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질문 게시판입니다.
Date | 19/06/10 22:38:31 |
Name | 흥차넷 |
Subject | raid 잘 풀리나요? |
데이터 무결성 문제 때문에 집에 시놀로지를 둘까말까 엄청 고민되네요 혹시 가정에서 raid 5, 6 오랫동안 돌려보신 분 계시는지요? (서버급 환경 제외) 일반 하드에 10년 된 사진들도 잘 있는거 보면 괜히 그러는게 아닌가 싶기도 하고 그러네요 0
이 게시판에 등록된 흥차넷님의 최근 게시물
|
5랑 6은 말씀하신대로 무결성 검사인 parity check를 위한 패리트 쓰기 작업이 필수불가결입니다. 즉 별도의 IOPS를 쓰는거죠.
요새같은 하드디스크 iops 성능에 크게 영향이 있겠나 싶겠지만, 미세한 차이가 있을수 있겠지요?
저는 시놀로지 DS916를 RAID0으로 사용하고있는데요, 실사용은 없고 당시에 RAID5나 6을 조사해본게 전부네요...
여담이지만 제 가용범위 내에서 패리티 체크를 써야 할 만큼 데이터 송수신 중 파일이 손상될 작업이 거의 없었고,
시놀로지의 cloud sync를 사용해 데이터를 aws... 더 보기
요새같은 하드디스크 iops 성능에 크게 영향이 있겠나 싶겠지만, 미세한 차이가 있을수 있겠지요?
저는 시놀로지 DS916를 RAID0으로 사용하고있는데요, 실사용은 없고 당시에 RAID5나 6을 조사해본게 전부네요...
여담이지만 제 가용범위 내에서 패리티 체크를 써야 할 만큼 데이터 송수신 중 파일이 손상될 작업이 거의 없었고,
시놀로지의 cloud sync를 사용해 데이터를 aws... 더 보기
5랑 6은 말씀하신대로 무결성 검사인 parity check를 위한 패리트 쓰기 작업이 필수불가결입니다. 즉 별도의 IOPS를 쓰는거죠.
요새같은 하드디스크 iops 성능에 크게 영향이 있겠나 싶겠지만, 미세한 차이가 있을수 있겠지요?
저는 시놀로지 DS916를 RAID0으로 사용하고있는데요, 실사용은 없고 당시에 RAID5나 6을 조사해본게 전부네요...
여담이지만 제 가용범위 내에서 패리티 체크를 써야 할 만큼 데이터 송수신 중 파일이 손상될 작업이 거의 없었고,
시놀로지의 cloud sync를 사용해 데이터를 aws s3에 따로 보관하기 시작하면서부터 RAID1에서 0으로 변경했습니다.
하드 뻥나면 어차피 데이터 날라가는게 필수 불가결인지라 AWS S3를 믿고 있습니다.
외장하드 수리에 돈 200 정도 써본 이후로 ㅠㅠ 제 하드의 무결성보다 aws의 무결성을 믿는 편이 정신적으로 편하더라고요.
어차피 돈내고 보장받는거라면...
요새같은 하드디스크 iops 성능에 크게 영향이 있겠나 싶겠지만, 미세한 차이가 있을수 있겠지요?
저는 시놀로지 DS916를 RAID0으로 사용하고있는데요, 실사용은 없고 당시에 RAID5나 6을 조사해본게 전부네요...
여담이지만 제 가용범위 내에서 패리티 체크를 써야 할 만큼 데이터 송수신 중 파일이 손상될 작업이 거의 없었고,
시놀로지의 cloud sync를 사용해 데이터를 aws s3에 따로 보관하기 시작하면서부터 RAID1에서 0으로 변경했습니다.
하드 뻥나면 어차피 데이터 날라가는게 필수 불가결인지라 AWS S3를 믿고 있습니다.
외장하드 수리에 돈 200 정도 써본 이후로 ㅠㅠ 제 하드의 무결성보다 aws의 무결성을 믿는 편이 정신적으로 편하더라고요.
어차피 돈내고 보장받는거라면...
용량제한이 없이 스토리지 / 전송료 만큼 매달 청구되는 방식이에요.
서울리전기준 100GB보존할 경우 스토리지가 USD2.5 정도 청구되고, 다운로드한 횟수만큼 비용이 추가될 겁니다.
저는 백업만 떠두고 필요한 경우는 시놀로지에서 불러오기 때문에 전송비용이 거의 나오지 않습니다.
자주 액세스 안하시면 아예 더 저렴한 미국 오레곤같은 리전 쓰셔도 되고요.
용량이 늘수록 S3 IA(infrequent access), 아예 안건들고 얼려둘 자료는 glacier로 옮겨서 비용을 더 절감할 수 있어요.
사이트: ... 더 보기
서울리전기준 100GB보존할 경우 스토리지가 USD2.5 정도 청구되고, 다운로드한 횟수만큼 비용이 추가될 겁니다.
저는 백업만 떠두고 필요한 경우는 시놀로지에서 불러오기 때문에 전송비용이 거의 나오지 않습니다.
자주 액세스 안하시면 아예 더 저렴한 미국 오레곤같은 리전 쓰셔도 되고요.
용량이 늘수록 S3 IA(infrequent access), 아예 안건들고 얼려둘 자료는 glacier로 옮겨서 비용을 더 절감할 수 있어요.
사이트: ... 더 보기
용량제한이 없이 스토리지 / 전송료 만큼 매달 청구되는 방식이에요.
서울리전기준 100GB보존할 경우 스토리지가 USD2.5 정도 청구되고, 다운로드한 횟수만큼 비용이 추가될 겁니다.
저는 백업만 떠두고 필요한 경우는 시놀로지에서 불러오기 때문에 전송비용이 거의 나오지 않습니다.
자주 액세스 안하시면 아예 더 저렴한 미국 오레곤같은 리전 쓰셔도 되고요.
용량이 늘수록 S3 IA(infrequent access), 아예 안건들고 얼려둘 자료는 glacier로 옮겨서 비용을 더 절감할 수 있어요.
사이트: https://aws.amazon.com/ko/s3/pricing/
계산기: https://calculator.s3.amazonaws.com/index.html?lng=ko_KR#/
AWS S3가 동일한 블록 스토리지 서비스 중에서는 조금 비싼편이지만, 편의성 만큼은 타의 추종을 불허한다 생각해요.
시놀로지를 쓰실 거면 cloud sync도 쓰셔서 한번 테스트해보시면 재밌을 거에요~
서울리전기준 100GB보존할 경우 스토리지가 USD2.5 정도 청구되고, 다운로드한 횟수만큼 비용이 추가될 겁니다.
저는 백업만 떠두고 필요한 경우는 시놀로지에서 불러오기 때문에 전송비용이 거의 나오지 않습니다.
자주 액세스 안하시면 아예 더 저렴한 미국 오레곤같은 리전 쓰셔도 되고요.
용량이 늘수록 S3 IA(infrequent access), 아예 안건들고 얼려둘 자료는 glacier로 옮겨서 비용을 더 절감할 수 있어요.
사이트: https://aws.amazon.com/ko/s3/pricing/
계산기: https://calculator.s3.amazonaws.com/index.html?lng=ko_KR#/
AWS S3가 동일한 블록 스토리지 서비스 중에서는 조금 비싼편이지만, 편의성 만큼은 타의 추종을 불허한다 생각해요.
시놀로지를 쓰실 거면 cloud sync도 쓰셔서 한번 테스트해보시면 재밌을 거에요~
목록 |
|