌는 내용이 포함되어서... 함께 블로그에 대충 적은 내용을 나눕니다.

1%의 부자들이 자신들의 소득과 파워/기득권을 유지하기 위하여 정부와 결탁하는 로비를 하기도 하고 기득권 세력을 유지하는 노력을 하는 한 편, 그들의 sin 을 해소하기 위한 가식적인? 기부행위에 대한 이야기를 나누기도 합니다.

일부는 그러한 기부행위에 대해서 그 만큼 기부를 해 주니 감사하지 않냐 하지만서도
그런 기부 행위보다는 오히려 그들의 파워를 나누는 행위에 나서야 하는 것이 진정 건강한 사회와 시민들을 위한 진정한 도움이 되지 않겠냐는 주장을 하는데요. 100% 공감해요.

부자들 혹은 기득권이 그들의 파워/권력을 나누는 행위란 무엇인가에 고민해야 할 때라고 생각합니다.

팟캐스트 내용중에는...
NY times 의 N.I.H (The national Institute of Health) 에서 연구 리서치 로 하루에 1 잔의 술이 건강에 도움이 되는가 라는 주제를 진행하는데, 정부의 연구자들이 주류 회사들에게 이 연구에 재정적인 도움을 달라는 이야기도 함께 나옵니다. 국가에서 기업과 손을 잡고 기업의 이윤에 큰 도움이 될 것 같은? 연구를 진행한다는 느낌을 받을 수도 있는데요. 원래 미국이 로비스트들과 결탁해서 가장 캐피털리스틱하게 기업의 이윤을 극대화하기 위해서 돌아가는 나라이긴합니다만...  
https://www.nytimes.com/2018/03/17/health/nih-alcohol-study-liquor-industry.html

Self-protective help 기득권들이 자신의 정신건강을 보호하기 위해서 기부를 하는 것 아니냐?
라는 뉘앙스로 비판을 하는 내용도 보이고요.

미국의 공립학교들은 동네 지역마다 집 값이 다른데 그 집들의 재산세 중의 일부가 학교 학군 교육청으로 들어갑니다.

따라서 부자동네의 공립학교는 학생당 학교가 쓸 수 있는 돈이 많아지고요.
가난한 동네의 공립학교의 질은 더 떨어지는 구조를 가지고 있습니다.

사실 위의 1% 부자들은 사실 그런 고민도 안합니다.  

그냥 사립스쿨에 자녀를 보내면 되고요.
그 사립스쿨 마음에 안들면 앨런머스크 같은 사람은 자기 자녀를 위해서 사립스쿨을 자기네 회사 주소에다가
차리기도 했더라구요.

실리콘밸리의 executive 들이 자신들의 자녀들은 발도르프 스쿨 같이 미디어 인터넷 사용을 제한하는 학교에 자녀를 보내고
스티브 잡스니 빌게이츠 같은 이들이 자신들의 자녀에게 스마트폰을 틴에이저 될때까지 금지시킨다거나 그 해악을 본인들이
더 잘아니깐요.
이런 행위들이 모두 기득권들은 자신의 자녀들에게 부의 세습을 원하고 권력을 공고히 하기 위해서 자신들의 영역을 지킵니다.
애플이 스마트폰 판매에 열을 올리며 초등학교 책상에 모든 학생들에게 아이패드를 제공하는데..
엔지니어와 윗선들은 집에서는 자녀들에게는 스마트폰 사용을 제한하는...

일반 시민들은 스마트폰의 해악을 모른채로 무심결에 살아가게 합니다.
일반 시민들은 약의 오남용 혹은 나쁜점을 모른채로 무심결에 살아가다가
어제 뉴스처럼 엇... 항생제/제산제 먹은 아기들은 알러지가 많이 생긴다니..이런 왜 안가르쳐주었어? 뒤늦게 묻게됩니다.

왜 이곳은 이렇게 낙후된채로 흘러가나? 생각이 들잖아요. 왜 공공재화의 활용을 극대화시키지 않는가 하는 질문도 하게되는데요.
그 이면에는 로비스트 경제 기업인들의 숨은 역학들이 있는거잖아요.

그렇지만 다들 몸사리기바쁘고 내가 왜? 변화의 주체가 되어야 하는가 라고 이야기하는데요.

우리나라 지식인들의 사명이 뭔가 생각해보는데요.

겨우 기득권이 되어서 안주하며 안빈낙도 할 것이 아니라 기득권의 권력 분산에 앞장서야 한다고 생각해요.
기득권의 파워를 깨는것은 지식을 훔쳐오는데서 시작된다고 생각해요.
지식의 재분배라고 봅니다. 그런면에서 우리나라의 공교육은 미국보다는 평등면에서는 적어도 참 좋은 교육제도이지만...
선생님들의 퀄리티도 세계 최상이지 싶습니다.

제 생각에는, 내가 아는 것을 사회에서 서로 나누는 것 그것이 지식인들이 해야할 일이라고 생각해요.

철옹성 같았던 파워/ 권력의 세습이 80년대 인터넷 혁명으로 바뀌고 있잖아요.

Slate 에서는 결국에 이런 게 잘못이야 라고 말하기는 하지만서도 대안이 없는 것 같아요..
대안에 대해서 생각해봅니다.

이 무슨 결론인가하시겠지만
결국 아는것 지식이야말로 개개인 나를 지켜주는 가장 큰 무기가 아닌가 싶어요. 그래서 기득권들이 자녀교육에 열을 내겠지요.

일반 시민들은 연대를 하여야 한다고 봅니다.
든든한 친구 홍차넷 사람들이 서로 도와준다면 아마도 사회적으로 개인적으로 큰 시너지가 있을꺼라 생각이 들고요.

지식의 검증... 논문이 중요한 이유가 저자의 내용을 다른 전문가들이 검증을 해 준다는 것입니다.
그런 지식들이 학계에서만 머물러있고 아는 것을 타인에게 나눠주고 가르쳐주는 것에 대해서
재산으로 여기며 "이건 나만 아는건데" 라고 거드름 피우는 이를 쉽게 만나게 됩니다.

미국의 큰 파워는 도서관의 힘이라고 생각을 했었는데요.

누구에게나 열려있는 도서관에는 많은 지식들과 자료들이 시민들에게 공개되어 있습니다.
논문들도 도서관에서 검색이 가능하구요.

인터넷이 있기 전까지는 도서관이 기득권에 대항하는 저항 세력이 아닌가 하는 짧은 생각도 듭니다.

지금은 유튜브로 전문 지식들이 손쉽게 모두에게 퍼져나가고 있습니다.

아마도 곧 그런 유튜브의 지식에 대한 엑세스가 돈이 있는 사람들에게만 오픈되는 시대가 올거라 생각이 됩니다.
인터넷 강의가 모든이에게가 아닌 가진 자들에게만 오픈될꺼구요.

이곳에 탐라에 티타임 게시판에 글 써주시는 모든 자원봉사자님들 땡큐입니다.

뻔글은..오늘 회사에 한 시간 늦게 가게되어서^^ 이만 접습니다.




8


    목록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9942 일상/생각정치 용어 - 퀴드 프로 쿼 15 풀잎 19/11/04 5260 7
    9932 일상/생각미국 고등학생 아이들 6 풀잎 19/11/02 4314 14
    9662 사회능동적 인터넷 사용자 vs 수동적 인터넷 사용자 15 풀잎 19/09/15 4810 10
    9381 문화/예술이문세의 옛사랑 - 마음의 치유 16 풀잎 19/07/02 4478 8
    9069 일상/생각미국 고등학생 - 여름 과학 프로그램 신청후기 3 풀잎 19/04/13 3074 7
    8948 일상/생각청소년의 운동 야외활동 14 풀잎 19/03/10 4504 8
    8732 육아/가정유발 하라리의 2050년을 대비한 자녀교육 14 풀잎 19/01/06 5561 8
    8573 일상/생각로즈 스칼라쉽 장학금 수혜자와 이타심 봉사 4 풀잎 18/11/29 4683 9
    8424 일상/생각베트남계 미국 의사 선생님 린 6 풀잎 18/10/26 4643 17
    8364 일상/생각햄 버터 샌드위치 28 풀잎 18/10/13 5143 24
    8261 사회미국의 임대주택 사업 중에 BMR 5 풀잎 18/09/22 4942 4
    8167 일상/생각아이의 자전거타기 7 풀잎 18/09/04 3331 4
    8152 육아/가정교육과 펭귄그림 3 풀잎 18/09/01 4879 5
    8121 여행미국 동부지역 여행 후기 3 풀잎 18/08/27 6800 3
    7869 일상/생각커뮤니티 회상 4 풀잎 18/07/17 3170 14
    7703 일상/생각샌프란시스코 노이즈브리지 1 풀잎 18/06/17 3297 0
    7689 육아/가정미국 고등학생 아이의 어느 학부모가 느끼는 일상 4 풀잎 18/06/15 4333 11
    7454 일상/생각사회가 필요로 하는 사람 2 풀잎 18/04/29 3260 5
    7328 일상/생각기득권의 권력 유지를 저항하려면... 6 풀잎 18/04/04 3971 8
    목록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4시간내에 달린 댓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