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질문 게시판입니다.
Date | 22/02/10 16:14:57 |
Name | soulless |
Subject | 대학교 학자금 대출관련 질문 |
안녕하세요 첫째가 내년에 대학교를 가는데요 자금사정상 학자금 대출을 받아서 보내야 할것 같은데 어떤식으로 어떻게 지원되는지 하나도 몰라서 질문드립니다. 1. 학자금대출은 전액 다 나오는가요? 아니면 일부만 나오는가요? 2. 아이이름으로 대출을 실행하는거겠죠? 3. 은행해서 해주나요? 캐피탈? 학교? 4. 금액 값을때는 어떤식으로 값는가요? 그냥 다니던 회사 다녔으면 이런걱정도 안하는데 뭐...살다보면 이런일저런일 있는거겠죠... 아시는 분 답변좀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0
이 게시판에 등록된 soulless님의 최근 게시물
|
이번에 10년 학교다니고 졸업합니다
1. 소득분위에 따라 다릅니다 확인해 보셔요
10분위(제일 잘사는경우)이면 학자금 대출이 안나올수있습니다
2. 학생 본인명의로 나오는것 맞습니다.
3. 한국장학재단이라는 곳에서 대출이 실행 됩니다
4. 추후에 소득이 생길 경우 그때 상환시작하게 됩니다
1. 소득분위에 따라 다릅니다 확인해 보셔요
10분위(제일 잘사는경우)이면 학자금 대출이 안나올수있습니다
2. 학생 본인명의로 나오는것 맞습니다.
3. 한국장학재단이라는 곳에서 대출이 실행 됩니다
4. 추후에 소득이 생길 경우 그때 상환시작하게 됩니다
9~10분위면 취업 후 상환이 안되고 일반상환 학자금대출이 됩니다. 일반대학은 4000만원까지입니다.
https://www.easylaw.go.kr/CSP/CnpClsMainBtr.laf?popMenu=ov&csmSeq=732&ccfNo=2&cciNo=3&cnpClsNo=2
8분위 이하는
https://www.easylaw.go.kr/CSP/CnpClsMainBtr.laf?popMenu=ov&csmSeq=732&ccfNo=2&cciNo=3&cnpClsNo=1
등록금 이외에도 생활비대출 학기당 150만원이 있습니다
https://www.easylaw.go.kr/CSP/CnpClsMainBtr.laf?popMenu=ov&csmSeq=732&ccfNo=2&cciNo=3&cnpClsNo=2
8분위 이하는
https://www.easylaw.go.kr/CSP/CnpClsMainBtr.laf?popMenu=ov&csmSeq=732&ccfNo=2&cciNo=3&cnpClsNo=1
등록금 이외에도 생활비대출 학기당 150만원이 있습니다
1. 장학재단 통해서 전액 대출 가능합니다. 다만 일반상환, 취업 후 상환, 농어촌융자 등 대출상품에 따라 대출 금리와 거치기간, 상환 조건 등이 달라집니다. 어떤 상품을 선택하셔도 금액 자체는 전액이 맞습니다.
2. 네, 맞습니다. 다만 부모님 또는 보호자의 동의가 필요하고, 대출 실행 시마다 연락이 갑니다.
3. 한국장학재단이라는 교육부 산하의 준정부기관에서 지급합니다.
4. 상환 방식과 기간 등의 상환조건을 세부적으로 선택하실 수 있습니다.
일반상환의 경우 원리금균등상환, 원금균등상환 중 상환 방식을 선택하실 수 있으며... 더 보기
2. 네, 맞습니다. 다만 부모님 또는 보호자의 동의가 필요하고, 대출 실행 시마다 연락이 갑니다.
3. 한국장학재단이라는 교육부 산하의 준정부기관에서 지급합니다.
4. 상환 방식과 기간 등의 상환조건을 세부적으로 선택하실 수 있습니다.
일반상환의 경우 원리금균등상환, 원금균등상환 중 상환 방식을 선택하실 수 있으며... 더 보기
1. 장학재단 통해서 전액 대출 가능합니다. 다만 일반상환, 취업 후 상환, 농어촌융자 등 대출상품에 따라 대출 금리와 거치기간, 상환 조건 등이 달라집니다. 어떤 상품을 선택하셔도 금액 자체는 전액이 맞습니다.
2. 네, 맞습니다. 다만 부모님 또는 보호자의 동의가 필요하고, 대출 실행 시마다 연락이 갑니다.
3. 한국장학재단이라는 교육부 산하의 준정부기관에서 지급합니다.
4. 상환 방식과 기간 등의 상환조건을 세부적으로 선택하실 수 있습니다.
일반상환의 경우 원리금균등상환, 원금균등상환 중 상환 방식을 선택하실 수 있으며, 상환기간은 거치기간과 상환기간을 각각 최장 10년까지 설정하실 수 있습니다. 이 경우 거치기간 동안 매월 이자를 납부하셔야 합니다.
취업 후 상환은 학생 이름 앞으로 일정 이상의 소득(현재 연 2천만원 조금 넘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이 발생하는 시점부터 원리금 의무상환이 시작됩니다. 바꿔 말하면, 그 이상의 소득이 발생하지 않는 한 이자도 납부하실 필요가 없습니다. 의무상환액 역시 결정되는 공식이 따로 있으며, 소득에 따라 달라집니다. 물론 중도상환 역시 가능하고, 여타 대출 상품들과 달리 별도의 수수료가 부과되지 않습니다.
농어촌융자는 일반상환과 상환 방식 및 기간 등이 동일합니다. 다만, 이자가 전혀 발생하지 않기에 거치 기간 후 원금만 균등상환하면 됩니다. 단, 본인 또는 부모님이 농어촌 지역에 일정 기간 거주하셨거나 농어업에 종사하셨어야 한다는 조건이 있으며, 8분위까지만 수혜가 가능합니다.
각 대출상품 모두 학기당 150만원까지의 생활비 대출을 지원하니, 필요하면 알바 대신 해당 대출을 활용하시는 걸 적극 권장드립니다. 학점은 망하면 복구할 길이 없고, 스펙도 쌓을 시기가 학기별로 정해져 있어요… 방학 땐 인턴이나 학회 등 대외활동도 해야 하구요ㅠ 생활비 대출은 보통 해당 학기 중반부까지만 실행이 가능하니, 불필요하다고 느껴져 나중에 상환하시더라도 미리 최대금액을 신청해두시는 게 편합니다!
그리고 신입생의 경우 개강 이후에 국가장학금을 신청해서 등록 시점에는 소득분위가 산정되지 않습니다. 이 경우 일반상환으로 사전승인받으셔서 등록하시고 학기 시작 후 소득분위가 8분위 이하로 산정될 시에 취업 후 상환 또는 농어촌융자 등으로 전환 가능하시니 참고하시면 되겠습니다.
뱀발로 말씀 덧붙이면, 이 소득분위 기준이 생각보다 빡빡해서 소득이 거의 없는 가정도 수 억 정도의 부동산 자가에 중형차 한 대 정도 소유하고 있을 경우 9분위는 그냥 넘어가는 경우가 많습니다. 단, 8분위까지만 나오면 올해부터 소득분위별 국가장학금 지원금액이 상향돼서 학기당 175만원(7, 8분위 기준)까지는 기본적으로 지원됩니다.
국가장학금 이외에도, 신입생을 대상으로 4년간의 등록금과 생활비 등을 지원하고자 하는 여러 외부 장학금들이 많습니다. 보통 3분위, 6분위, 또는 8분위까지로 제한을 두는 경우가 일반적이나 관정이종환교육재단 등 분위에 상관없이 지원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장학재단의 이공계장학금과 인문100년 장학금 역시 1학년이 신청 가능한 주요 장학금 루트들 중 하나입니다. 학생 본인이 꼭 주도적으로 관심을 가지고 여러 방면으로 찾아볼 수 있게 도와주시면 좋겠습니다. 보통 대학교 홈페이지나 학생포털 등의 공지사항을 보면 각 대학의 학생지원 부서에서 올려주는 교내외 장학금 관련 정보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교내 장학금도 쏠쏠한 것들이 많으니 참고하셔서 필요한 지원 받으실 수 있기를 바래봅니다. 재단이나 동문회 측에서 장학 지원 많이 하는 학교들의 경우, 6-8분위 이하면 보통 등록금 아예 안 내고 학교 다니는 편입니다. 정확히는, 등록 시점에 대출은 받겠지만 학기 중에 여러 장학금으로 융자를 다 상환하게 됩니다. 배치표상으로 더 높은 인서울 가능한 성적으로 굳이 하향지원해서 집 근처 지거국 갈 필요가 없다는 의견들이 이런 사실에 기반을 두고 있습니다.
2. 네, 맞습니다. 다만 부모님 또는 보호자의 동의가 필요하고, 대출 실행 시마다 연락이 갑니다.
3. 한국장학재단이라는 교육부 산하의 준정부기관에서 지급합니다.
4. 상환 방식과 기간 등의 상환조건을 세부적으로 선택하실 수 있습니다.
일반상환의 경우 원리금균등상환, 원금균등상환 중 상환 방식을 선택하실 수 있으며, 상환기간은 거치기간과 상환기간을 각각 최장 10년까지 설정하실 수 있습니다. 이 경우 거치기간 동안 매월 이자를 납부하셔야 합니다.
취업 후 상환은 학생 이름 앞으로 일정 이상의 소득(현재 연 2천만원 조금 넘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이 발생하는 시점부터 원리금 의무상환이 시작됩니다. 바꿔 말하면, 그 이상의 소득이 발생하지 않는 한 이자도 납부하실 필요가 없습니다. 의무상환액 역시 결정되는 공식이 따로 있으며, 소득에 따라 달라집니다. 물론 중도상환 역시 가능하고, 여타 대출 상품들과 달리 별도의 수수료가 부과되지 않습니다.
농어촌융자는 일반상환과 상환 방식 및 기간 등이 동일합니다. 다만, 이자가 전혀 발생하지 않기에 거치 기간 후 원금만 균등상환하면 됩니다. 단, 본인 또는 부모님이 농어촌 지역에 일정 기간 거주하셨거나 농어업에 종사하셨어야 한다는 조건이 있으며, 8분위까지만 수혜가 가능합니다.
각 대출상품 모두 학기당 150만원까지의 생활비 대출을 지원하니, 필요하면 알바 대신 해당 대출을 활용하시는 걸 적극 권장드립니다. 학점은 망하면 복구할 길이 없고, 스펙도 쌓을 시기가 학기별로 정해져 있어요… 방학 땐 인턴이나 학회 등 대외활동도 해야 하구요ㅠ 생활비 대출은 보통 해당 학기 중반부까지만 실행이 가능하니, 불필요하다고 느껴져 나중에 상환하시더라도 미리 최대금액을 신청해두시는 게 편합니다!
그리고 신입생의 경우 개강 이후에 국가장학금을 신청해서 등록 시점에는 소득분위가 산정되지 않습니다. 이 경우 일반상환으로 사전승인받으셔서 등록하시고 학기 시작 후 소득분위가 8분위 이하로 산정될 시에 취업 후 상환 또는 농어촌융자 등으로 전환 가능하시니 참고하시면 되겠습니다.
뱀발로 말씀 덧붙이면, 이 소득분위 기준이 생각보다 빡빡해서 소득이 거의 없는 가정도 수 억 정도의 부동산 자가에 중형차 한 대 정도 소유하고 있을 경우 9분위는 그냥 넘어가는 경우가 많습니다. 단, 8분위까지만 나오면 올해부터 소득분위별 국가장학금 지원금액이 상향돼서 학기당 175만원(7, 8분위 기준)까지는 기본적으로 지원됩니다.
국가장학금 이외에도, 신입생을 대상으로 4년간의 등록금과 생활비 등을 지원하고자 하는 여러 외부 장학금들이 많습니다. 보통 3분위, 6분위, 또는 8분위까지로 제한을 두는 경우가 일반적이나 관정이종환교육재단 등 분위에 상관없이 지원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장학재단의 이공계장학금과 인문100년 장학금 역시 1학년이 신청 가능한 주요 장학금 루트들 중 하나입니다. 학생 본인이 꼭 주도적으로 관심을 가지고 여러 방면으로 찾아볼 수 있게 도와주시면 좋겠습니다. 보통 대학교 홈페이지나 학생포털 등의 공지사항을 보면 각 대학의 학생지원 부서에서 올려주는 교내외 장학금 관련 정보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교내 장학금도 쏠쏠한 것들이 많으니 참고하셔서 필요한 지원 받으실 수 있기를 바래봅니다. 재단이나 동문회 측에서 장학 지원 많이 하는 학교들의 경우, 6-8분위 이하면 보통 등록금 아예 안 내고 학교 다니는 편입니다. 정확히는, 등록 시점에 대출은 받겠지만 학기 중에 여러 장학금으로 융자를 다 상환하게 됩니다. 배치표상으로 더 높은 인서울 가능한 성적으로 굳이 하향지원해서 집 근처 지거국 갈 필요가 없다는 의견들이 이런 사실에 기반을 두고 있습니다.
목록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