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질문 게시판입니다.
Date 20/09/09 19:59:05
Name   이그나티우스
Subject   노후자금이 얼마나 필요할까요? 그리고 어떻게 모아야 할까요?
인간의 존엄성이 무너지지 않는 노후생활을 보내기 위해 필요한 노후자금은 얼마나 될까요?

대신증권의 블로그의 한 포스팅(https://m.blog.naver.com/daishin_blog/221465678741)에 따르면 1인가구 기준으로 최소 생활비는 월평균 약 100만 원, 쾌적한 생활을 위해서는 약 150만원 정도가 필요하다고 추산하고 있습니다. 저도 자취해보니 사회생활을 적극적으로 안하는 연령대라면 대충 그정도가 맞는 것 같습니다.

그렇다면 대충 6~70대에 은퇴한다 치고 은퇴 후 30년 정도 산다고 하면 100만원*12개월*30을 하면 총 3억 6천만 원이 됩니다. 물론 이건 대단히 아주 심각하게 러프한 계산이고 금고속에 넣어두지 않는 이상 연금현가 할인, 인플레이션율 등등 다양한 요소를 고려하면 실제 필요한 금액은 차이가 있겠지만 대략 저 언저리에서 이동한다고 볼 수 있을 것 같습니다. (적어도 제 생각에는)

제일 좋은 것은 어디 건물주라도 되어 매달 150만원씩 따박따박 나오는 것이겠지만, 그건 무리겠고 아마도 직장에 붙어있는 동안 매달 꾸준히 저금하거나 국채 같은 안전자산에 투자해 저 돈을 만드는 수밖에 없겠지요. 그렇다고 없으면 자살각이 나오는 노후자금으로 주식을 할 수는 없으니...

이건 어디까지나 제 계산법이고, 이 글을 읽으시는 다른 분들은 본인의 노후생활비, 은퇴 후 생활비로 대략 어느 정도가 필요할 것으로 추산하고 계신지요? 그리고 그 금액을 어떻게 마련하실 생각이신가요? 다른 분들의 의견이 궁금합니다.



1


켈로그김
국민연금 + 우체국 연금보험
...어떻게든 되겠지. .하고 있읍니다.
산세베리아
샘님같은 전문직은 임대수익과...에또
건강하시면 평생 약국하시쟎아요ㅎㅎ
우리동네도 정말 생명연장의 꿈을 보여주시는
송해할아버지랑 야너까도되는분이
아직 현역으로 약국하세요ㅎㅎ
뭔가 와 장수가 완전보장 쌉가능하겠다 믿음이감..
켈로그김
임대수익은 얻을 마음도 없는데다
마음이 있다고 해도 그럴 상황이 올 가능성은 1/2 밖에 안됩니다.
로또 1등과 같은 확률(...)
산세베리아
젠장 선생님이 쌉가능해야
저한테도 차례가올동말동
난 이생망ㅜㅜ인가...
낙수효과 ㄱㄱㅆ!
얻을마음없단분은 첨뵈었습니다ㅎㅎ
암튼 형님이 잘되셔야합니다ㅎㅎ
이그나티우스
참 연금제도가 앞으로 어떻게 될지... 제 세대는 솔직히 장담은 못할 것 같습니다.
켈로그김
저도 장담은 못하는데,
고갈되었다고 끝나는건 아니라고 생각은 합니다.

...사실 지금 당장 한달한달이 위태위태합니다(...)
보이차
잘 모르지만 연기금 수익성도 개선할 겸 겸사겸사 부동산 묶고 한동안 공매도 금지 + 유동성으로 증시 부양할 거라 생각합니다.
뉴딜 펀드 어쩌고도 연기금 밀어주려는 의도가 큰게 아닌가 싶구요
인구는 줄어도 사람들이 들고 있던 돈은 줄어드는게 아니니까 부동산 묶고 증시로 흡수하면 연기금도 더 버티지 않을까 싶습니다.
이그나티우스
저도 어떻게든 연기금의 투자를 보전하는 움직임이 있을 거라고는 생각하는데, 문제는 제 대기순번이 한참 뒤라서... ㅠㅠ
사십대독신귀족
노년이 되면 잔병치레는 물론이거니와
크게 아플 확률이 높아집니다.

그런 점에서 150만원은 생활비로야 충분하지만
갑자기 큰 병이 걸려 들어갈 돈들을 생각하면
모자르지않나 생각합니다.
이그나티우스
그래서 저도 병원비 조로 목돈을 들고 있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존보글
https://keep-ones.me/#/paradise-calculator

질문에 대한 직접적인 답은 못 드려도, 간접적인 도움은 될 듯합니다.
이그나티우스
감사합니다. 한번 보고 연구해보겠습니다.
회색사과
솔직히 회사원으로 부를 축적하기는 힘든 시대인 것 같구요.

저희 때 되면.... 물려줄 생각 포기하고 살던 집 팔아서 실버타운 들어가야 하지 않을까 생각중입니다.

주택연금이라고 하나요?? 기준이 9억인 것으로 아는데...
상한만 좀 늘어나면 매우 좋은 노후플랜인 것 같습니다.

살던 집 판 돈만큼 다달이 주고, 죽을 때 까지 살던 집 살아도 되고... 쓰고 살다 집값보다 넘어가도 걱정없고,
집값보다 덜 받고 떠나면 자식한테 양도되고...
이그나티우스
일단은 주택연금... 상당히 조건이 괜찮은 것 같습니다. 다만 이게 반대로 가입자에게 유리하다보니 나랏돈이 얼마나 그 제도를 떠받치고 있을 수 있느냐... 그 부분은 살짝 걱정이긴 합니다.
어머니 친구분이 실버타운 들어가셨는데 후회하신다더군요.(70대)
주변에 애들도 보이고 젊은 사람들도 보이고 해야 삶에 활기(?)가 도는데, 나이든 사람들만 보이니 더 늙는 것 같다고..
시설과 서비스는 좋다고 하더라고요.
노후걱정 없는 '金퇴족'…40대부터 격차, 금융자산 평균 1.2억
https://m.yna.co.kr/view/AKR20200909072300002

아직 보고서 등록이 안 되었습니다.

요건 다른 보고서
http://www.hanaif.re.kr/kor/jsp/board/board.jsp?sa=ci&bid=92&no=34410&av=U

개인별로 차이가 큰 것 같습니다.

현재나 나중의 생활 수준이 있을 것이고, 최소한 그 수준은 유지하고 싶겠지만, 쉬운 일은 아닌 것 같습니다.
이그나티우스
자료 감사합니다. 꼭 읽어보겠습니다.
화이트카페모카
노후 병치례는 지금부터 일찍 자고 하면서 피로가 없는 컨디션 유지하면 돈값 굳히고 있고 혹시 모를 부모님 병원비를 미래에 최대 지출로 생각해서 저는 그냥 최소한으로 생활비만 쓰네요.
아침은 그냥 밥 몇스푼 퍼먹고 점심은 2000원 김밥 먹고 저녁은 냉장고에 있는거 해먹는데 도저히 인간 같지 않은 삶같아도 훗날이 편할거 생각해지니 그럭저럭 수도승(?) 생활을 이어가네요.
어자피 버는 돈은 저마다 다를테지만 최대한 아낄수 있는데까지 아끼는게 좋다고 생각합니다.
물질적 욕구는 이미 운동으로 해소 해가고 있어서
딱히 시계나 옷 같은건 거들떠도 안보는 성향으로
바뀌어간지 좀 오래 됐고요
1
이그나티우스
저도 젊어서부터 쉽사리 씀씀이를 늘리지 않으려고 노력중인데 쉽지는 않은 것 같습니다. 일단 한번 늘어난 씀씀이를 줄이긴 어렵기 때문에.. 말씀해주신 부분을 보니 아주 모범적이신 것 같습니다.
1
화이트카페모카
살다보니 먼저 인생을 앞서서 살아가신 분들 지켜보니 젊을때 씀씀이가 크면 노년에 어찌 되가는지 여러번 봐와서 절약하면서 지내네요.
젊을때는 돈 없이 지내도 젊음으로 이겨내고 버틸수는 있지만 나이 먹고서는 돈에 기대기는 해야 한다는걸 저희는 벌써 부터 알아챘으니 화이팅 입니다~
1
언년이
저도요.. 하루에 한끼만 먹어도 충분하더라구요
1
화이트카페모카
인간이 지금처럼 3끼 꼬박 먹는 생활은 그리 오래되지 않았고 오히려 1끼나 2끼 먹었던 기간이 길었어서 배불리 먹으면 1끼도 충분하다고 어디서 들었는데 저는 3끼 먹으면 체하는거 같아서 1끼 먹던가 2끼 먹네요
1
Folcwine
매년 700만원 세액공제 받으면서 연금펀드에 30년 넣어야죠. 국민연금 / 퇴직금 / 개인연금 3단계 구조에서 자산배분을 고민하면 젊을수록 역시 주식 등 위험자산 비중을 크게 잡아야 한다고 봅니다. 꾸준히 공부하고 장기 누적식 투자로 승부를 봐야죠.
이그나티우스
재형저축이 사라진 이상 결국에는 노후대비를 위해서도 리스크를 감수하지 않을 수 없다 봅니다. 우리나라 국민연금관리공단이 채권 4, 주식 4, 대체투자 2 정도의 비율로 포트폴리오를 짜는데 참고해봄직하다고 생각합니다.
Brown&Cony
아는분은 집포함한 총합 20억정도 있어야한다고 하는데...
전 현실적으로 집 포함 10-15억정도가 한계일것 같습니다.
열심히 연봉높히고 주식으로 늘려야...
이그나티우스
10~15억 이야기 말씀하신 부분 보고 깜짝 놀랐는데, 요즘 집값 생각하면 집값+노후생활비 하면 저정도 될 것 같습니다.
Brown&Cony
네 그놈의 집값이 참.... ㅠㅠ
가장 확실한건 절약/저축하는 소비습관인 것 같습니다.
금리가 떨어지면서 저축하는 사람을 비웃는 시대가 되었지만 제가 볼 땐 이것만한게 없는거 같아요.

집은 줄이기 어렵고, 스킨십은 물려지지 않으며, 돈 쓰는 소비 습관은 바꾸기 어렵습니다.
애초에 돈을 많이 쓰는 습관이 들지 않게 노력하셔요.

재테크는 그 다음인거 같습니다.
17
이그나티우스
저도 거시경제학 배울때 소비가 늘어나긴 쉬워도 줄어들기는 어렵다고 배웠는데 실제로도 그런 것 같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어떻게든 규칙적인 소비를 최소화하는게 중요할 것 같습니다.
역모기지?
1
이그나티우스
가 좋은 방법이라고 생각합니다. 문제는 이게 앞으로도 계속 죽 이 조건으로 갈 것이냐 하는건데..
김영웅
아 이거보니 무섭네요..더욱더 치밀하게 살아야겠다는 생각들어요
주니파
이게 저희 부모님 세대는 집이었습니다. 40대쯤 융자 껴서 집한채 구매하고 평생 융자를 갚고 융자를 갚을때쯤 은퇴하면 자식들 독립시키고 본인들은 더 작고 근교에 세가 저렴한대로 가고 가지고 있던 집한채를 월세로 주거나 역모기지 하면 연금과 함께 그럭저럭 먹고 살만해지는 테크트리죠.
여기서 중요한건 그 집이 어디에 있는 무슨 집이냐는 것이었죠. 서울 중심가에 재건축 가능한 집이라면 노후에 편하게 사는 것이고 외곽에 별로 오르지 않은 빌라라면 살기가 빡빡해지는거교...
지금도 청약제도를 잘이용하면 불가능한 테크는 아니라고 생각합니다. 이미 집값이 너무 올랐지만 향후 그만큼 오르거나 유지될 것이고 월세 전환률은 더 높아질 것이라고 생각해서요. 문제는 대출받아서 집을 사는게 가능하냐 마냐 인거죠...
목록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10291 경제하이브리드카 중고 구매 2 [익명] 20/10/18 3359 0
10267 경제집값이 오르는 이유 12 [익명] 20/10/13 3839 0
10210 경제분양받은 아파트 공동명의 해야 할까요? 12 [익명] 20/10/05 4919 0
10209 경제주식 문의 9 [익명] 20/10/04 3270 0
10204 경제주식할 때 회사 재무지표 2 [익명] 20/10/03 3444 0
10157 경제임대사업자 집주인이 5프로 인상+시세만큼 1억 차용하자고 하는데요... 9 dawn 20/09/22 5825 0
10132 경제신용대출을 받아야 할까요? 3 [익명] 20/09/17 3259 0
10127 경제수협은행 직장인대출은 1금융권인가요? 4 [익명] 20/09/16 3827 0
10121 경제CBDC를 발행하면 마이너스 금리 부과 가능하다는데... 2 [익명] 20/09/15 3215 0
10120 경제똑같은 위치의 집일때 집 종류에 따른 가격 차이 25 헌혈빌런(R) 20/09/14 5116 0
10117 경제주택담보대출은 일단 나오는 만큼 받는게 나은건가요? 9 오늘 20/09/14 4436 0
10100 경제아마존 직구를 하려 하는데요. 6 [익명] 20/09/11 2939 0
10089 경제노후자금이 얼마나 필요할까요? 그리고 어떻게 모아야 할까요? 33 이그나티우스 20/09/09 4571 1
10087 경제차량 경매로 구입해보신 분 계실까요? 1 [익명] 20/09/09 3632 0
10084 경제투과지역 부동산 취득세 및 전세대출관련 질문입니다.. 2 [익명] 20/09/08 3585 0
10083 경제미국 노동절로 인한 예수금 출금가능일자? 2 [익명] 20/09/08 3487 0
10023 경제ISA 관련 질문입니다. 5 [익명] 20/08/29 3050 0
10008 경제무주택자로 갈아타야하나요? 13 [익명] 20/08/26 3671 0
10006 경제지금 대출하는게 맞나요? 7 [익명] 20/08/26 3438 0
9954 경제경제학 서적 추천좀요 6 [익명] 20/08/17 3309 0
9938 경제해외주식 할 때 수수료가 적은 곳은 어디인가요? 11 [익명] 20/08/14 2998 0
9907 경제원룸 건물에서 특정 호수만 매매 가능한가요? 7 [익명] 20/08/08 4374 0
9906 경제전세 또는 주택 구매에 관한 질문 4 [익명] 20/08/08 3274 0
9881 경제1~2억 화끈하게 쓰기 29 [익명] 20/08/04 3583 0
9858 경제재무제표 구조를 정리해봤는데 오류 수정을 좀 부탁드릴 수 있을까요? 3 [익명] 20/07/31 4095 0
목록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4시간내에 달린 댓글

댓글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