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새로운 뉴스를 올려주세요.
Date | 23/10/24 22:52:00 |
Name | 뉴스테드 |
Subject | ‘진정성’ 나르시시즘 넘어, 타자라는 세계로 들어가는 ‘모험’ |
https://n.news.naver.com/article/036/0000048900 나 홀로 주절거림은 작품이 아니다 타자에 대한 욕망 자체가 무의미해지고 쓸모없어지는 셈이다. 타자에 대한 욕망 자체가 없기에 만남 역시 의미가 없다. 내가 모르는 세계에서 모르는 존재를 만나며 모르던 것을 알게 되는 과정을 경험이라고 한다면, 타자를 통한 경험 역시 무가치하고 무의미해진다. 타자는 그저 성가신 존재일 뿐이다. 작가가 가장 두려워해야 하는 것은, 타자에 대한 두려움이나 만남을 비효율적인 것으로 만드는 매체 환경의 변화가 아니라 바로 진정성이라는 이념이다. 진정성의 나르시시즘은 이야기꾼에게 혹독한 대가를 치르게 한다. 작품을 만들 수 없다는 것이 그 대가다. 나를 제외한 타자들의 삶은 빤해 보이지만 그렇게 빤한 것으로 그려서는 인물이 생생하게 구축되지 않는다. 빤하다고 생각하는 만큼 인물도 빤하게 그려진다. 빤한 사람이 등장하는 빤한 이야기를 누가 읽겠는가. 그 글에서 읽을 수 있는 것은 그들을 빤하다고 생각하는 ‘이념’뿐이다. 이 이념이 선명해질수록 ‘사람’은 보이지 않는다. 사람의 삶에 대한 이념이 사람을 압도해 사람은 ‘쓰레기’가 돼버린다. 너는 진정성이라고는 하나도 없는 존재이고 ‘나’만 고독하더라도 진정성을 끈질기게 부여잡은 ‘인간’이 된다. 진정성이 자기를 성찰하는 도구가 아니라 세계를 판단하는 이념이 되면 세상은 진정한 자와 진정하지 못한 자로 이분화된다. 그리고 삶의 진정성을 추구하는 자신은 저 타락한 존재들을 보며 결코 웃을 수가 없다. 가뜩이나 진정하지 못하다는 것 때문에 ‘고뇌하는 정신’이 진정성인데 고뇌하지 않는 ‘무-지성’들을 보며 웃는다는 것은 불가능하다. 그래서 고뇌하는 정신은 이 세상과 사람들, 그리고 이웃들의 타락에 대해 더욱 고독하게 고뇌하게 된다. 진정하지 못한 자신을 고뇌하기 때문에 진정하지 못한 상태에서도 유일하게 진정한 존재로 홀로 남는 것이다. 이게 진정성의 나르시시즘이다. 이 나르시시즘은 타자가 두려워 만남을 회피하고 경험하지 못하거나 매체에 의지해 ‘게으르게’ 경험하는 것보다 더 위험하다. 세계의 비밀을 다 안다는 오만함에 의해 결론은 이미 나 있다. 세계와 타자를 관찰할 필요도 가치도 없다. 타자의 가치가 사라진 세계에서 유일하게 가치 있는 것은 유일하게 의미 있고 진정한 존재인 자신에 대한 ‘경험’이다. 오직 관찰할 만한 가치가 있는 것은 자기 내면뿐이다. 따라서 이야기할 만한 것도 자신의 내면적 고통과 그 고통에 대한 토로뿐이다. 혼자 주절거리게 된다. 이 주절거림을 작품이라고 할 수 없다. 이야기의 성좌는 진정성이지만 진정성 이념이 작가 자신에게도 이야기에도 돌이킬 수 없는 해악이 되는 이유다. ------- 작가는 아니지만 요즘들어 글에서 얘기하는 진정성의 나르시즘에 빠진것 같습니다. 작가가 아니기에 다행이라고 여겨야 할지 ㅎㅎㅎㅎ 4
이 게시판에 등록된 뉴스테드님의 최근 게시물
|
기사를 가져오고 나서 선생님이 쓰신 탐라글을 읽었습니다. 자기성찰의 도구로 써야할 진정성을 저는 세상을 판단하는 이념으로 오사용하고 있는것 같아서 반성을 많이 하게 되었어요.
이제야 댓글 달 여유가 되어 왔읍니다. 성찰되지 못하는 나는 어쩌면 공허한 개체죠. 그러다보면 대상으로 개념화된 타인을 통해서만 읽을 수 있는 게 자신이 되고, 이를 반복하다 보면 타인은 그저 자신을 비추는 용도로 사용되어야 할 존재로 전락하고 말죠. 본문에 비추어보자면 이른바 이념을 위한 소모품? 그래서 종종 발생하는 정치적 논쟁에서 타인이 그런 방식으로 사용되고, 그러는 동안 인격이 소거되는 현장을 많이 발견하게 되읍니다. 여기만 해도 이따금 발생하는 일이더라고요. 볼 때마다 못내 씁쓸함을 감출 길이 없어 어딘가에 토해놓곤 하는데 그 또한 유사한 소거를 이끌어내곤 하며 괴로움은 연장되곤 하읍니다. 그래서 전 대충 멍청이로 살기로 했어요 ㅋㅋㅋㅋ...
목록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