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새로운 뉴스를 올려주세요.
Date | 24/02/23 15:25:54수정됨 |
Name | cummings |
Subject | 서울의대 교수 비대위 "정부가 협상안 마련하지 않으면 전공의와 함께 행동할 것/임상강사·전임의들도 사직 조짐 |
<서울의대 교수 비대위 "정부가 협상안 마련하지 않으면 전공의와 함께 행동할 것…이번 주말이 골든타임"> https://www.medigatenews.com/news/2299535888?mui=SPC104%7CWTP006%7C40%7C0039016 <임상강사·전임의들도 사직 조짐..."국민 위협 세력으로 매도, 의업 이어갈 수 없어"> https://www.medigatenews.com/news/2399593065 임상강사나 전임의들은 애초부터 1년짜리 계약직 직급이라 2월말이되면 퇴직하고 새로운 직장을 찾아 떠나고, 3월 되면 4년차 전공의들이 새롭게 시작합니다만... 올해는 새롭게 시작하는 분들이 없으실것 같아 나름 타격이 있을 것 같습니다. 자리를 비운 전공의들의 일이 전임의들에게 상당부분 넘어갔을텐데, 사실 1년짜리 계약직에게 계약이외의 업무를 과다하게 시킨 셈이라...(까라하면 까야겠지만요;;) 서울의대 교수가 이번 주말이 골든타임이란것도 비슷한 이치 일 것 같습니다. 안그래도 2~3월은 기존 인원 나가고 새 인원이 들어와야해서 정신 없는 기간인데, 더 극심해질테니까요. 다만 대통령을 포함한 정부 관계자들은 절대 타협의 대상이 아니라고 하니 이 문제는 상당기간 지속될 가능성이 있어, 가급적 아프지 않도록 평소에 건강과 휴식을 챙기는것이 좋겠습니다. <한동훈 "전공의 파업? 절대 타협대상 아냐" 강경기조> https://v.daum.net/v/20240222135831344 사족> 이 문제가 어떻게 해결될런지, 앞으로 또 의사들의 파업이 가능할런지는 모르겠지만 사실 세계적으로 의사들의 파업은 왕왕 일어나고 있습니다. 작년만 따져도 나이지리아 의사 파업, 미국 서부 의료계 파업, 독일의사 파업, 프랑스 의사 파업 등이 있었고 현재도 영국 의사들(전공의 위주)의 임금인상 파업이 현재진행중인 상황입니다. https://www.youtube.com/watch?v=v7nkAtGvBso 영국 전공의, 사상 최장기간 파업 돌입 (KBS_340회_2024.1.13.방송) 의사 개개인의 밥그릇 문제 뿐만 아니라, 의료전달체계나 의료수가문제라던지 공공병원이 아닌 대학병원들의 무한멀티 등 다른 문제들도 많은데 <남양주·과천 등 수도권 대학병원 분원 ‘5000병상’ 넘게 쏟아진다…의원·중소병원 '우려'> 서울 위례, 인천 송도·청라, 경기 김포·시흥·과천·남양주 등…의료계 "지방의료∙의료전달체계 붕괴 부추길 것" https://medigatenews.com/news/1803641363 각자의 자리에서 열심히 자리를 지키던 의사들조차 허탈하게 만드는 (그런 자리가 있다면 내가 왜 여기서 이러고 있나 싶은) 35세 전문의 연봉 4억 같은 자극적인 문구들만 열심히 퍼지고 있으니 아쉬울 따름입니다. <의사 시절 급여 공개한 신현영 의원 "35세 의사 연봉 4억? 사실 아냐"> https://medigatenews.com/news/260784993 사족2>의사들편을 드는 매체와 편파적인 문구를 단 뉴스만 가져와서... 불편하신 분들께 죄송합니다. 2
이 게시판에 등록된 cummings님의 최근 게시물
|
이건 시작일 뿐이고, 앞으로 서로 의견이 갈릴 일이 수두룩할 텐데 그나마 있던 라포까지 쓰레기통에 처박으면 양쪽 다 어떡하려는 건지 참...
업보려니...싶으면서도 패키지정책보고 환호하는 분들이 분명히 의료민영화는 반대하던 분들일텐데, 안타깝기도 하고 그렇습니다ㅎㅎ;;
https://www.imaeil.com/page/view/2024022217514640604
https://www.news1.kr/articles/5329385
4억은 아니여도 높은것 맞는것 같은데요 ㅎㅎ 1인당 GDP 따지지 않고도 OECD 탑클래스인데.. 인당GDP 반영하면 넘사벽일듯 하네요. 부럽읍니다..
https://www.news1.kr/articles/5329385
4억은 아니여도 높은것 맞는것 같은데요 ㅎㅎ 1인당 GDP 따지지 않고도 OECD 탑클래스인데.. 인당GDP 반영하면 넘사벽일듯 하네요. 부럽읍니다..
<‘사장님’ 한국 의사 vs 독일 의사 ‘선생님’>
https://h21.hani.co.kr/arti/society/society_general/32346.html
마침 링크해주신 기사에 독일 의사가 언급되었기에
독일 의사와 한국 의사의 비교 칼럼 링크해봅니다.
한국 의사들의 벌이가 절대 적다고 생각하지는 않지만
단순하게 인당GDP대비 특정 직종의 벌이만 따질것이 아니라
개인 자영업... 더 보기
https://h21.hani.co.kr/arti/society/society_general/32346.html
마침 링크해주신 기사에 독일 의사가 언급되었기에
독일 의사와 한국 의사의 비교 칼럼 링크해봅니다.
한국 의사들의 벌이가 절대 적다고 생각하지는 않지만
단순하게 인당GDP대비 특정 직종의 벌이만 따질것이 아니라
개인 자영업... 더 보기
<‘사장님’ 한국 의사 vs 독일 의사 ‘선생님’>
https://h21.hani.co.kr/arti/society/society_general/32346.html
마침 링크해주신 기사에 독일 의사가 언급되었기에
독일 의사와 한국 의사의 비교 칼럼 링크해봅니다.
한국 의사들의 벌이가 절대 적다고 생각하지는 않지만
단순하게 인당GDP대비 특정 직종의 벌이만 따질것이 아니라
개인 자영업자가 되기까지의 비용투자나 리스크라던지
한국의 긴 병원 운영시간과 높은 전문의 비율, 의료제도까지도 고려 할 부분들은 많다고 생각합니다.
그중에서도 제일 고려해야할건 한국의 높은 의료이용률이겠지만요.
https://h21.hani.co.kr/arti/society/society_general/32346.html
마침 링크해주신 기사에 독일 의사가 언급되었기에
독일 의사와 한국 의사의 비교 칼럼 링크해봅니다.
한국 의사들의 벌이가 절대 적다고 생각하지는 않지만
단순하게 인당GDP대비 특정 직종의 벌이만 따질것이 아니라
개인 자영업자가 되기까지의 비용투자나 리스크라던지
한국의 긴 병원 운영시간과 높은 전문의 비율, 의료제도까지도 고려 할 부분들은 많다고 생각합니다.
그중에서도 제일 고려해야할건 한국의 높은 의료이용률이겠지만요.
일본처럼 전공의 월급은 국가에서 내면 좋을듯요, 그래서 전공의가 일보다는 교육에 더 비중을 둘 수 있다고 하더라구요. 반대급부로 전공의 수급도 국가에서 관장하고....
돈을 내야 목소리도 낼 수 있는 법이죠
돈을 내야 목소리도 낼 수 있는 법이죠
단편적인 지식으로 인턴, 레지던트 1년차, 전임의 1년차는 본인이 지원 안하면 그만이니 업무개시명령하고 상관 없을거 같은데 그렇게만 빠져도 타격이 커보입니다.
목록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