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다양한 주제에 대해 자유롭게 글을 작성하는 게시판입니다.
Date | 18/12/12 08:42:56수정됨 |
Name | 기아트윈스 |
Subject | 오징어 깎는 노인 |
대학원생의 학위논문쓰기는 연애와 닮은 구석이 있습니다. 모르는 사이었다면 애초에 사랑에 빠지지도 않았을 것을, 같은 반/과/동아리/부서에서 계속 부대끼며 얼굴을 보다보면 정들어 콩깍지가 끼게 되지요. 대학원생과 논문의 관계도 그렇습니다. 자기가 쓴 초고를 보고 보고 또 보다보면 논문에 정이 붙어버려서 그만 정우성이요 원빈으로 보이게 됩니다. 자기가 학교에서 정우성을 주워왔다고 확신한 대학원생은 자랑스럽게 부모님께 사진이라도 보여줍니다. 부모님(지도교수)은 열에 아홉 머뭇거리면서 이렇게 말합니다. “얘야. 내 눈엔 오징어인 것 같은데…” 화가난 대학원생은 아무리봐도 정우성인데 엄빠가 꼼꼼히 살펴보지 않았을 뿐이라고 강변합니다. 심드렁하게 다시 사진을 살펴본 부모님은 “그래 뭐 오징어는 아닌 것 같다만 그래도 흔한 수산물이란 생각엔 변함이 없구나.”라고 하곤 하지요. 부모님(지도교수)은 보통 조정기간을 가져보라고 조언합니다. 니가 너무 이 오징어에 몰입한 나머지 실성한 것 같으니 한 번 4주 정도 잊고 살다가 다시 들여다보라고, 그러면 좀 더 객관적으로 보일 거라고. 그리고 조언에 따라 실제로 4주 뒤에 다시 만난 우성이는 보통 촉수를 흔들며 반갑다고 인사합니다. 하지만 이미 돌이킬 수 없는 금단의 관계에 돌입한 이상 대학원생은 정우징어를 포기할 수 없습니다. 깎고 깎고 또 깎고, 옆에서 누가 ‘이제 됐으니 그냥 주시오’라고 해도 ‘서두르면 쓰나!’하면서 연구실 처마를 훑고가는 구름 한 번 쳐다보다가 이내 다시 깎기를 반복합니다. 그렇게 깎다보면 또 정이 들어버려서 오징어가 정우성으로 둔갑합니다. 다시 부모님께 선뵈고, 핀잔 듣고, 또 다시 이어지는 조정기간… 이처럼 정우성과 오징어의 변증법을 반복하다보면 어느 순간 특이점이 옵니다. 논문이 더할나위 없이 완벽해졌다는 게 아닙니다. 이는 ‘한계점’에 더 가까운데, 재료와 손재주의 한계로 인해 아무리 발버둥쳐봐야 더 이상 깎을 수가 없다는 것을 자각하는 순간을 말합니다. 우리 남친이가, 내 논문이 끝내 정우성은 못될 거라는 현자타임을 겪은 후 안분지족安分知足의 자세로 이놈의 촉수를 꼭 부여잡고 마지막으로 지도교수에게 데려갑니다. 그리고 떨리는 손으로 어중간한 어인魚人족 한마리를 건네주면서 “황송하지만 이놈이 못쓰는 것이나 아닌지 좀 보아 주십시오.” 하지요. 그러면 지도교수는 물끄러미 논문을 바라보다 뜻밖에 “이 크라켄은 어디서 훔쳤어” 합니다. “아닙니다. 아니에요.” “그러면 길바닥에서 주웠단 말이냐?” “누가 그렇게 큰 걸 빠뜨립니까. 떨어지면 철퍼덕 소리는 안 나나요? 어서 도로 주십시오.” 왜 그렇게까지 애를 써서 특대형 어족자원을 연성했는지, 그것으로 이제 무얼 하려하는지 묻거든 대학원생들은 행여나 크라켄을 빼앗길까 두려워 곱송그리며 말합니다. “그저 이 학위 한 개가 갖고 싶었습니다.” 63
이 게시판에 등록된 기아트윈스님의 최근 게시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