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질문 게시판입니다.
Date 20/11/03 16:19:25
Name   시뮬라시옹
Subject   건축/건설 분야 변리사 전망
안녕하세요 회원님들!!!
저는 서울 H대학의 건설환경공학과에 재학중인 시뮬라시옹입니다.
(대학을 밝힌 이유는 저희 대학 변리사반이 좋은 성적을 내고 있는 점을 고려해주시길 바래서입니다.)

다름이 아니라 2학년 2학기가 절반 이상 지난 지금. 진로에 대한 고민을 하고 있는데요.
개인적으로는 피부질환으로 인해 군면제를 받은 상황이라, 같은 동성 동기들에 비해 2년정도 여유가 생겼습니다.
그래서 내년 3학년 1학기까지 재학하고, 2학기에 휴학을 할 예정입니다.

휴학하는 동안에 무엇을 할 것인가? 에 대해서 고민하려면 어느정도 취업에 대해 미리 고민을 해봐야할 것 같아서
아직은 잘 모르지만 들려오는 것에 의하면 저희 과의 70%는 공기업(한국도로공사,수자원공사등)에 취업하고
일부는 대기업(삼성물산,현대건설,대림건설,포스코건설등)으로 가고 나머지가 기술직행정고시(5급사무관)를 보거나
7급 공무원을 준비중 혹은 대학원 진학이라고 합니다.

공기업 혹은 대기업을 가기 위해서는 4학년 1학기에 대다수가 취득하는 토목기사(한국산업인력공단)와
한국사능력시험 2급이상, 토익 750점이상, 학점은..평균적으로 3.5이상 그 외 각 기업별 직무적성고사와 면접인것 같습니다.
그래서 이부분은 3학년 2학기에 휴학하고 준비하는 것보다는 이번 방학때 토익과 한국사능력시험을 준비하고, 학업에 정진한뒤
복학하면서 준비를 시작하면 될 것 같아 일단 미뤄두었습니다.

휴학하고나서라면 준비할 수 있는 것이 2가지 정도로 보이는데 1.기술직행정고시(5급사무관)과 2.변리사 자격입니다.
원래는 1번 진로를 생각 중에 있었는데요.부모님,친누나등 가족과 이야기하면서 내 적성에 맞는 직업이 가장 중요하다 생각했고
여러 검사도 거쳐보고 개인적으로 생각해보니 변리사도 저와 잘 맞아보이더라구요.(INTJ,새아이디어내기좋아함,자율성,소득 등)

그래서 전공을 살리면서 변리사를 준비해보면 어떨까? 즉 우선 1~2년가량 휴학하면서 변리사반을 준비해서 입반하고 

시험을 치뤄서 만약 자격증 취득에 성공한다면! 자격증을 소유한채로 다시 복학하여 일반 대기업 혹은 공기업 취업
-> 관련 실무하며 경력도 쌓고 인맥도 만들어서 추후 사무소 개업 혹은 기업 내 변리업무 담당.

실패시 -> 복학후 공기업 OR 대기업 루트. 를 생각해보았습니다.
한마디로 전 변리사로 바로 취업(전공분야외 기계분야등)하는게 아니라 자격증만 취득 후 전공분야를 살려서 훗날 건축건설전문 변리사가 되려는 겁니다.
 
그.런.데...
관련 분야 전망을 찾아보니 정말 자료가 거의 없더군요.
https://www.mk.co.kr/news/society/view/2020/01/21438/ 이 기사에 나온 분 정도가 전부이며 아주 가끔 대기업소속 기술연구소에서 채용공고가
뜰 뿐 건설분야에서 변리사에 대한 수요가 거의 없어 보였습니다.하이브레인 넷 같은 곳의 의견을 찾아보니
아무래도 건설분야는 신기술보다는 효율이 낮더라도 검증된 안전한 기술(마치 NASA의 우주 컴퓨터가 i386과 같은 매우 낮은성능 그러나 보장되고 방사능에 안전한 것을 사용하듯)을 사용하려는 경향때문에 그런 것 같다라고 하더라구요.

그렇지만 개인적으로는 최근에 스마트 건설관리라던가 GTX같은 대심도 건설, 혹은 초고층 건설의 경우 기존 건설 기술 외에 신기술이 다수 적용되는 것으로 알고 있어서 건설분야에도 4차산업혁명(..) 이 시작되고 있어서 앞으로 특허,상표 관련 수요 및 분쟁수요가 있을 것 같고 그에 비해 관련 지식을
지닌 변리사의 수는 매우적어서 희소성이 있다 생각이 드는데 어떻게 보시나요? 아무래도 더 정확한 답은 지도교수님이나 변리사반 등에 문의하거나
수소문해서 동문 분중에 찾아뵙는 것도 좋아보이는데 일단 홍차넷 여러분에게도 여쭤보고 싶습니다.





0


시뮬라시옹님 글을 읽어보니 변리사는 희소성이 있어도 시장이 크지 않으면 전망이 어둡지 않을까요?
공기업에서는 전문직 자격증이 있으면 급여를 더 주긴 합니다. 제 분야가 아니라 좋은 답변은 못드리네요..
시뮬라시옹
저도 시장에 대해 의문을 갖고 있긴 합니다...다만 앞으로 더 커질 일만 남지 않았을까? 싶어서 그런거였는데
어떨지 모르겠습니다..ㅎㅎ

(PS.언덕 아래라 정말 행복합니다 ㅎㅎ 인문대쪽은....절레절레)
1
사나남편
10년전 기억으로 한국에서는 변리사혼자 업무를 진행할수가 없고 변호사가 변리사 업무를 다할수있기때문에 로스쿨가시죠!
시뮬라시옹
로스쿨 가기엔 학점이 많이 부족한것 같읍니다ㅜㅜ ㅋㅋㅋㅋㅋㅋ 변호사변호사..좋은데...음..ㅁ음..ㅎㅎ
- 일단 붙고 나서 생각하셔도 됩니다. 건축 전공 하셨어도 석박사 다른데로 지원해서 그쪽 분야에서 일하셔도 되고요.
- 변리사 업무에서 중요한건 창의력이 아닙니다. 꼼꼼하고 성실한게 제일이에요. 창의력은 연구원에게 필요한겁니다. 물론 청구항을 창의적으로 쓰면 되지만요.
- 로스쿨 + 변호사 선택지가 있기는 한데 변리사 자격증 있는 것에 비해서 특허 펌쪽에서 특별히 더 선호하지는 않습니다. 변리사 자격증 자체가 fade out 된것도 아니고... 회사에서나 클라이언트들도 업종에 따라서 공대전공 변호사보다 변리사를 더 선호하는 경... 더 보기
- 일단 붙고 나서 생각하셔도 됩니다. 건축 전공 하셨어도 석박사 다른데로 지원해서 그쪽 분야에서 일하셔도 되고요.
- 변리사 업무에서 중요한건 창의력이 아닙니다. 꼼꼼하고 성실한게 제일이에요. 창의력은 연구원에게 필요한겁니다. 물론 청구항을 창의적으로 쓰면 되지만요.
- 로스쿨 + 변호사 선택지가 있기는 한데 변리사 자격증 있는 것에 비해서 특허 펌쪽에서 특별히 더 선호하지는 않습니다. 변리사 자격증 자체가 fade out 된것도 아니고... 회사에서나 클라이언트들도 업종에 따라서 공대전공 변호사보다 변리사를 더 선호하는 경우도 많습니다. 그리고 어차피 소송은 펌단위로 하는거라 변리사라서 안되고 변호사라서 더 좋고 그런건 없습니다. 보통 펌에서 팀으로 진행합니다. (소송 변호사 + 실무 변리사..)
- 건설쪽 특허 자체는 전기/기계에 비해서는 한참 저조한 것으로 알고 있고, 수요도 그렇게 많지 않으며 전망도 썩 좋은건 아닙니다. 희소성이 있다고는 하나 보통 그 희소성에서 나오는 이득은 이미 쥐고 있는 사람들의 것이 될 확률이 높지 이제 막 실무를 하는 저연차 변리사에게 오는건 아닙니다. 물론 석박사를 추가하거나, 다양한 언어가 가능하거나, 오래 버텨서 짬 많이 먹으면 다르겠지만요.
- 자격증 취득 후 건설건축전문 변리사가 되는게 꿈이라고 하셨는데, 그러면 일단 석박을 함께 따셔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 일반적으로 펌에서 짬먹은 변리사가 아니라 바로 나와서 개원하는 변리사는 100% 망한다고 보시면 됩니다. 이바닥은 대기업/중견기업/산학연 클라이언트를 끼고 있어야 먹고 살 수 있는데 펌 파트너 출신도 아니고 심사관 출신도 아닌데 석박 + 변리사만 가지고서는 개업 못해요.

- 즉, 변리사 합격 + 전공분야 학석박 + 실무경력 6-7년 이상을 채우셔야 해당 분야 전문 변리사라고 어디 가서 말이라도 꺼내볼 수 있습니다.
음. 변리사 합격 + 학사 + 실무 경력으로 이후 변리사를 한다고 하셨는데, 그것도 괜찮은 방법일 수도 있겠습니다. 다만 취업한 회사에서 특허업무를 하지 않는다면 변리사 경력을 따로 쳐주진 않고 사원으로만 일하게 될거라서 매년 자격증 유지비용 + 의무연수 교육비용으로 꽤 돈이 나가실거에요.
1
시뮬라시옹
와우 자세한 설명 감사드립니다.
하..생각보다 변리사 자격증을 딴 뒤에도 갈길이 멀군요...당연히 그렇지 제 생각이 짧았던 것 같습니다.

일단 대학원 진학은 거의 필수인 것 같고 그 이후에 바로 변리관련 실무를 쌓거나 아니면 건설실무를 하면서 지속 비용지출이
발생하게 된다..는 것 같군요.대학원도 그렇고 아니더라도 지속비용지출까지 생각하면 생각보다 목돈이 꽤 드는 작업이군요.
취업도 늦어지는 거고...이 모든게 바로 1년만에 합격한다 해도 걸리는 거구요.
생각보다 기회비용이 되게 크네요.그에 따르는 소득이 오는지도 궁... 더 보기
와우 자세한 설명 감사드립니다.
하..생각보다 변리사 자격증을 딴 뒤에도 갈길이 멀군요...당연히 그렇지 제 생각이 짧았던 것 같습니다.

일단 대학원 진학은 거의 필수인 것 같고 그 이후에 바로 변리관련 실무를 쌓거나 아니면 건설실무를 하면서 지속 비용지출이
발생하게 된다..는 것 같군요.대학원도 그렇고 아니더라도 지속비용지출까지 생각하면 생각보다 목돈이 꽤 드는 작업이군요.
취업도 늦어지는 거고...이 모든게 바로 1년만에 합격한다 해도 걸리는 거구요.
생각보다 기회비용이 되게 크네요.그에 따르는 소득이 오는지도 궁금은 합니다.기회비용이 의미있을정도인지..

그리고 말씀하신 적성부분도 잘 생각해봐야겠네요.다시 곱씹을수록 변리사=변호사인데 기술에 관련된거임 같은 느낌이 강하네요.하긴 말그대로 '이익'을 변호하는 '사'이니까...음..정말 감사합니다.
다시 생각해봐야겠어요.
LemonTree
SCV님께서 잘 설명해주셨는데요, 변리사 합격 후에 휴업하시면 재개업까지 자격증 유지비용이나 의무연수는 면제되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그리고 박사가 있으면 좋긴 하겠지만 들어가는 노력,시간,비용 등 만만치 않은 것을 생각할 때 변리사+박사는 약간 무리가 되지 않을까 싶기도 하고요. (제가 다니던 회사의 특허부서나 거래하던 특허사무소에서 변리사+박사는 거의 못봤군요. 7~8년전 이야기이긴 합니다만..) 석사는 있으면 좋을 것 같습니다.
1
판다뫙난
변리사는 기계 전자 화학 상표 이렇게 분류되고 건설출신은 기계변리사로 묶입니다. 건설쪽 출원 자체가 작다보니 건설만 하는 변리사는 없을겁니다.

변리업 실무가 아닌 건설관련실무를 쌓고 변리업에 뛰어드는건 리스크가 있습니다. 변리업 실무를 2년 내지 3년쯤 해야 어디서든 써먹을수 있는 변리사의 최소 능력이 갖추어지는데, 일반회사 다니다가 다시 수습 변리사부터 시작하려면 수습 자리를 구하기가 쉽지 않을수도 있습니다.

즉, 합격후 수습변리사 딱지 떼고(의무연수 6개월) 이후에 말씀하신 루트의 길을 걷는건 고려해볼수 있으나, 수습 떼기도 전에 다른길부터 가는건 리스크가 있어보입니다.
시뮬라시옹
그렇군요.변리업 실무를 쌓아야 할거라 막연히 생각은 했는데 이걸 건설관련 경험과 어떻게 연결짓지?
고민이 됩니다.아무래도 SCV님이 말씀하신것처럼 석/박 테크를 타는게 좋을지...
그리고 어쩐지 건설환경공학출신 변리사 검색을 해보니 다들 기계/건설 이런식으로 표시해두셨던데
그게 다 기계분야를 다루고 그 중에서 건설도 다룬다는 뜻이었군요.
판다뫙난
저희사무소에 대전 K대 건설환경쪽 석박밟고 이후 변리사따서 들어오신분이 있는데 그냥 기계변리사일 합니다. 이분은 전공으로 먹고사는게 쉽지 않아서 변리사를 택했다고 합니다.
개인적으로는 석박의 유무가 변리업에 큰 도움이 되지는 않는다고 생각합니다만, 나중에 개업을 생각하면 홍보수단이 될수는 있겠습니다.

특허라는 본질적 특성을 생각해보면, 상당한 비용지출과 기술의 공개를 수반하면서까지 특허출원을 해야하는 기술인가를 고려해봐야됩니다. 즉, 한국에서 경쟁이 치열하고 시장이 큰 분야의 기술이 특허출원의 가치가 있다는 말입니다.
... 더 보기
저희사무소에 대전 K대 건설환경쪽 석박밟고 이후 변리사따서 들어오신분이 있는데 그냥 기계변리사일 합니다. 이분은 전공으로 먹고사는게 쉽지 않아서 변리사를 택했다고 합니다.
개인적으로는 석박의 유무가 변리업에 큰 도움이 되지는 않는다고 생각합니다만, 나중에 개업을 생각하면 홍보수단이 될수는 있겠습니다.

특허라는 본질적 특성을 생각해보면, 상당한 비용지출과 기술의 공개를 수반하면서까지 특허출원을 해야하는 기술인가를 고려해봐야됩니다. 즉, 한국에서 경쟁이 치열하고 시장이 큰 분야의 기술이 특허출원의 가치가 있다는 말입니다.

LG, 삼성, 현차의 존재만으로 외국기업이 한국에 출원을 안할수가 없는 구조이다보니, 한국기업이 한국에 출월하는 건수도 많고 외국기업이 한국에 출원하는 건수가 많습니다.

그런데 건설환경쪽은 국책사업으로 흘러가는 경우가 많고, 경쟁업체가 다수 존재하지 않을뿐만 아니라, 외국기업이 한국에 진출하는것도 쉽지 않아 보이므로, 특허출원이 많을수가 없습니다.

그러니 건설전문변리사는 쉽지 않아 보입니다.
1
시뮬라시옹
답변 감사합니다.아무래도 건설 쪽 특성이 작용하는 것 같군요.
음..고민해보겠습니다.
LemonTree
희소성이 있다는 뜻은 뒤집어서 말하면 수요도 적다는 말이 될 수 있습니다. 제가 특허부서로 이동해서 업무를 시작할 때에는 제 분야가 희소성이 있어서 즐겁게 업무를 할 수 있었습니다만, 나중에는 해당 분야 특허가 잘 나오지 않아서 학부생만도 못한 지식으로 다른 분야 특허를 보아야 했던 일도 있습니다. 개인적으로 훌륭한 변리사의 자질은 좁은 분야를 깊게 파는 것보다, 넒게 두루 알면서 특정 주제에 대해 빠르게 접근할 수 있는 능력이라고 생각합니다. 물론 청구항 해석/작성 능력과 특허법 분야 트렌드를 끊임없이 습득하는 것은 기본적으로 필요하겠지요.
1
시뮬라시옹
말씀을 들으니 더 이해가 잘 됩니다.

결국 변리사는 좁은 분야 보다는 넓은 파트의 다양한 주제를 다루게 될 일이 더 많으며,
그러한 다양한 주제의 많은 양을 빠르게 이해하고 다룰 수 있는 능력을 요하며
+ 법조문(청구항혹은소송)해석 및 관련 트렌드 파악 능력이 필요로 하는군요.

개인적으로 제 개인의 장점이 정보탐색능력과 핵심파악 및 언어능력이라 생각하는데
잘 맞을수도 있을 것 같습니다.제 전공분야를 살려서 하는 직업이라 생각했는데
다시 생각해보니 전공보다는 이과적 성향및 제반지식을 살려서 문과적 업무를 하는 직업인... 더 보기
말씀을 들으니 더 이해가 잘 됩니다.

결국 변리사는 좁은 분야 보다는 넓은 파트의 다양한 주제를 다루게 될 일이 더 많으며,
그러한 다양한 주제의 많은 양을 빠르게 이해하고 다룰 수 있는 능력을 요하며
+ 법조문(청구항혹은소송)해석 및 관련 트렌드 파악 능력이 필요로 하는군요.

개인적으로 제 개인의 장점이 정보탐색능력과 핵심파악 및 언어능력이라 생각하는데
잘 맞을수도 있을 것 같습니다.제 전공분야를 살려서 하는 직업이라 생각했는데
다시 생각해보니 전공보다는 이과적 성향및 제반지식을 살려서 문과적 업무를 하는 직업인것 같습니다.
전공이 크게 중요하다기 보다는...(물론 석사를 해서 특정분야의 전문성도 기르면 좋긴하겠지요)
LemonTree
그런데 제 분야가 너무 마이너해서 더 그런 것도 있었고요, 통신분야 같은 것은 수요가 많아서 한 분야만 가지고도 롱런할 수 있었다는 느낌입니다. 통신분야는 진입장벽이 좀 있어서 다른 특허 하던 사람들이 쉽게 손대지 못하는 점도 있었고요.
다만 4차산업혁명은 그렇게 진입장벽이 많이 높은 분야는 아니라는 생각이 듭니다. 아직 모셔둔 인공지능 책도 못 읽고 있는 제게는 엄청난 장벽입니다만.. ^^
1
목록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10521 진로소음 있는 도로변 남향 vs 조용한 북향 건물. 어디가 좋을까요? 24 [익명] 20/11/28 6767 0
10505 진로Data 분야로 취업시 석박사 필수이죠? 17 NIKES 20/11/26 4732 0
10476 진로앞으로 어떻게 해야할까요. 10 [익명] 20/11/19 4092 0
10465 진로로스쿨 진학에 대해서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12 쿠팡 20/11/17 4721 0
10449 진로20대중반에 학업, 진로 고민 4 [익명] 20/11/14 3500 0
10421 진로진로에 대해서... 17 [익명] 20/11/09 4467 0
10402 진로일이 많은 일복은 좋은 것일까요? 16 [익명] 20/11/06 7013 0
10389 진로대학원 관련해서 교수님께 어떤 질문을 드려야 할까요? 4 소반 20/11/04 5047 0
10387 진로자신을 소개해보시오(2500자) 21 보리건빵 20/11/03 4641 0
10386 진로건축/건설 분야 변리사 전망 14 시뮬라시옹 20/11/03 9292 0
10370 진로뭐 배우거나 취미로 할만한게 있을까요? 16 syzygii 20/11/01 5331 0
10359 진로행복하게 돈 버는법은 뭘까요? 26 kyun 20/10/30 4921 2
10355 진로국내/해외대학원과 군 문제, 어떻게 하는게 좋을까요 9 [익명] 20/10/30 3497 0
10338 진로컴퓨터과학(CS) 세부 전공. 어디로 가야 하오리까.. 25 사이시옷 20/10/28 4684 0
10328 진로허위 경력 기재? 12 [익명] 20/10/26 3674 0
10317 진로학점 정정 신청하러 가면서 뭘 사서 가야될까요? 10 허니레몬티 20/10/23 4156 0
10301 진로꼬꼬마 신혼부부 주거플랜 설정 도와주세요ㅠㅠ 14 [익명] 20/10/21 4311 0
10268 진로군무원 질문입니다. 7 Vinnydaddy 20/10/13 4410 0
10265 진로신발 구매 vs 글입니다 15 Moleskin 20/10/13 3733 0
10220 진로정장을 하나 맞춰야 됩니다. 27 [익명] 20/10/06 4262 0
10206 진로인생 막장 테크트리 들어간것 같습니다.. 23 [익명] 20/10/04 8076 0
10182 진로40대 이직 영어 고민입니다. 5 [익명] 20/09/26 4036 0
10181 진로20대 초반으로 돌아간다면 50 [익명] 20/09/26 4789 0
10163 진로직장인분들 보람은 어디서 찾으시나요? 23 [익명] 20/09/22 3635 0
10150 진로문과생이 공대에 적응 할 수 있을까요 22 [익명] 20/09/21 7404 0
목록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4시간내에 달린 댓글

댓글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