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새로운 뉴스를 올려주세요.
Date | 22/08/24 11:49:54수정됨 |
Name | cummings |
Subject | "육아 이모님 月400만원…출산 하라고요?" |
https://www.mk.co.kr/news/economy/view/2022/08/745597/ 23일 복수의 인력 중개업체에 따르면 주말을 제외하고 평일 5일간 육아를 책임지는 입주 도우미의 월 시세는 350만~400만원대에 형성돼 있다. 올 2분기 전국 2인 이상 가구 월평균 소득이 590만원인 점을 고려하면 일반적인 가구 소득의 절반 이상을 쏟아부어야 가사도우미를 고용할 수 있는 셈이다. 전문가들은 싱가포르나 홍콩처럼 외국인 가사근로자 제도를 도입하는 것이 국내 여성들의 경력단절을 막고 출산율을 제고하는 대책이 될 수 있다고 입을 모은다. 이들 국가에서는 월 100만원 정도의 저렴한 임금으로 입주 도우미를 구할 수 있다. 일본국제협력기구 소속 노부유키 나카무라 연구위원은 '외국 가사도우미 고용이 출산율에 미치는 영향'이란 연구보고서에서 홍콩 가구를 분석한 결과 외국인 가사도우미를 고용했을 때 5세 미만 유아 수가 0.36명 증가했다고 밝혔다. ============================================ 어제 올라왔던 싱가포르 커리어우먼 기사의 2부인듯 합니다만... 입주도우미 시세가 350~400만원이라니 놀랍네요;;; 전업주부 연봉을 대충 계산한 옛날기사를 찾아보니 2018년 10월 통계청에서 233만원으로 측정한게 있던데, <4인가구 전업주부 연봉 2800만원> https://www.hankyung.com/economy/article/2018100841631 가정주부 주 7일에 233만원과, 가사도우미 주5일에 350~400를 비교하면 코로나로 인한 공급절벽으로 도우미 인건비가 폭등하긴 한것 같습니다. 저정도면 일반인이 엄두를 내기 힘든 정도인데, 정상적인 상황으로 보여지지 않고, 수급불균형으로 인한 해악이 커 보여서 국가에서 무슨 수를 써야할것 같긴 합니다. 병원 요양보호사 문제도 비슷하게 느껴지구요. 대부분 중국인 조선족분들이 근무할걸로 생각되어, 내국인 일자리 잠식 문제도 거의 없을것 같구요. 해당 내용은 제가 전반적인 업계 현황을 잘못 알았던것 같습니다. 죄송합니다. 한국이 1960~70년대에 광부나 간호사를 독일로 보냈던것처럼 이제는 선진국이 된 한국이 받을때가 되지 않았나 싶네요... 0
이 게시판에 등록된 cummings님의 최근 게시물
|
외국인 입주 도우미 몇년 써봤습니다. ㅎㅎ 그 때보다도 더 올랐네요.
근데 그 분들도 애기보는 것보다는 식당일 하는 게 낫다는 분들 많아서 도우미 급여가 더 비쌀 수 밖에 없어요.
식당일은 쉬는 시간이 있는데 애기보는 건 쉬는 시간이 없고
밤에도 깨야하고 부모와 애들 대하는 거 조심스럽고..
근데 그 분들도 애기보는 것보다는 식당일 하는 게 낫다는 분들 많아서 도우미 급여가 더 비쌀 수 밖에 없어요.
식당일은 쉬는 시간이 있는데 애기보는 건 쉬는 시간이 없고
밤에도 깨야하고 부모와 애들 대하는 거 조심스럽고..
음... 일단 그 정도라면 입주, 한국인 도우미, 쌍둥이, 부촌 정도 되어야 그 정도 가격인데...
물론 옛날에 100만원대에서 가파르게 상승은 했지만 결코 그 가격은 아니긴 합니다. (물론 그사세는 늘 있겠지만...)
물론 옛날에 100만원대에서 가파르게 상승은 했지만 결코 그 가격은 아니긴 합니다. (물론 그사세는 늘 있겠지만...)
육아도우미 조선족 거의 없어요..
그리고 일반적으로 저정도 급여 아닙니다(..)
당연히 한국중년분들이고,
입주도우미면 같이 먹고자고하는분들이고,
아이가 많으면 그만큼 더 비싸집니다.
제 고모도 입주도우미 일하시는데,
아마 딸(사촌동생)이 출산을 하면 그만두실겁니다.
살짝 알아봐본 입장에선
입주도우미는 돈이 문제가 아니에요.
(이미 입주도우미 고려를 한다는게..)
그보다 아이랑 잘 맞는 사람구하는게 제일 큰 문제입니다.
그리고 외국사람 받는다는게
외국인 노예를 들여와서 부려먹겠다는건가요?... 더 보기
그리고 일반적으로 저정도 급여 아닙니다(..)
당연히 한국중년분들이고,
입주도우미면 같이 먹고자고하는분들이고,
아이가 많으면 그만큼 더 비싸집니다.
제 고모도 입주도우미 일하시는데,
아마 딸(사촌동생)이 출산을 하면 그만두실겁니다.
살짝 알아봐본 입장에선
입주도우미는 돈이 문제가 아니에요.
(이미 입주도우미 고려를 한다는게..)
그보다 아이랑 잘 맞는 사람구하는게 제일 큰 문제입니다.
그리고 외국사람 받는다는게
외국인 노예를 들여와서 부려먹겠다는건가요?... 더 보기
육아도우미 조선족 거의 없어요..
그리고 일반적으로 저정도 급여 아닙니다(..)
당연히 한국중년분들이고,
입주도우미면 같이 먹고자고하는분들이고,
아이가 많으면 그만큼 더 비싸집니다.
제 고모도 입주도우미 일하시는데,
아마 딸(사촌동생)이 출산을 하면 그만두실겁니다.
살짝 알아봐본 입장에선
입주도우미는 돈이 문제가 아니에요.
(이미 입주도우미 고려를 한다는게..)
그보다 아이랑 잘 맞는 사람구하는게 제일 큰 문제입니다.
그리고 외국사람 받는다는게
외국인 노예를 들여와서 부려먹겠다는건가요?
외국인이니 최저시급도 안줘도 된다?
원하시는바가 무엇인지 잘 이해가 되지 않습니다
그리고 일반적으로 저정도 급여 아닙니다(..)
당연히 한국중년분들이고,
입주도우미면 같이 먹고자고하는분들이고,
아이가 많으면 그만큼 더 비싸집니다.
제 고모도 입주도우미 일하시는데,
아마 딸(사촌동생)이 출산을 하면 그만두실겁니다.
살짝 알아봐본 입장에선
입주도우미는 돈이 문제가 아니에요.
(이미 입주도우미 고려를 한다는게..)
그보다 아이랑 잘 맞는 사람구하는게 제일 큰 문제입니다.
그리고 외국사람 받는다는게
외국인 노예를 들여와서 부려먹겠다는건가요?
외국인이니 최저시급도 안줘도 된다?
원하시는바가 무엇인지 잘 이해가 되지 않습니다
음...오해하시는 분들이 계실까봐 일부러 파독광부나 간호사의 예시까지 들어놓았는데
의미하시는 바가 파독광부나 파독 간호사가 노예로 가서 부려먹힘 당한건가요?;;;
최저시급 이하로 노예생활시키라는 얘긴 아니었고, 맞벌이가 기본인 시대이니 만큼
나라에서 중간단계의 역할을 통하여 적정수준의 도우미를 적절한 가격과 국가 보조를 통해
일반적인 국민들도 서비스를 받을수 있을 정도쯤으로는 대한민국의 위상이 높아져있지않을까? 하는생각이었습니다.
제 주변엔 등하원정도가 아닌, 입주도우미를 내국인으로 쓰시는분이 안계셔서 내국인일자리 ... 더 보기
의미하시는 바가 파독광부나 파독 간호사가 노예로 가서 부려먹힘 당한건가요?;;;
최저시급 이하로 노예생활시키라는 얘긴 아니었고, 맞벌이가 기본인 시대이니 만큼
나라에서 중간단계의 역할을 통하여 적정수준의 도우미를 적절한 가격과 국가 보조를 통해
일반적인 국민들도 서비스를 받을수 있을 정도쯤으로는 대한민국의 위상이 높아져있지않을까? 하는생각이었습니다.
제 주변엔 등하원정도가 아닌, 입주도우미를 내국인으로 쓰시는분이 안계셔서 내국인일자리 ... 더 보기
음...오해하시는 분들이 계실까봐 일부러 파독광부나 간호사의 예시까지 들어놓았는데
의미하시는 바가 파독광부나 파독 간호사가 노예로 가서 부려먹힘 당한건가요?;;;
최저시급 이하로 노예생활시키라는 얘긴 아니었고, 맞벌이가 기본인 시대이니 만큼
나라에서 중간단계의 역할을 통하여 적정수준의 도우미를 적절한 가격과 국가 보조를 통해
일반적인 국민들도 서비스를 받을수 있을 정도쯤으로는 대한민국의 위상이 높아져있지않을까? 하는생각이었습니다.
제 주변엔 등하원정도가 아닌, 입주도우미를 내국인으로 쓰시는분이 안계셔서 내국인일자리 문제는 제가 잘못 알고있었던것 같습니다.
고모분을 비하하려거나 다른 문제를 일으키려는 의도는 아니었는데, 기분 나쁘셨다면 죄송합니다.
의미하시는 바가 파독광부나 파독 간호사가 노예로 가서 부려먹힘 당한건가요?;;;
최저시급 이하로 노예생활시키라는 얘긴 아니었고, 맞벌이가 기본인 시대이니 만큼
나라에서 중간단계의 역할을 통하여 적정수준의 도우미를 적절한 가격과 국가 보조를 통해
일반적인 국민들도 서비스를 받을수 있을 정도쯤으로는 대한민국의 위상이 높아져있지않을까? 하는생각이었습니다.
제 주변엔 등하원정도가 아닌, 입주도우미를 내국인으로 쓰시는분이 안계셔서 내국인일자리 문제는 제가 잘못 알고있었던것 같습니다.
고모분을 비하하려거나 다른 문제를 일으키려는 의도는 아니었는데, 기분 나쁘셨다면 죄송합니다.
말씀하신 대로 가격보다는 잘 맞는 아주머님 구하는 게 더 큰 문제긴하죠.
그렇지만 제가 사는 동네를 비롯해 서울 아파트의 입주도우미 분들은 대부분 조선족 분들이셨습니다.
때문에 조선족 억양 덜 쓰는 분들, 최대한 한국 입맛에 맛게 요리하시는 분들,
아이 돌볼 때 따로 전화 적게 하시는 분들이 인기 있더라구요.
그렇지만 제가 사는 동네를 비롯해 서울 아파트의 입주도우미 분들은 대부분 조선족 분들이셨습니다.
때문에 조선족 억양 덜 쓰는 분들, 최대한 한국 입맛에 맛게 요리하시는 분들,
아이 돌볼 때 따로 전화 적게 하시는 분들이 인기 있더라구요.
관련자료 찾아보니
2018년 육아정책연구소에서 발간된 '민간 육아도우미 이용실태 및 관리방안 연구'
에 따르면 육아도우미의 경우 내국인이 대부분이네요. 제가 잘못 알고있는게 맞았던것 같습니다.
https://repo.kicce.re.kr/bitstream/2019.oak/819/2/%EB%AF%BC%EA%B0%84%20%EC%9C%A1%EC%95%84%EB%8F%84%EC%9A%B0%EB%AF%B8%20%EC%9D%B4%EC%9A%A9%EC%8B%A4%ED%83%9C%20%EB%B0%8F%20%EA%B4%80%EB%A6%AC%EB%B0%A9%EC%95%88%20%EC%97%B0%EA%B5%AC.pdf
헉 제가 링크를 잘못 건 것 같습니다.
문서 링크가 따지지 않네요 국회전자도서관(https://dl.nanet.go.kr/)에서 "입주 육아 도우미 현황과 정책 제언"으로 검색하면 나오는 문서입니다.
ps: 이 문서입니다: http://dl.nanet.go.kr/SearchDetailView.do?cn=MONO1201515645
문서 링크가 따지지 않네요 국회전자도서관(https://dl.nanet.go.kr/)에서 "입주 육아 도우미 현황과 정책 제언"으로 검색하면 나오는 문서입니다.
ps: 이 문서입니다: http://dl.nanet.go.kr/SearchDetailView.do?cn=MONO1201515645
왜냐면 출산은 엄두도 못내는 이유가 육아 도우미 인건비 하나 때문만은 아닐텐데, 기사의 핀트가 묘해요. 일한만큼 최소한 최저임금은 받아야되는 것이고. 그정도 노동력이라면 월 400은 나가는게 당연한데, 오히려 사회적 합의가 되어야하는건 '어떻게하면 부모가 직접 육아를 책임지면서도 경력이 단절되지 않을까'에 대한고민이 아닌가 생각합니다.
뭔가, 임대료 같은 큰 덩이는 언급안하고 "최저임금 때문에 창업 꿈 접었다"는 뉘앙스라 갸우뚱하네요.
뭔가, 임대료 같은 큰 덩이는 언급안하고 "최저임금 때문에 창업 꿈 접었다"는 뉘앙스라 갸우뚱하네요.
애기가 어리면 화장실도 마음 편하게 못갑니다. 잠깐 화장실 간건데도 애기는 엄마가 눈에 안보이니까 벌써 울기 시작해요. 애기 딴에는 눈에 아무도 안보이니까 사람이 없으니까 우는게 당연한건데, 엄마 입장에서는 화장실 가서 볼일 보는 것도 마음이 편하지가 못해서 애기 우는 소리 듣고 허둥지둥 나오게 됩니다. 의사소통이 안되는 애기한테는 "엄마 잠깐 화장실 갔다 올게" 라고 말을 해도 알아듣지를 못하니까요. 24시간을 이렇게 생활한다고 생각해보세요. 그나마 애기가 잠들었을때가 가장 마음이 편할때죠.
육아를 하면서 체감과는 사뭇 다른 대책이라 고개가 갸우뚱하네요.
외국인보다는 내국인 이모님 선호도가 높고 어찌보면 당연하다고 생각합니다.
편견이 섞여있지 않다고는 할수 없겠지만 내 일도 아니고 내 아이에 대한 일이니 별수 없습니다.
350~400 드는 시기가 길지는 않습니다. 적어도 아이가 밤잠만 잘 자면 입주까지는 필요없습니다.
출산후 최소한 1년만이라도 이모님 고용에 대하여 집중적으로 지원을 해 주면 크게 도움이 될 것 같습니다.
현실적으로 부모가 키워도 경력단절 없는 사회를 만들자는 건 너무 먼 이야기입니다. ... 더 보기
외국인보다는 내국인 이모님 선호도가 높고 어찌보면 당연하다고 생각합니다.
편견이 섞여있지 않다고는 할수 없겠지만 내 일도 아니고 내 아이에 대한 일이니 별수 없습니다.
350~400 드는 시기가 길지는 않습니다. 적어도 아이가 밤잠만 잘 자면 입주까지는 필요없습니다.
출산후 최소한 1년만이라도 이모님 고용에 대하여 집중적으로 지원을 해 주면 크게 도움이 될 것 같습니다.
현실적으로 부모가 키워도 경력단절 없는 사회를 만들자는 건 너무 먼 이야기입니다. ... 더 보기
육아를 하면서 체감과는 사뭇 다른 대책이라 고개가 갸우뚱하네요.
외국인보다는 내국인 이모님 선호도가 높고 어찌보면 당연하다고 생각합니다.
편견이 섞여있지 않다고는 할수 없겠지만 내 일도 아니고 내 아이에 대한 일이니 별수 없습니다.
350~400 드는 시기가 길지는 않습니다. 적어도 아이가 밤잠만 잘 자면 입주까지는 필요없습니다.
출산후 최소한 1년만이라도 이모님 고용에 대하여 집중적으로 지원을 해 주면 크게 도움이 될 것 같습니다.
현실적으로 부모가 키워도 경력단절 없는 사회를 만들자는 건 너무 먼 이야기입니다.
출산후 1~2년의 시기가 실제로도 힘들고, 육아에 대하여 만연해있는 공포심의 주된 요인이 되는 시기여서
이 시기만이라도 국가가 집중적인 지원을 해 줄 것이다, 도움을 줄 것이다 라는 안정감을 주어서
부모의 희생 및 시댁/처가의 희생을 덜어준다면 출산률에 어느정도 도움이 되지 않을까 합니다.
외국인보다는 내국인 이모님 선호도가 높고 어찌보면 당연하다고 생각합니다.
편견이 섞여있지 않다고는 할수 없겠지만 내 일도 아니고 내 아이에 대한 일이니 별수 없습니다.
350~400 드는 시기가 길지는 않습니다. 적어도 아이가 밤잠만 잘 자면 입주까지는 필요없습니다.
출산후 최소한 1년만이라도 이모님 고용에 대하여 집중적으로 지원을 해 주면 크게 도움이 될 것 같습니다.
현실적으로 부모가 키워도 경력단절 없는 사회를 만들자는 건 너무 먼 이야기입니다.
출산후 1~2년의 시기가 실제로도 힘들고, 육아에 대하여 만연해있는 공포심의 주된 요인이 되는 시기여서
이 시기만이라도 국가가 집중적인 지원을 해 줄 것이다, 도움을 줄 것이다 라는 안정감을 주어서
부모의 희생 및 시댁/처가의 희생을 덜어준다면 출산률에 어느정도 도움이 되지 않을까 합니다.
나니비자가 있는 나라도 좀 있는데ㅡ우리보다 발전되어서 있다기 보다는 생각이 없어서 있는 것인지도 모르겠습니다ㅡ 인권침해가 좀 쎈 눈치더군요. 개인적으로 인권 어쩌구 하는 거 극혐하는데, 저건 들어오면 인권침해가 꽤 심각할 겁니다.
차라리 동네마다 24시간 아기/아이 돌봐주는 곳을 만드는 게 낫지 않을까요?
차라리 동네마다 24시간 아기/아이 돌봐주는 곳을 만드는 게 낫지 않을까요?
조선족 생각하시면서 '무슨 인권침해?' 하실 수도 있는데, 조선족들 비자는 정말 좋은 비자입니다. 동포정책 차원에서 좋은 비자를 줬고, 그래서 임금 등이 내국민 수준으로 올라갔죠.
나니비자를 만든다면 외국인근로자 비슷하게 가게 될 수 밖에 없어요. 그러면 홀로 고용주와 함께 사는 근로자가 되고, 상황 뻔해지는 거죠.
나니비자를 만든다면 외국인근로자 비슷하게 가게 될 수 밖에 없어요. 그러면 홀로 고용주와 함께 사는 근로자가 되고, 상황 뻔해지는 거죠.
우리나라 문화가 좀 더 인기가 생기면 내니 말고 오페어는 어떨까 싶은데, 그것도 방 내어줄 형편이 되는 집에서나 가능하겠죠.
https://en.wikipedia.org/wiki/Au_pair
https://en.wikipedia.org/wiki/Au_pair
강제 징병하는 나라에서 강제 육아도우미는 못할게 없는데 말이죠.
남성들이 국방의 의무를 하고, 여성들이 육아도우미로 출산율 올리는데 보탬이 되는게 좋아보입니다.
남성들이 국방의 의무를 하고, 여성들이 육아도우미로 출산율 올리는데 보탬이 되는게 좋아보입니다.
징병제에서의 남녀 형평성이나, 출산과 육아에 국가가 더욱 신경써야 하는 부분 다 이해하는 부분이긴 한데
(근 20년전에 경험한 군대라 지금과는 다를 수도 있지만) 제가 생각하는 징집과 군대 운영의 방식으로 국가에서 운영하는 육아 시스템이라면, 제대로 돌아갈지, 사고가 안생길지, 그런 곳에 부모님이 아이를 마음 편하게 보낼 수 있을지 의문이 듭니다.
(근 20년전에 경험한 군대라 지금과는 다를 수도 있지만) 제가 생각하는 징집과 군대 운영의 방식으로 국가에서 운영하는 육아 시스템이라면, 제대로 돌아갈지, 사고가 안생길지, 그런 곳에 부모님이 아이를 마음 편하게 보낼 수 있을지 의문이 듭니다.
목록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