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질문 게시판입니다.
Date | 16/04/21 09:20:10 |
Name | 하늘밑푸른초원 |
Subject | [역사]단군신화에 큰 의미를 두어 해석하는 것이 타당하기는 할까? |
우리나라의 고조선 역사는.. 정말 자료가 없어서, 모든 자료 다 긁어와도 A4 용지 3장을 다 못 채울 정도라고 알고 있습니다. 그런데, 질문이 있는데요. 뭐 단군신화를 '곰족이 호랑이족을 쫓아내고 환웅 일파랑 연합해서..' 등등의 식으로 해석할 수도 있다고 하는데, 이건 너무 무리수 아닌가요? 그냥 아무 생각없이 신화를 재미있게 지어냈거나 무슨 정치적인 메시지가 있다고 해도 후대에 상당히 각색될 가능성이 더 높지 않나요? 단군신화에 큰 의미를 두어 해석하는 것이 타당한가요? 0
이 게시판에 등록된 하늘밑푸른초원님의 최근 게시물
|
제 생각에 역사학에서 전래문헌속 이야기(신화 또는 검증하기 쉽지않은 고대 이야기등)를 대하는 태도는 크게 세가지로 볼수있습니다.
첫째는 이 신화가 얼마나 사실에 기초하고있을까 혹은 어떤 의미일까부터 이 신화는 어떠한 내용을 전하기 위한 장치인가 등 내용 자체에 주목해 기본적인 질문을 던지는 방식이 있습니다.
둘째는 이 신화속에서 드러나는 당대 사람들의 정신세계와 당대 또는 그 이전의 세계에 대해 어떤 입장을 가지고 있는가라는 더 주제를 확장하는 접근방식이 있습니다.
셋째는 해당 텍스트가 전래되었다는 점에 주목해 ... 더 보기
첫째는 이 신화가 얼마나 사실에 기초하고있을까 혹은 어떤 의미일까부터 이 신화는 어떠한 내용을 전하기 위한 장치인가 등 내용 자체에 주목해 기본적인 질문을 던지는 방식이 있습니다.
둘째는 이 신화속에서 드러나는 당대 사람들의 정신세계와 당대 또는 그 이전의 세계에 대해 어떤 입장을 가지고 있는가라는 더 주제를 확장하는 접근방식이 있습니다.
셋째는 해당 텍스트가 전래되었다는 점에 주목해 ... 더 보기
제 생각에 역사학에서 전래문헌속 이야기(신화 또는 검증하기 쉽지않은 고대 이야기등)를 대하는 태도는 크게 세가지로 볼수있습니다.
첫째는 이 신화가 얼마나 사실에 기초하고있을까 혹은 어떤 의미일까부터 이 신화는 어떠한 내용을 전하기 위한 장치인가 등 내용 자체에 주목해 기본적인 질문을 던지는 방식이 있습니다.
둘째는 이 신화속에서 드러나는 당대 사람들의 정신세계와 당대 또는 그 이전의 세계에 대해 어떤 입장을 가지고 있는가라는 더 주제를 확장하는 접근방식이 있습니다.
셋째는 해당 텍스트가 전래되었다는 점에 주목해 텍스트의 변형이 어떤 과정을 거쳤으며, 왜 이러한 변형과정이 거쳤을까, 전래문헌이 과연 무엇을 보고 참고했나 등 텍스트의 역사성에 주목하는방식도 있습니다.
이러한 방식들을 염두에 둔다는 전제하에 저는 단군신화도 역사학적으로 충분한 의미를 찾을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이 텍스트는 분명 어느 시점인지는 불확실해도 한 과거의 기억이 전승되어 내려왔고, 또 전승과정에서 변한 모습이 있다면 그 또한 그 과정이 발생한 일련의 시간대를 이해할수 일는 자료일테니깐요.
첫째는 이 신화가 얼마나 사실에 기초하고있을까 혹은 어떤 의미일까부터 이 신화는 어떠한 내용을 전하기 위한 장치인가 등 내용 자체에 주목해 기본적인 질문을 던지는 방식이 있습니다.
둘째는 이 신화속에서 드러나는 당대 사람들의 정신세계와 당대 또는 그 이전의 세계에 대해 어떤 입장을 가지고 있는가라는 더 주제를 확장하는 접근방식이 있습니다.
셋째는 해당 텍스트가 전래되었다는 점에 주목해 텍스트의 변형이 어떤 과정을 거쳤으며, 왜 이러한 변형과정이 거쳤을까, 전래문헌이 과연 무엇을 보고 참고했나 등 텍스트의 역사성에 주목하는방식도 있습니다.
이러한 방식들을 염두에 둔다는 전제하에 저는 단군신화도 역사학적으로 충분한 의미를 찾을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이 텍스트는 분명 어느 시점인지는 불확실해도 한 과거의 기억이 전승되어 내려왔고, 또 전승과정에서 변한 모습이 있다면 그 또한 그 과정이 발생한 일련의 시간대를 이해할수 일는 자료일테니깐요.
목록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