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새로운 뉴스를 올려주세요.
Date 23/03/25 08:47:30
Name   땡땡
Subject   '간호법·의료법'에 쏠린 눈…인천시醫 '의료 붕괴' 경고
https://www.doctors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149097

간호법이 요즘 핫하다길래 가져와봤습니다.

이번에 본회의부의되었다길래 간호법안을 쭉 읽어봤습니다.

사실 간호사 처우 개선이야 의료법 개정으로도 충분히 가능하다고 봐서 굳이 이런 단독법안이 필요한가 싶은 생각은 있습니다만, 의협에서 이렇게까지 호들갑(?) 떨어야하는 법안인가 싶긴합니다.

좀 세게 말하자면 제가 가지고 있는 의협 등에 대한 인상은 어떻게든 손에 쥐고 있는거 조금이라도 안뺏기려고 애쓰는 모양같아요.

병원에서 보면 의사도 물론 힘든 직업이지만, 간호사도 힘들게 일하고있고, 실제 퇴사율이 그걸 증명하고 있습니다. 그래서 이런 법안을 통해 처우를 개선하고 음지의 영역에 있던 PA 등 전문간호사 체계를 가다듬는거 전 좋다고 보거든요.

인터넷 커뮤니티에서 떠도는 것처럼 의원에서 간호사 무조건 고용해야한다는 것도 법안보니까 아니고, 간호사 업무범위도 지금처럼 진료보조로 되어 있고, 단독 개원 이런건 불가능하고요. (법개정이 쉬워져서 앞으로 그렇게될거라고 하는데 그게 쉬울까 싶습니다. 간호사가 단독개원해서 뭘 할 수 있다고) 오히려 읽어보니까 의사보다는 간호조무사 분들이 더 영향을 많이 받을거 같은데 말이죠.

물론 법의 의도처럼 될지는 모르지만, 같은 직군에서 일하는 동료끼리 처우 개선된다고 하면 좋아할 일 아닌가 싶습니다. 병원에서 간호사가 할 일을 인턴에게 떠넘기는 일이 비일비재하고 일부 과에선 서로 사이가 안좋다고는 하던데.. 제가 아직 학생이라 너무 모르나싶기도 하네요.

홍차넷에 이미 필드에서 일하시는 선배님들이 많이 계셔서 조심스럽기는 합니다만, 어차피 우리나라에서 의사의 의료행위는 배타적이고 상당히 지위가 확고한데, 이정도 법안으로 어느정도 내주면(?) 뭐 얼마나 안좋아진다고 그러는지 저는 잘 모르겠습니다.



0


타 보건의료직역의 업무범위 침해라던지 모호한 ‘관리감독’ 권한이 더 문제될 수 있죠. 전에도 말했지만 간호쪽에서 vs 의사만 부각시키는 것도 언더독으로 간주되고 싶어서 짜는 의도적인 프레임이라고 봅니다.
응급구조사, 임상병리사, 의무기록사 이런 분들은 위기감 크게 느끼겠다 싶읍니다. 실제로 같이 일하는 구조사들은 지금도 필드에서 간호사들에게 파이 계속 파먹히고 있거든요. 의사 외 단체 분들의 스탠스가 의협 병협보다 더 강경하다는 소문도 있고, 보건노조 내에서 간호 vs 타직역 갈등이 기사화된 적도 있읍니다
처우개선이랑 pa 제도 정비는 필요합니다. 근데 그게 새로운 법을 만들어서 타 직역을 건드리는 형태가 되어야 하는지는 의문입니다
10
좋은말씀 감사함니다. 일반인들 인식이 그냥 의사와 간호사 밥그릇 싸움으로 치부되는거 같아서 정말 그런가싶어 저도 찾아보았습니다.
릴리엘
어.... 간호법 반대하는 단체는 의협뿐이 아니라, 타 의료직군 단체도 있는데요. 오히려 반대단체로 의협만 부각시키는 것이 찬성단체의 프로파간다라고 할 수 있어요. 의협은 뭘 갖다붙여도 정치적으로 때리기 가장 만만한 동네북이거든요.
12
이 건은 의사 vs 간호사 가 아니라 간호사를 제외한 의료직군 vs 간호사 쪽에 더 가깝습니다.
3
시지프스
이래서 의협 걸고 넘어지는거죠. 성능 확실하네요
ㅋㅋ ‘의사’하면 어그로 잘 끌리지 않습니까. 학교 커뮤니티에서 불타길래 뭐지, 하고 저도 찾아봤습니다
당근매니아
뭐 위에서 다른 분들이 간호법 찬성하는 진영이 의협을 의도적으로 부각시킨다고 하시는데, 링크는 정작 의협에서 직접 발간하는 신문 같긴 하네요. 의협을 물고 늘어진다고 보기보다는, 다른 관련직역의 협회들보다 의협의 정치적 발언력과 영향력이 세다고 보는 게 맞지 않나 싶어요.
의협의 정치적 발언력과 영향력이 세다는 건 말도 안되죠. 좌우 가리지 않고 정부는 의협을 개같이 무시해왔던게 현실인데요. 전문직하면 의사와 함께 언급되는 변호사의 면허 관리 권한은 변협에 있지만 의사 면허 관리 권한은 의협에 없습니다.
당근매니아
면허관리 권한 측에서는 그럴지 모르겠으나, 헌법재판소 등에서 직역간 다툼이 문제되었을 때 절대 패소하지 않는 집단 두개가 말씀하신 변협과 의협입니다. 타투 관련 분쟁을 비롯해서 헌재가 의협 손을 들어주지 않은 결정례가 거의 없는 수준이에요.
여우아빠
헌재정도 되는 위치에서 의협같은 단체의 눈치를 보고 판결을 편들어주고 하지는 않을 것 같은데요... 그건 그냥 법논리 측면으로 봐야 되지 않을지;; 헌재를 눈치보게 할 정도의 영향력이라면 이런게 이슈가 되지도 않았겠죠.
1
저도 자세히 안다고 말하기는 어렵지만, 의협 자체가 좀 콩가루 같이 되어 있긴 하고 기능을 잘 못하고 있다고 생각합니다.(한 나라의 주요 의사단체라면 건강, 보건 이슈 관련해서는 정확한 정보 전달 및 여론을 주도할 정치력이 필요하다고 생각합니다.) 의사들의 참여율도 저조하고, 관심 못받는 지방자치 같은 느낌? 이전에 꽤 이슈가 되었던 전 의협회장님의 득표수가 6000표 정도로 당선이 되었는데, 한국 의사 수의 5% 정도입니다. 이정도면 대강 돌아가는게 짐작이 가실까요.. ㅠㅠ
목록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공지 뉴스 게시판 이용 안내 1 토비 16/09/01 29177 4
38877 게임한화생명·T1>젠지>디플러스 기아>KT?, 규모의 싸움 ‘쩐(錢)’ 쓴 한화생명이 증명했다 3 swear 24/09/19 801 0
38876 사회끝까지 기록 찍고 물러나는 더위…20일부턴 전국 '많고 거센 비' 7 the 24/09/19 941 0
38875 경제"월 50만원 부으면 5년 뒤 4027만원"…中企 재직자 저축공제 나온다 8 Groot 24/09/19 1176 0
38874 스포츠‘대시’ 이대성, 십자인대 파열…시즌아웃 위기 1 danielbard 24/09/19 761 0
38873 정치(단독)"대통령과 여사에게 전화했다. 내일 김영선 발표" 24 매뉴물있뉴 24/09/19 1515 0
38872 정치"군, '훈련병 얼차려 사망' 수사자료 고의 파기"…충격 폭로 5 활활태워라 24/09/18 1301 0
38871 국제헤즈볼라 호출기 동시 폭발…8명 사망·2750명 부상(종합) 15 다군 24/09/18 2598 0
38870 정치윤 대통령 15사단 방문…“전투식량·통조림 충분히 보급하라” 23 알탈 24/09/17 1531 0
38869 정치윤석열 정부의 모순된 ‘노동약자’ 프레임 3 오호라 24/09/17 918 1
38868 사회내년 고교 무상교육 없어지나…중앙정부 예산 99% 깎여 6 야얌 24/09/17 1610 0
38867 사회아버지의 결단, 어느날 달라진 제사....기리는 마음이 중요한 것 6 swear 24/09/17 1324 0
38866 국제저체중 추세가 우려되는 선진국 일본 42 오호라 24/09/16 2671 1
38865 정치코레일 암울한 미래… 달릴수록 ‘부채 늪’ 무려 21.3조 21 야얌 24/09/16 1594 1
38864 국제제2차 트럼프 암살 시도 발생 7 공무원 24/09/16 1691 0
38863 사회신장 이식받은 남편, 기증한 아내…이들의 ‘삶’ swear 24/09/15 1158 1
38862 기타매직펜으로 일기도 그리던 '날씨 아저씨'…김동완씨 별세(종합2보) 1 다군 24/09/15 1096 0
38861 스포츠기금을 개인연금에…? 돈관리 손놓은 대한체육회 1 swear 24/09/15 1052 0
38859 기타내가 죽으면 게임 계정 어떻게?…기업마다 천차만별 2 다군 24/09/14 1163 0
38858 정치[한일비전포럼] “한·일 관계 퇴행 막는 장치 필요…DJ·오부치 선언 2.0 만들어야” 3 dolmusa 24/09/14 892 0
38857 IT/컴퓨터손님 폰으로 자신에게 카톡 선물하기 한 대리점 직원 6 whenyouinRome... 24/09/13 1528 1
38856 IT/컴퓨터미 FDA, 에어팟 프로2 '보청기 기능' 승인 5 아란 24/09/13 1225 1
38855 정치“대통령실 이전, 방탄창호 15.7억 빼돌려” 감사원 적발 14 SOP 24/09/13 1528 0
38854 게임'스카웃' 이예찬, 롤드컵 못 갈 수 있다 11 swear 24/09/12 1399 0
38853 경제현대차·美 GM, 승용·상용차 공동으로 개발·생산한다 9 다군 24/09/12 1137 0
목록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댓글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