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다양한 주제에 대해 자유롭게 글을 작성하는 게시판입니다.
Date 18/08/31 15:59:37
Name   매일이수수께끼상자
Subject   입방뇨를 허하기로 했다
화장실에 들어갔더니 지린내가 은은하게 나고 있었다. 아차 싶었다. 아까 둘째 녀석이 동네 형이랑 누나들과 한창 밖에서 놀다가 갑자기 “쉬가 마려워!”를 외치며 콩쾅콩쾅 뛰어 들어온 것이 생각났던 것이다. 이 녀석, 어디서 배웠는지 남자는 서서 쉬하는 거라며 좌변기 앞에서 쉬하다가 온 사방팔방에 그 고약한 향을 흩뿌리고 있는 걸 우연히 목격하게 된 게 바로 엊그제 일이었다.

그날 웃고 넘어간 것이 잘못이었다. 밖에서 노는 시간이 얼마나 아까운지 화장실 문 닫는 것을 생략할 정도로 그 작은 방광의 최대치를 이용하는 아들 녀석은 그 날 자신만의 비밀스런 용변 모습을 아빠에게 들키고 말았다. 좌변기 높이가 어른의 무릎 정도 되니, 아직 내 허리춤에 정수리가 닿지도 않는 녀석 입장에서는 목표물이 높을 수밖에 없었다. 바지를 내리고, 자기보다 한참 높은 좌변기 구멍에 맞추느라 까치발을 하지만 불안정한 균형 때문에 온 몸이 비틀거리고 있었다. 그러니 녀석의 쉬야는 갈 길을 잃을 수밖에.

늘 하던 대로 앉아서 쉬하라고 좀 엄하게 말해줘야겠다고 벼르며 예상 쉬야 낙하 지점을 물청소했다. 그런데 생각해보니 그 녀석의 “남자는 서서해야 한다”는 주장에 묘한 그리움이 있었다. 남녀노소 앉아서 하는 것이 화장실 위생상 더 낫다는 말이 처음 나왔을 땐 일개 도시전설처럼 치부했었는데, 첫 아이를 낳은 아내가 산후조리원 원장님까지 대동해 이제부터 앉아서 하라고 요청했을 땐 뭔가 정체성을 거세당한 기분까지 들었던 기억이 났다.

사람의 괄약근은 평생을 서서 하다가 앉아서 하는 법을 갑자기 처음부터 익힐 땐 좌변기 앞에서 까치발을 든 꼬마보다 더 심하게 방황하게 된다. 글이 더러워져 가는 느낌이 드니, 화장실에서의 생리 현상을 ‘비즈니스’로 대체해 보겠다. 기억이 가물가물한 어렸을 때부터 서느냐 앉느냐에 따라 작은 비즈니스와 큰 비즈니스를 구분해오던 몸은, 모든 것을 앉아서 하라는 급박한 통일 명령을 내렸을 때 분별력을 잃는다. 그래서 작은 비즈니스를 해결하러 앉았다가, 원치도 않았던 큰 비즈니스까지 시작하(되)곤 한다.

물론 몸의 적응력이란 의외로 높아 시간이 자연스럽게 이 문제를 해결해주지만, 처음 몇 주 동안은 곤혹스러운 경우가 왕왕 발생했었다. 예를 들어 화장실이 하나밖에 없는 집에 부모님들이 방문하셨을 때, 평소였으면 충분히 참고 버티며 가장 깨끗한 상태의 개인 공간을 제공해드릴 수 있었는데, 뜻하지 않게 시작된 큰 비즈니스 때문에 허둥지둥 환기를 시켜야 한다든지, 화장실 문을 열고 들어가는 내 뒤통수에 대고 누군가 다음 순번을 예약하며 서두르라고 재촉했음에도 몸이 분별력을 잃을 때가 그랬다.

첫 아이를 양육하면서 습관을 바꾼 것이다 보니 아무래도 두 번째 사례가 많았다. 어린 아가들은 의외로 화장실에 가서 해결해야 할 긴급 상황들을 자주 만든다. 아빠가 화장실 안에서 작은 비즈니스가 큰 비즈니스로 바뀌어 당황하는 순간, 밖에 있던 아가는 먹던 분유를 토한다거나, 기저귀를 가는 순간 실례를 한다거나, 뭔가를 온 몸에 뒤집어쓰고 놀기 시작했다. 일일이 기억나진 않지만 아내의 다급한 화장실 문 노크 소리는 지금도 귀에 선명하다.

그러고 보니 이 시골 동네에선 아직 앉아서 하는 게 청결하다는 도시전설이 수입되지 않았나 보다. 아들 녀석은 밖에서 친구들과 무슨 얘기를 하다가 우리 집에서는 멸종된 옛 습관을 복고시킨 것일까. 당시 존재하지도 않았던 녀석이 말이다. 아빠도 옛날엔 그렇게 했다는 걸 알고 있는 걸까. 아니면 아직 말이란 게 시원치 않으니, 이 화장실 가득한 지린내로 뭔가 자기 딴에는 새로운 사상을 전파하려는 걸까.

그 시점부터 고민이 더 깊어지기 시작했다. 단순히 지린내를 유발했다고 혼낼 것이 아니었다. 과학적으로는 앉아서 하는 게 더 청결한 게 사실이니 이제부터 너도 아빠처럼 앉아서 하라고 가르쳐야 할 것인가? 그렇다면 이 녀석 친구들도 한 번 불러서 설명을 다 해줘야 하는 것 아닐까? 그렇다면 혹시 부모님들에게도 알려줘야 할까? 도시에서 도망쳐 온 이방인이 시골에서 일대 화장실 문화변혁을 일으켜야 하는 걸까? 그걸 위해 난 미리 곤혹스러운 경험을 했던 걸까? 앞으로 스마트시티다 뭐다 해서 도시화가 빠르게 진행될 것이라면, 남자 아이들이라도 앉아서 하는 걸 교육시키는 게 미래 적응을 위해 더 낫지 않을까?

물청소를 하다 화장실 바닥에 우두커니 앉아 있자니 물음표는 끝도 없이 떠올랐다. 그래도 사람의 성장에는 과정이란 게 있는 건데 오랫동안 서서 해온 남성의 역사를 다 잘라 버리고 처음부터 앉아서 하도록 가르치는 게 맞는 걸까? 과정들 하나하나가 결과에 미치는 영향을 우리는 다 이해하지 못하고 있는데, 그 잘난 과학적 청결 하나에 모든 것을 다 아는 것처럼 잘라버릴 자격이 나에게 있는 걸까? 게다가 공중화장실에서는 아직도 서서하는 능력이 필요한데 말이다.

결국 서서 하는 걸 허락하기로 답을 냈다. 화장실의 청결도 중요하지만, 나를 포함한 모든 사람은 중간에 발생하는 과정들 하나하나의 작용과 효과를 전부 이해할 수 없다는 게 더 크게 다가왔다. 그것이 시행착오라고 할지라도, 한참 자라나는 이 꼬마 녀석에게도 모든 과정을 있는 그대로 누릴 권리가 있다고 생각했다. 게다가 이곳 문화를 내가 어떻게 억지로 바꾼단 말인가. 또한, 도시화가 이곳에 도달하는 것보다, 필요한 상황에서 몸이 적응해내는 시간이 아무래도 더 짧을 수밖에 없다. 인간 이해력의 한계와, 인간의 몸이 부여받은 적응력을 동시에 믿기로 했다.

별만 환하게 빛나는 깜깜한 밤, 뒷산에 마련한 텃밭에 아들과 함께 올라서서 부자방뇨(父子放尿)라도 해야겠다고 마음먹으며, 아들이 밟고 올라 설 수 있는 작은 의자를 좌변기 앞에 가져다 놨다. 서서할 수 있을 때, 서서해라, 인마.



7
  • 남자라면 설 립!
  • 춫천


켈로그김
저희 딸내미는 맨날 샤워할때 욕조에서 쉬를 합니다.

...그거 버릇되면 나중에 치매와서 똥오줌 못가린다던데 ㅠㅠ
CONTAXS2
저도 저는 집에서만 앉아서 쉬를 하는데요. 아들에게는 안보여주고있습니다. 어렴풋이 알고는 있는듯하지만. 나중에 자기가 앉는게 나을지 서는게 나을지 결정하겠죠.
꿀래디에이터
저는 무조건 서서하고 샤워기로 주위 한번 훑습니다

앉아서 쉬야해야하는 순간 존엄사를 택할 각오입니다
2
저도 요렇게 하고 있습니다.
앉아서 쉬아 하면 관이 막혀있다가 일어날 때 풀리는 것 같은 느낌이라...
일어났다 다시 앉았다를 반복하게 됩니다.
3
에밀리아
사실 앉아서 하면 잔뇨가 남아서 좋지 못하죠
근데 아침에 일어났을땐 넘 기운없어서 걍 앉아서 쌉니다
2
생존주의
아아 입방뇨를 보고 이상한 생각을 한 저는...ㅜㅠ
3
파란아게하
푸세식에서 성장한 제 친구는
그 보통 양변기에서 볼 일 볼 때
카바를 올리고 그 위에 올라앉아
쪼그리고 본다던
풉키풉키
立였구나
목록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8415 일상/생각주변에 슈퍼카를 타시는분들에 대한 얘기 10 HKboY 18/10/24 5798 0
8381 일상/생각대학생들이 부럽다는 생각이 드네요. 7 집에가고파요 18/10/16 4890 0
8380 일상/생각제가 무료로 효도하는 방법 11 HKboY 18/10/16 5458 0
8367 일상/생각레포트용지 소동 9 OshiN 18/10/14 5056 10
8364 일상/생각햄 버터 샌드위치 28 풀잎 18/10/13 5945 24
8362 일상/생각고해성사 17 새벽하늘 18/10/12 5730 44
8356 일상/생각요즘 글을 업로드는 못하는 이유 10 HKboY 18/10/12 5304 5
8353 일상/생각행복을 생각하다 - 동아리에서 행복 포럼 개최했던 이야기 2 Erzenico 18/10/11 5568 0
8342 일상/생각슬럼프가 나에게 찾아 왔다 2 化神 18/10/09 4239 3
8336 일상/생각욕망하지 않는 것을 욕망함에 대하여 12 일자무식 18/10/07 5501 20
8332 일상/생각밤에 정전되면 뭐 하시나요? 9 덕후나이트 18/10/06 4221 0
8330 일상/생각따끈따끈한, 폭풍우를 가로질러 질주한 경험담 29 메존일각 18/10/06 5735 11
8326 일상/생각[불판] 25호 태풍 관련 기상 불판 10 알겠슘돠 18/10/05 4637 0
8321 일상/생각아이폰 신형 많이들 사시나유 10 꿈점 18/10/04 4411 0
8310 일상/생각간단한 소개팅 후기 7 HKboY 18/10/02 5531 3
8284 일상/생각자녀교육에 안타까움 공부가 다가 아니다 60 HKboY 18/09/27 6826 1
8279 일상/생각이 프로젝트는 왜 잘 가고 있나? 18 CONTAXS2 18/09/26 6776 6
8278 일상/생각소개팅 조언좀 해주세요. 7 HKboY 18/09/26 5276 0
8259 일상/생각갑옷 6 알료사 18/09/21 4760 10
8240 일상/생각레쓰비 한 캔 5 nickyo 18/09/17 5441 31
8238 일상/생각좋아요가 싫어요 4 Carl Barker 18/09/16 5728 13
8235 일상/생각냉동실의 개미 4 우분투 18/09/16 5389 15
8231 일상/생각글을 쓰는 습관 4 호타루 18/09/15 5299 8
8227 일상/생각닉네임 이야기 11 소라게 18/09/14 6942 19
8213 일상/생각10년의 서사. 4 모기토끼소년 18/09/12 3987 4
목록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4시간내에 달린 댓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