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질문 게시판입니다.
Date 23/11/06 15:19:24
Name   ㅢㅘㅞ
Subject   부동산 위기가 진짜 심각한 상황인가요?
역대급 위기다 대출이 엄청나다 등등 뉴스기사가 많이 보이는데요 정말 위험한 상태인가요?
아니면 그냥 돈 풀었던거 회수하며 생기는 현상으로 호들갑인 건가요?



0


침묵의공처가
부동산은 대출로 끌어서는게 기본이라 단기적으로는 금리가 높아서 부동산이 버티기 힘들고 경기가 나빠지면 금리가 떨어질 수도 있지만 수입이 적어서 버티기 힘든 상황이 될 수 있습니다. 물론 강력한 소비를 통해 극복할 수도 있기야 있는데...그러려면 강력한 성장이 동반되어야 합니다.

요는 우리나라 산업이 강하게 성장하면 극복 가능할거 같고, 그렇지 않으면 위기가 올 수 있을거 같아요. 근데 미국이 제조업을 국내로 빨아먹고 있는데 강력한 성장이 가능할지 의문입니다.

저는 경알못이라 반박시 반박하시는 분의 말이 옳습니다.
2
겨울삼각형
건설 PF쪽은 죽기일보직전이고 부도이야기 나오는 곳도 있습니다.
(그 레고랜드..)

뭐 그래서 한은에서 금리 더 못올리는 상황이죠.

이 PF붕괴가 한국 부동산 전체 붕괴로 갈지
아니면 일부선에서 막힐지는 아무도 모릅니다.
2
뉴스가 호들갑 심한 것 같아요. 상승기 때는 오른다고 호들갑 지금은 버블 터진다고 호들갑이요..
산들에꽃피네
뉴스에서 호들갑 떠는 이유는 이러니까 나랏돈으로 토건족 도와주고 대출 탕감해주자고 하려고 밑밥 까는 거죠.
노바로마
코시국 저금리 기조의 후폭풍이 남아있어서 그 영향인데요. 솔직히 제 느낌에는 엄살도 좀 섞여있는거 같긴 합니다. 다만 현재의 금융기조에서 어떻게 부동산 시장을 안정화 시키느냐가 관건이긴 하죠.
노바로마
부동산시장에서 부동산 가격이 점진적으로 우하향 하는거면 제가 가장 이상적으로 바라는건데, 그러지 않고 아예 급락하게 되는 경우는 좀 우려가 있긴 합니다.(물론 그럴 가능성 높지는 않다고 봅니다만...)

부동산 가격 급락 -> 가계의 순자산액(자산-부채) 급감 -> 가계 소비 위축 -> 경기침체 이 매커니즘으로 경제에 악영향이 생길 가능성에 대한 우려는 약간이나마 있습니다.
1
츤데레
다른 분야는 잘 모르겠고, 건축쪽은 쉽지 않아보입니다.
괄하이드(괄하이드)
개인적으로는 살짝 엄살이 섞여있다고 보입니다. LTV/DSR 등 대출규제를 나름 빡세게 해왔기 때문에 주택과 관련한 가계대출 쪽이 터질 위험은 거의 없다고 봅니다.

PF쪽이 좀 문제라고들 하는데, 좋은 상황은 아니겠지만 곧 터져서 다 죽는다는 자극적인 얘기를 몇달째 듣다보니 호들갑인가 싶기도 하고 그렇네요...
어차피 사람들이 사고 싶어하는 적당하면서 쉬운 조건을 충족한 아파트는 큰문제 없죠. 문제는 그런 상품들 오를때 코로나 + 규제회피 콤보로 덩달아 올라버린 전통적으로 가치가 떨어지는 물건들이 문제죠.

그래서 부동산이 위기냐하면 위기가 맞죠. 그러나 사람들이 사고 싶어하는것들은 중대한 문제가 없을 가능성이 높죠.

그리고 부동산은 유독 부동산이라는 하나의 단어로 퉁치는 경우가 엄청 많더라고요.

부동산 얘기하면서 아파트, 다세대(빌라), 다가구, 단독, 오피스텔, 상가 등등등 세밀하게는 아니더라도 각 영역 얘기하면서 자기 ... 더 보기
어차피 사람들이 사고 싶어하는 적당하면서 쉬운 조건을 충족한 아파트는 큰문제 없죠. 문제는 그런 상품들 오를때 코로나 + 규제회피 콤보로 덩달아 올라버린 전통적으로 가치가 떨어지는 물건들이 문제죠.

그래서 부동산이 위기냐하면 위기가 맞죠. 그러나 사람들이 사고 싶어하는것들은 중대한 문제가 없을 가능성이 높죠.

그리고 부동산은 유독 부동산이라는 하나의 단어로 퉁치는 경우가 엄청 많더라고요.

부동산 얘기하면서 아파트, 다세대(빌라), 다가구, 단독, 오피스텔, 상가 등등등 세밀하게는 아니더라도 각 영역 얘기하면서 자기 의견을 ‘전문적으로’ 느끼게 펼치는 경우를 거의 못봤습니다.(특히 경제를 베이스로 둔 사람들은 더 그렇구요.)
산들에꽃피네
일단 수익이 없는 부동산을 여러 채 갖고 있고 부채가 많은 사람, 법인들이 힘든 거지 다른 사람들은 상관 없습니다. 다만 경착륙을 했을 때는 IMF 때나 서브프라임 모기지 사태급 혹은 그 이상의 경제 난이 올 수 있죠.

그래서 여력 있는 사람들은 소비를 줄여 빚을 갚거나 저금을 하거나 안전자산으로 도망가고 있죠. 물가가 올라서 소비가 줄은 것도 있어요. 그게 다시 경제에 악영향을 미치는 악순환이 벌어지고 있습니다.

지인의 동생이 신혼살림 용으로 인천에서 브랜드 아파트 24평 3억 중반대에 70% 대출 내서 산다고 하는... 더 보기
일단 수익이 없는 부동산을 여러 채 갖고 있고 부채가 많은 사람, 법인들이 힘든 거지 다른 사람들은 상관 없습니다. 다만 경착륙을 했을 때는 IMF 때나 서브프라임 모기지 사태급 혹은 그 이상의 경제 난이 올 수 있죠.

그래서 여력 있는 사람들은 소비를 줄여 빚을 갚거나 저금을 하거나 안전자산으로 도망가고 있죠. 물가가 올라서 소비가 줄은 것도 있어요. 그게 다시 경제에 악영향을 미치는 악순환이 벌어지고 있습니다.

지인의 동생이 신혼살림 용으로 인천에서 브랜드 아파트 24평 3억 중반대에 70% 대출 내서 산다고 하는데 말릴 필요는 못 느끼겠습니다. 직장만 짤리지 않으면 열심히 일해서 갚겠죠.

다만 서울 주요지역에 고평가된 아파트나 공실이 나기 싶상인 상가 같은 건 한 10년간은 쳐다도 안 보시는 편이 좋을 것 같네요.
목록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15719 경제코인과 주식 차트 지표 추천 받습니다 6 마우스노동러 24/03/25 1993 0
15710 경제국제경제를 슬슬 볼 만한 유튜브 등이 있을까요? 4 골든햄스 24/03/20 2065 0
15702 경제m포인트 질문임당… 12 Echo-Friendly 24/03/19 1714 0
15697 경제차량 구매하려고 하는데 조언을 구합니다 15 [익명] 24/03/17 2035 0
15696 경제2억의 목돈이 생기는데 배당주 어떤가요? 15 [익명] 24/03/16 2795 0
15685 경제땅 사보신분들 알려주세요 어둠달골짜기 24/03/11 1877 0
15672 경제현대카드 업종분류 질문드립니다. 2 흰긴수염고래 24/03/03 2083 0
15568 경제5천만원 정도의 금액 단기로 두기 좋은 파킹통장 추천 부탁드립니다. 33 쉬군 24/01/24 2743 0
15535 경제해외 배송 물건 반품시 관세를 환급 받을 수 있을까요? 4 보이차 24/01/11 1991 0
15521 경제재계약 전세 대출 문의 5 카리 24/01/08 2137 0
15514 경제대출 어쩌면 좋을까요? 13 FSM 24/01/05 2808 0
15507 경제토스 미국 주식 양도소득세 질문 15 soulless 24/01/04 2231 0
15498 경제8억 정도의 여윳돈을 어떻게 보관하는 게 좋을까요? 35 [익명] 24/01/02 3285 0
15478 경제특정 아파트 매매 가격추이를 볼 수 있는 사이트나 어플이 있을까요? 11 얼불 23/12/19 2089 0
15475 경제스톡옵션 계약관련 질문 4 다음 23/12/19 2179 0
15431 경제이과라 작명이 어렵읍니다. 타이틀 까리하게 한번뽑아주시면 감사하겠읍니다. 10 카리나남편 23/12/06 2208 0
15416 경제혹시 한전 민영화가 시작되고 있나요? 2 torpedo 23/11/26 2245 0
15404 경제(1인가구) 소형 오피스텔/빌라 전세대출 많이 위험할까요? 18 even&odds 23/11/21 1842 0
15372 경제대학원생 호구?의 학교행사 봉사 4 집빈남 23/11/12 2440 0
15352 경제부동산 위기가 진짜 심각한 상황인가요? 10 ㅢㅘㅞ 23/11/06 2989 0
15321 경제롤을 중계해서 얻는 이익은 무엇이 있나요? 1 Beer Inside 23/10/27 2335 0
15312 경제결혼식 부모님 명의 축의금 증여세 신고 다들 하셨나요? 13 오늘 23/10/25 3099 0
15280 경제<임대주택> 성격이 다른 주택 두 군데가 당첨되었읍니다. 17 설탕 23/10/08 2007 0
15202 경제경제 유튜버 윤루카스 17 찾고싶은분 23/09/12 3500 0
15201 경제청년신혼부부매입임대 문의 DogSound-_-* 23/09/11 2138 0
목록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4시간내에 달린 댓글

댓글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