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질문 게시판입니다.
Date | 19/01/07 13:20:34 |
Name | 우리온 |
Subject | 투기와 투자의 차이점이 뭔가요? |
안녕하세요! 일어나보니까 아이유 관련해서 논란이 많더라고요. 경제알못이라 상황이 잘 이해가 안되는 상황이에요. 멍청이에게 가르침을 주세요 흑흑 아직 개발 전인 땅을 장기적으로 보고 발전 가능성이 있다 판단하여 구매한 경우 투자라고 보는거에요? 투기 검색해보니까 사전적 정의로는 시세 변동을 예상하여 차익을 얻기 위하여 하는 매매 거래 라고 나와있더라고요. 저는 투기와 투자 개념의 차이가 헷갈려서 궁금합니다 ;ㅁ; 또 그 투기가 왜 사회적으로 문제점이 되는지 궁금합니다! 미리 답변 감사드립니다 :) 0
|
단어상에는 차이가 있는데, 실질적으로는 차이가 없습니다.
"투자는 철저한 분석 하에서 원금의 안전과 적절한 수익을 보장하는 것이고, 이러한 조건을 충족하지 못하는 행위는 투기다" - 벤자민 그레이엄
위가 가장 대표적인 정의인데,
우리가 투기자본으로 부르는 외국계 펀드들은 원금의 안전과 수익을 위해서 철저히 분석해서 진입하고,
우리가 투자라고 생각하는 금융회사의 상품들은 의외로 원금의 수익을 보장하기 어렵죠.
"투자는 철저한 분석 하에서 원금의 안전과 적절한 수익을 보장하는 것이고, 이러한 조건을 충족하지 못하는 행위는 투기다" - 벤자민 그레이엄
위가 가장 대표적인 정의인데,
우리가 투기자본으로 부르는 외국계 펀드들은 원금의 안전과 수익을 위해서 철저히 분석해서 진입하고,
우리가 투자라고 생각하는 금융회사의 상품들은 의외로 원금의 수익을 보장하기 어렵죠.
투기는 오직 시세 차익을 보기 위한 행위이고, 투자는 이익을 얻기 위해 일이나 사업에 자본을 대거나 시간과 노력을 들이는 겁니다. 땅 시세 차익 보는 건 투자보다는 투기에 가깝죠. 비슷해 보이는 단어지만 전혀 다른 의미를 가지고 있습니다.
통상 영어로 invest를 투자, speculation을 투기로 번역하는데, speculation에는 심사숙고의 의미도 있어서,
보통 주변에서 좋지 않은 의미로 사용하는 그런 투기와는 조금 다르다고 봅니다.
저는 투자는 가치가 있는 것을 저렴하게 사는 것이고, 투기는 오르고 내리는 기세에 편승하는 것이라고 구분합니다.
다르게 설명하면, 투자는 내재가치를 따지는 것이고, 투기는 내재가치를 계산하지 않습니다.
투기가 사회적으로 문제가 되는 이유는 투자와 달리 양의 피드백을 일으켜서 사회를 불안정하게 하기 때문입니다.
(투자는 반대로 작용하므로 대체로 가격을 안정화하죠.)
하지만 원론적으로 볼 때 투기가 투자보다 비난 받을 이유는 없다고 봅니다.
보통 주변에서 좋지 않은 의미로 사용하는 그런 투기와는 조금 다르다고 봅니다.
저는 투자는 가치가 있는 것을 저렴하게 사는 것이고, 투기는 오르고 내리는 기세에 편승하는 것이라고 구분합니다.
다르게 설명하면, 투자는 내재가치를 따지는 것이고, 투기는 내재가치를 계산하지 않습니다.
투기가 사회적으로 문제가 되는 이유는 투자와 달리 양의 피드백을 일으켜서 사회를 불안정하게 하기 때문입니다.
(투자는 반대로 작용하므로 대체로 가격을 안정화하죠.)
하지만 원론적으로 볼 때 투기가 투자보다 비난 받을 이유는 없다고 봅니다.
목록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