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질문 게시판입니다.
Date 23/05/24 06:03:23
Name   경제학도123
Subject   엔지니어로서 성장하고 기회를 얻으려면 어떻게 해야할까요?
안녕하세요.

저는 아니고 엔지니어로 일하고 있는 친형이 요즘 깊은 고민을 가지고 있는 것 같아서 홍차넷에 고민 상담글을 대신 올려봅니다.

저희 형 같은 경우는 엔지니어로 회사에 취업한지 이제 만 2년차로, 대학때 원하던 부서의 원하는 직무로 잘 배정을 받아서 회사를 다니고 있습니다.

부모님도 매우 자랑스러워할 정도로 취업도 좋은 곳에 일찍했고, 형도 엔지니어로서 일할 수 있는 최고의 직장 중 하나의 배정받아서 처음에는 좋아했구요.

그런데 시간이 지날수록 형이 스스로 성장하지 않는 것 같다, 엔지니어로서 정체기에 온 것 같고 중요한 일을 하고 싶은데 그렇지 못한 것 같다, 학교를 다닐때에 공모전과 프로젝트 준비하던 때에 비하면 사실상 루틴한 직장인이 된 것 같다는 이야기를 자주 하는 것 같습니다.

사실 학사졸 엔지니어의 태생적 한계라고도 할 수 있겠지만, 아무래도 부서 내에 있는 석사, 박사님들에 비해서 학사만 할 수 있는 프로젝트의 개수는 적고, 반대로 업무적으로 실제 기능을 구현해야하는 기술들의 경우는 경계값이 높아서 따라가는데는 전전 긍긍한데, 제품 전반의 기술적 사양, 예를 들어 이미 기술 시대가 바껴 낙후된 기술들의 경우에도 엔지니어로서 현업에 일하는데 이해가 필요하다고 책을 자주 책을 찾아보는데, 혼자 찾아 보다보니 고민이 많아 보이더라구요)

그렇다고해서 고민을 털어놓을 만한 아주 숙련된 엔지니어나 자신이 가지고 있는 한계(?)를 극복한 엔지니어를 형 나름으로도 찾아뵙고 싶은데 직장인이라서 대학생 시절 처럼 아무나에게 면담 신청을 드릴 수 있어서 고민하는 것 같구요.

이런 제 친형에게 혹시 조언을 남겨주실 내용이 있다면 글을 통해서 전달드리고 싶습니다!

가족의 고민이라고, 너무 어려운 질문일 수는 있지만 게시판에 올려봅니다.

감사합니다!!



1


덜커덩
선생님이 형님께 해 드릴 수 있는 최선은 고민을 들어주고, 형님이 어떤 선택을 했을 때 가정에서 지지해 주는 것이 아닌가 싶습니다. 잠재적인 해결책을 꺼내는 것이 아니라요.

기회의 확장은 대개 이직이나 진학으로 달성할 수 있고, 이는 자연스럽게 위험을 수반하는데, 이게 선생님이나 선생님 부모님의 뜻과 일치하지 않을 가능성이 높습니다. 좋은 직장이라면, 파트 석박을 할 수 있는 환경이 마련되어 있는 경우도 있지만 모든 제반 환경이 갖추어진 경우는 드물기도 해서 일련의 희생이 필요하게 됩니다. 아마 형님도 이를 모르지는 않을 것인... 더 보기
선생님이 형님께 해 드릴 수 있는 최선은 고민을 들어주고, 형님이 어떤 선택을 했을 때 가정에서 지지해 주는 것이 아닌가 싶습니다. 잠재적인 해결책을 꺼내는 것이 아니라요.

기회의 확장은 대개 이직이나 진학으로 달성할 수 있고, 이는 자연스럽게 위험을 수반하는데, 이게 선생님이나 선생님 부모님의 뜻과 일치하지 않을 가능성이 높습니다. 좋은 직장이라면, 파트 석박을 할 수 있는 환경이 마련되어 있는 경우도 있지만 모든 제반 환경이 갖추어진 경우는 드물기도 해서 일련의 희생이 필요하게 됩니다. 아마 형님도 이를 모르지는 않을 것인데, 문제는 이들이 잠재적 위험을 감수 하는 것 뿐만 아니라, 돈과 시간을 요구하게 됩니다. 종종 이 둘 중의 희생을 원치 않는 환경(?)적 요인 때문에 종종 이들 기회 확장을 포기하는 경우가 있으니, 선생님께서 형님을 걱정하시는 마음은 알겠으나 형님 본인의 생각과 선택을 존중해 주시는게 더 도움이 될 것 같아 모자란 생각을 담아 봅니다.
1
경제학도123
감사합니다!! 사실 생각해보면 형도 좋은 곳에 간만큼 뛰어난 분들에게 이미 좋은 이야기를 듣고 있을텐데 괜히 오지랖(?)을 부린건 아닌가 싶기도 하네요 ㅠㅠ. 감사합니다!
369 징크스라고 저희는 불러요
직장이든 사업이든 3년마다 슬럼프가 오는데 성장을 추구하는 이들이 목표를 잃거나 세울 수 없거나 할때 더 쟐 겪게되는거 같아요.

회사가 모든 직원들에게 항상 성장 목표를 줄 수는 없는 것이고 스스로 성장하는 직원을 발탁해서 새 임무를 부여하게 되죠.
직장 하급자가 매일 반복되는 현업을 추구하다 보면 매년 회사가 주는 목표는 특히 성장욕구가 큰 분들에겐 욕구를 채워주지 못하죠.
직장은 학교에서 처럼 지속적으로 새 단원을 배우고 그런게 아니라 반복되는 현업들이니 많이 다름도 받아들여야 하는 ... 더 보기
369 징크스라고 저희는 불러요
직장이든 사업이든 3년마다 슬럼프가 오는데 성장을 추구하는 이들이 목표를 잃거나 세울 수 없거나 할때 더 쟐 겪게되는거 같아요.

회사가 모든 직원들에게 항상 성장 목표를 줄 수는 없는 것이고 스스로 성장하는 직원을 발탁해서 새 임무를 부여하게 되죠.
직장 하급자가 매일 반복되는 현업을 추구하다 보면 매년 회사가 주는 목표는 특히 성장욕구가 큰 분들에겐 욕구를 채워주지 못하죠.
직장은 학교에서 처럼 지속적으로 새 단원을 배우고 그런게 아니라 반복되는 현업들이니 많이 다름도 받아들여야 하는 한 편.
더 성장해서 큰 사람이 되고 싶다던가 하는 분들은 스스로 목표를 세우고 정진하는게 필요한거라 봅니다.
슬럼프때 욕구불만으로 이런저런 불안 불평도 생기다 보면 트러블로 이어지는 사람도 있고.
그럴때 위기를 넘기기 가장 좋은게 학습이었던것 같습니다. 꾸준히 학습하고 자기개발을 추구하셔야 할것 같습니다.

단기 목표와 성과는 영업부가 제일 확실하죠. 기말 중간고사 처럼 시험이 있는것도 아니다 보니 다른 직무들은 기간도 길고 간박감 넘치는 프로젝트가 연속되지 않는 한 슬럼프 오기 좋고요.

학교는 교수와 커리큘럼을 잘 따르면 되지만 회사에선 제시되는 커리큘럼 같은게 없으니 주도작이고 능동적으로 자기개발을 꿰하심이.

중고생들 중간고사 끝나면 순간적으로 다음 목표가 없어 흔들리고 방황하는거 기억나시죠? 학교가 중간고사란 목표를 줬다 해결됐지만 개인 목표, 중장기 목표를 위한 다음 단기 목표가 없으니 풀어지고 방황하고. 그런것이죠.

중장기 폭표를 위한 단기 목표들을 가지셔야 하지 않을가.

중장기적으로 자격증, 진학 다 좋아보이고 단기적으론 운동이든 도서관을 가보시라 권해드리고 싶네요. 이책 저책 뒤적이다 보면 뭘 해야겠다는 비전이 보이기도 하고 그럽니다. 그래서인지 저녁시간에 저도 도서관 가보면 직장인들 심심찮게 보입니다

목표, 성과, 보상
을 개인이 설계하는게 필요해 보인다는 생각입니다

두서 없고 순서가 뒤죽박죽이지만... 적어봅니다
1
경제학도123
정말 좋은 조언 감사합니다 ㅠㅠ. 친형에게도 꼭 보여드리겠습니다. 감사합니다!!!
공부를 더 하는 것도 생각보다 큰 리스크가 따르긴 합니다. 석사 는 스스로에겐 공부하는 기회가 되긴하지만 깊이가 아주 깊긴 어렵고, 결과(경력)의 인정도 확실하지 않은 경우가 많습니다.

박사를 딴다면 아주 긴 시간을 들여 많은 노력이 필요할텐데, 학계로 가고싶다는 생각이 아니라면 박사 연구 정도의 지식을 요구하는 포지션이 많지 않다고 생각합니다. 회사에서 일하는 박사님들 많지만 본인 전공 잘 살려서 역량 최대로 발휘하는 분은 많지 않은 거 같거든요. 결국 박사를 따면 '성장' 하는 느낌은 받을 수 있을지언정 그만큼 스스로의... 더 보기
공부를 더 하는 것도 생각보다 큰 리스크가 따르긴 합니다. 석사 는 스스로에겐 공부하는 기회가 되긴하지만 깊이가 아주 깊긴 어렵고, 결과(경력)의 인정도 확실하지 않은 경우가 많습니다.

박사를 딴다면 아주 긴 시간을 들여 많은 노력이 필요할텐데, 학계로 가고싶다는 생각이 아니라면 박사 연구 정도의 지식을 요구하는 포지션이 많지 않다고 생각합니다. 회사에서 일하는 박사님들 많지만 본인 전공 잘 살려서 역량 최대로 발휘하는 분은 많지 않은 거 같거든요. 결국 박사를 따면 '성장' 하는 느낌은 받을 수 있을지언정 그만큼 스스로의 기준도 높아져서 '인정' 받는 다는 느낌은 받기 어려울 수도 있습니다.

정리하자면 석사는 하면서 뚜렷한 목적의식을 갖고 제대로 트레이닝 받는다면 지식적인 측면에서 갈증은 해소될 듯 하나 제대로 된 트레이닝 받는 게 확률적으로 어려울 수 있는 점, 그리고 다녀와도 경력적으로 도움되는 것은 낮은 점이 단점입니다.

박사는 오랜 기간이 걸리는 만큼 에너지와 기회비용이 최대의 리스크이자 단점. 경력인정은 확실히 받을 수 있지만 눈이 높아지고 시야가 달라져서 마치고 오면 더 큰 도전을 바라게 될 확률도 큽니다. 박사로서의 지식/경험이 회사에 딱 맞지 않기 때문에... 박사는 탐구하고 연구하는 역할인데, 회사는 성과내고 결과내는 조직이니까요.

여기까지 일반론이였고, 가장 좋은 것은 부서/회사 내에 계신 석/박사님들하고 두루 만나보십시오. 학위가 커리어에 도움이 되는지, 된다면 어떤 부분인지, 어떤 학위를 어디서 어떻게 받으셨는지 등. 회사/부서 마다 분위기는 다를 수 있기 때문에 이직까지 고려하시는게 아니라면 이게 베스트입니다.
1
경제학도123
"여기까지 일반론이였고, 가장 좋은 것은 부서/회사 내에 계신 석/박사님들하고 두루 만나보십시오. 학위가 커리어에 도움이 되는지, 된다면 어떤 부분인지, 어떤 학위를 어디서 어떻게 받으셨는지 등. 회사/부서 마다 분위기는 다를 수 있기 때문에 이직까지 고려하시는게 아니라면 이게 베스트입니다."
-> 정말 도움이 많이 되는 조언 감사합니다...!!!
1
듣보잡
분야에 따라 천차만별이겠지만 제 쪽의 경우 (AI 관련) 학사 출신은 능력이 누가봐도 남들보다 특출나지 않으면 한계가 명확하다고 생각합니다. 해당 분야에서 학사 출신 분들의 다양한 케이스들을 파악하고 향후 방향을 잡아보는게 좋지 싶읍니다.
분야마다 다릅니다. 어떤 분야의 엔지니어인지를 알아야 보다 깊은 답변이 가능해요.
목록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15158 진로이직 제안을 받았습니다. 어떻게 하면 좋을까요?? 21 [익명] 23/08/23 2932 0
15124 진로선관위 공무원 질문이읍니다 4 Groot 23/08/10 2376 0
15013 진로경력직 한번 떨어진 포지션 다시 지원해도 될까요? 8 [익명] 23/07/10 2424 0
14972 진로첫 직장에서 서무를 맡게 됐는데, 알면 좋은 게 있을까요? 12 魔法使いの夜 23/06/27 3096 0
14956 진로일반적인 직장에서 허용되는 부업의 범위는 어느 정도까지일까요? 4 아재 23/06/22 2621 0
14908 진로계약만료 후 근무형태 변경 공고에 지원하지 않으면 실업급여 해당 안되나요? 5 [익명] 23/06/10 2520 0
14903 진로대학생에게 조언 좀 해주실 수 있을까요? 29 [익명] 23/06/07 3531 0
14899 진로이거 정말 간단히 할 수 있는 부업 맞나요? 29 [익명] 23/06/06 3069 0
14847 진로시골 흙수저 수재에게 가장 유리한 선택지는? 36 컴퓨터청년 23/05/24 4024 0
14845 진로엔지니어로서 성장하고 기회를 얻으려면 어떻게 해야할까요? 8 경제학도123 23/05/24 2828 1
14768 진로실업급여 VS 기간제 근로자 13 [익명] 23/05/03 3213 0
14611 진로진로 고민 들어주실 수 있나요? 19 [익명] 23/03/23 3449 0
14608 진로대 AI시대에 살아남는 직업이 궁금합니다. 40 보리건빵 23/03/22 3928 0
14592 진로박사유학 자금확보 문제로 고민이 많습니다 15 카르스 23/03/17 2384 1
14583 진로뭐하면 더 행복할까요 -_-; 6 활활태워라 23/03/15 2829 0
14571 진로데이터 사이언스 관련 질문 12 Finboy 23/03/10 3142 0
14549 진로예비군이 직장예비군으로 편성됐는데 2 [익명] 23/03/02 3972 0
14515 진로대학원 상담부탁드립니다 48 [익명] 23/02/21 4017 0
14505 진로사회 복학생, 자취와 본가 중에서 고민중입니다. 19 [익명] 23/02/19 3437 0
14465 진로어떻게 진로의 방향성을 잡아야 할지 모르겠습니다. 8 dsfg. 23/02/08 3256 0
14399 진로영어과외로 월700 벌기 vs 미국변호사로 살기 17 [익명] 23/01/23 3943 0
14357 진로퇴직 시 연차 소진 4 OshiN 23/01/11 2738 0
14350 진로교수님들 직업 만족도 어떠십니까? 14 [익명] 23/01/09 3290 0
14307 진로산재처리하거나 시도하면 재계약 안해주겠죠?? 3 활활태워라 22/12/29 3058 0
14299 진로해외경력인정되나요? 13 [익명] 22/12/27 3557 0
목록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4시간내에 달린 댓글

댓글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