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다양한 주제에 대해 자유롭게 글을 작성하는 게시판입니다.
Date 19/02/14 14:22:55
Name   토비
Subject   우울증에 대한 전통적 관점과 조금 다른 관점들

저는 우울증에 대해 잘 모릅니다.
그래서 이런 글을 쓰는게 조심스럽기도 하고 어떤 제목을 붙여야 하나 고민이 되기도 합니다만...

이런 얘기가 있다는 것을 전해드리고 다른 분들의 이야기도 들어보고 싶어서 글을 씁니다.


제가 우울증에 대해 이해하고 있는 바는 이 영상에서 설명하는 내용 정도입니다.




이 영상이 제게는 우울증을 이해하는데 많이 도움이 되었습니다.

반면 최근 가디언지에 실린 기사를 전해준 번역기사는 그쪽 동네에서도 다양한 반문과 가설 같은게 있고 계속해서 내용을 업데이트 해가려는 움직임이 있구나하는 생각이 들게 하네요.


[당신이 우울증에 관해 아는 모든 것이 잘못되었다면?]  (The Guardian의 「Is everything you think you know about depression wrong?」를 번역)
https://ppss.kr/archives/152979

이 기사에서는 기존의 관점에서 볼 때 우울증으로 진단 할 수 있는 사람들의 많은 수가 환경적 요인으로 인해 우울을 겪고있다... 라고 하는거 같네요.
읽어볼만한 기사 같습니다.



5


    BibGourmand
    세로토닌 자체가 문제가 아니라는 말은 예전부터 있었습니다. 우울증 연구하는 사람뿐 아니라 신경세포 가지고 연구하는 사람이면 아마 다들 들어봤을 내용일 겁니다. 희한하고 새로운 무언가가 아니죠. SSRI (세로토닌 재흡수 억제제 - 그러니까 프로작 같은거)를 처리하면 세로토닌 농도는 매우 빨리 올라가는 데 비해, 우울 증상이 호전되는 건 2~3주가 걸리는 건 매우 잘 알려져 있는 사실입니다. 그러니까 세로토닌 농도가 낮은 것 자체가 문제라면 약 먹고 바로 좋아져야 하는데 그렇지 않으니 이상하다는 거지요. 자기가 무언가 대단한 걸 밝혀... 더 보기
    세로토닌 자체가 문제가 아니라는 말은 예전부터 있었습니다. 우울증 연구하는 사람뿐 아니라 신경세포 가지고 연구하는 사람이면 아마 다들 들어봤을 내용일 겁니다. 희한하고 새로운 무언가가 아니죠. SSRI (세로토닌 재흡수 억제제 - 그러니까 프로작 같은거)를 처리하면 세로토닌 농도는 매우 빨리 올라가는 데 비해, 우울 증상이 호전되는 건 2~3주가 걸리는 건 매우 잘 알려져 있는 사실입니다. 그러니까 세로토닌 농도가 낮은 것 자체가 문제라면 약 먹고 바로 좋아져야 하는데 그렇지 않으니 이상하다는 거지요. 자기가 무언가 대단한 걸 밝혀낸 것처럼 적혀있지만, 아는 사람은 다 아는 문제입니다.

    많은 경우에 항우울제 처방은 근본 치료가 아니라 대증요법일지도 모릅니다. 하지만 감기에 걸렸을 때 열이 나고 몸이 쑤시면 타이레놀을 먹어야죠. 그게 치료제가 아니라 대증요법이라 할지라도 도움이 되니 좋은 치료법입니다. 이 글은 타이레놀을 처방하는 것은 잘못된 일이고, 집 대청소를 하여 환경을 개선하고 운동을 시켜 면역력을 높이는 것만이 옳은 해결책인 것처럼 말하고 있습니다. 그게 좋은 건 맞죠. 그런데 열이 나고 몸이 쑤시는 사람을 데리고 운동을 나가자고 하면 곤란합니다. 우선 증상 치료는 한 뒤에 뭘 해도 해야 하는 것 아니겠습니까.

    약물치료나 인지행동치료나 성공률(?)은 비슷하다고 알고 있습니다. 후자는 학부 때 공부한 것이 다라 요즘 더 나아졌을지는 모르겠네요. 후자가 인간적이고 좋은 것처럼 보이는 것은 사실이지만, 돈과 시간이 많이 들어가는 것 역시 사실이지요. '치료'가 그럴진대 '환경 개선'이요? 갓물주 좋은 줄 몰라서 안 할까요?
    감기 걸려서 콧물이 나는 건 코에 문제가 생긴 것이죠. 근본 원인이 바이러스 감염에 의한 면역작용의 여파라는 걸 안다고 한들, 바이러스를 때려잡을 방법이 없다면 콧물 잡는 약이 유일하게 남아있는 처방이지요.
    같은 이치로 우울증에 걸리는 것은 뇌에 문제가 생긴 것입니다. 근본 원인이 유전적인 것이든 환경적인 것이든 간에요. 효용에 비해 부작용을 충분히 감수할 만 하다면, 약을 처방하는 것이 잘못된 일일 수는 없지요.

    항우울제 처방이 유일한 처방인 것도 아닙니다. 사람에서는 임상실험만 한 것으로 아는데, 일부 마취제가 즉각적 항우울 효과가 있다는 보고가 있습니다. 다른 질병에서 (아마 파킨슨병 치료에 처음 사용한 것으로 아는데 정확하지 않네요) 사용하던 방식인 deep brain stimulation (전극을 꽂아서 뇌의 특정 부위를 자극하는 치료)을 가지고도 효과를 본 예가 있습니다. 물론 심각한 경우에나 쓰는 것이고, 아직 실험적인 치료이기는 합니다.

    새롭지 않은 걸 새롭게 쓰는 것이야 흔한 일인데, 가디언이라니 그건 좀 놀랍습니다.
    4
    그렇군요.
    이해하기 쉽게 상세하게 말씀해주셔서 감사합니다.
    kaestro
    전에 링크를 보고 봐야지 하다가 이제서야 봤네요.
    잘 보고 갑니다~
    목록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9079 의료/건강마약은 무엇을 가져가는가? 헤로인 15 월화수목김사왈아 19/04/15 5385 23
    9028 의료/건강의사는 어떻게 사고하는가 - 2. 진단=사후확률Up & 진단의 두 축 6 세란마구리 19/04/03 4939 10
    9004 의료/건강AI와 영상의학의 미래는? 32 Zel 19/03/27 7608 28
    8988 의료/건강의사는 어떻게 사고하는가 - 번외. ROC와 카파통계량 5 세란마구리 19/03/22 7191 10
    8983 의료/건강의사는 어떻게 사고하는가 - 1. 단어 정의 19 세란마구리 19/03/21 6033 14
    8971 의료/건강과연 그럴까? 에어팟이 암을 유발한다 18 우주견공 19/03/18 5673 4
    8939 의료/건강버닝썬 사건에서 언급된 물뽕, 그리고 마약 이야기 9 모모스 19/03/06 9288 11
    8901 의료/건강스타트렉: 더 넥스트 제너레이션을 아시나요? 18 사나남편 19/02/25 6040 7
    8861 의료/건강우울증에 대한 전통적 관점과 조금 다른 관점들 3 토비 19/02/14 5208 5
    8811 의료/건강이제서야 2차 임상실험이네요. 12 집에가고파요 19/01/27 5195 12
    8703 의료/건강저의 정신과 병력에 대한 고백 13 April_fool 18/12/29 7665 44
    8701 의료/건강심리학의 중대한 오류들 13 파랑새의나침반 18/12/29 6040 2
    8414 의료/건강당뇨학회 발표하러 갑니다. 14 집에가고파요 18/10/24 5908 15
    8406 의료/건강치약에 관한 잡다한 이야기 7 化神 18/10/22 5957 9
    8389 의료/건강생선냄새증후군 경험기 19 곰돌이두유 18/10/18 14361 34
    8286 의료/건강건강한 노인들에게 저용량 아스피린을 장기 복용하면 어떻게 될까. 4 맥주만땅 18/09/27 7051 3
    8228 의료/건강중2병 말고 중고병 21 지금여기 18/09/14 7019 5
    8224 의료/건강당뇨양말 학회 발표 스케줄이 나왔습니다. 10 집에가고파요 18/09/13 5757 14
    8141 의료/건강인도에서 하는 국제당뇨학회 발표자로 선정되었네요. 16 집에가고파요 18/08/30 5202 23
    8130 의료/건강의느님 홍차클러님들을 위한 TMI글 - 아나필락시스 사망사건과 민사소송 21 烏鳳 18/08/28 7281 10
    8113 의료/건강당뇨치료용 양말에 대한 1차 실험에 대한 데이터 분석이 거의 끝나갑니다.. 3 집에가고파요 18/08/25 4620 6
    8033 의료/건강제 2차 국공합작은 가능할것인가?: 원격진료 및 의료서비스발전법 논란 4 Zel 18/08/10 4976 3
    8028 의료/건강박서 팬티를 입는 것이 남자의 정자 운동성과 정자수의 증가에 도움을 줍니다. 20 맥주만땅 18/08/09 6771 3
    7832 의료/건강발사르탄 발암물질 함유 - 한국 제네릭은 왜 이따위가 됐나 17 레지엔 18/07/12 6288 22
    7820 의료/건강고혈압약의 사태 추이와 성분명 처방의 미래 28 Zel 18/07/10 5538 20
    목록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4시간내에 달린 댓글

    댓글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